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사연수 성과평가를 통한 2015 통합과학 교육과정 현장 정착 방안 탐 = Exploration of Support Plans for 2015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through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Implemented Teacher Training Progra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867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ways to support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implementation by evaluating the results of Integrated Science teacher training program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support the settlement of 2015 revised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Teachers’ output from the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interviews with training instructors in the 2017 Integrated Science Leading Teacher Training program were analyzed to derive the features of the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and support plans for the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Science in schools.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2017 Integrated Science Leading Teacher Training program developed teaching, & learning and evaluation plans through participatory training sessions, where the achievement standards most selected by teachers were [10IS08-03] and [10IS09-04]. Through the text mining analysis of these achievement standards, we explored the implementation realities such as reconstruc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learning materials, evaluation methods, and subject competencies. In addition, we analyzed exemplary reconstruction models of achievement standards in light of best integrated instruction, student-participatory instruction, and developing science competencies.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 teacher training support plans and further studies for the implementation and settlement of the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ways to support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implementation by evaluating the results of Integrated Science teacher training program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support the settlement of 2015 rev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ways to support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implementation by evaluating the results of Integrated Science teacher training program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support the settlement of 2015 revised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Teachers’ output from the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interviews with training instructors in the 2017 Integrated Science Leading Teacher Training program were analyzed to derive the features of the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and support plans for the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Science in schools.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2017 Integrated Science Leading Teacher Training program developed teaching, & learning and evaluation plans through participatory training sessions, where the achievement standards most selected by teachers were [10IS08-03] and [10IS09-04]. Through the text mining analysis of these achievement standards, we explored the implementation realities such as reconstruc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learning materials, evaluation methods, and subject competencies. In addition, we analyzed exemplary reconstruction models of achievement standards in light of best integrated instruction, student-participatory instruction, and developing science competencies.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 teacher training support plans and further studies for the implementation and settlement of the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신설과목인 통합과학의 현장안착을 지원하기 위해 교육부에서 실시한 통합과학 선도교원 연수에 대한 성과평가를 통해 통합과학 교육과정 지원 방안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2017년도 통합과학 선도교원연수를 중심으로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이 개발한 연수 산출물, 연수강사로 참여한 과학교사들과의 심층면담 등을 분석하여 통합과학 선도교원 연수에서 드러난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특성과 통합과학 교육과정 현장 안착을 위한 지원 방안을 도출하였다. 2017년도 통합과학 선도교원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연수를 통해 통합과학 교수⋅학습 및 평가 계획을 개발하였는데, 교사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성취기준은 [10통과08-03]과 [10통과 09-04]였다. 이들 성취기준에 대해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해 성취기준 재해석, 교수학습 방법, 학습소재, 평가방법, 교과역량 등의 구현 실태를 탐색하였다. 또한 2015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재구성 모델 사례를 통합 우수 사례, 학생 참여형 수업 우수 사례, 교과역량 신장 우수 사례 등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 과를 토대로, 통합과학 교육과정 현장 안착을 위한 연수 지원방안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신설과목인 통합과학의 현장안착을 지원하기 위해 교육부에서 실시한 통합과학 선도교원 연수에 대한 성과평가를 통해 통합과학 교육과정 지원 방안...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신설과목인 통합과학의 현장안착을 지원하기 위해 교육부에서 실시한 통합과학 선도교원 연수에 대한 성과평가를 통해 통합과학 교육과정 지원 방안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2017년도 통합과학 선도교원연수를 중심으로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이 개발한 연수 산출물, 연수강사로 참여한 과학교사들과의 심층면담 등을 분석하여 통합과학 선도교원 연수에서 드러난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특성과 통합과학 교육과정 현장 안착을 위한 지원 방안을 도출하였다. 2017년도 통합과학 선도교원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연수를 통해 통합과학 교수⋅학습 및 평가 계획을 개발하였는데, 교사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성취기준은 [10통과08-03]과 [10통과 09-04]였다. 이들 성취기준에 대해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해 성취기준 재해석, 교수학습 방법, 학습소재, 평가방법, 교과역량 등의 구현 실태를 탐색하였다. 또한 2015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재구성 모델 사례를 통합 우수 사례, 학생 참여형 수업 우수 사례, 교과역량 신장 우수 사례 등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 과를 토대로, 통합과학 교육과정 현장 안착을 위한 연수 지원방안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정화,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통합사회’ 과목 개발에 대한 성찰적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1-29, 2015

      2 정미경, "교원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초·중등 교원의 요구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287-306, 2011

      3 Feinerer, I., "m: Text Mining Package (Version 0.7-1)"

      4 Kim, Y., "Study on improvement of teachers’college curriculum" KOFAC 2016

      5 MOE, "Science Curriculum" MOE 2015

      6 KOFAC, "Report on 2017 teacher training achievement of Integrated Science" KOFAC 2018

      7 Michalke. M., "Package koRpus: An R Package for Text Analysis (version 0.10-2)"

      8 MOE, "Overview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MOE 2015

      9 Lee, H., "Korean classroom innovation,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National Association of Superintendent 2017

      10 MOE, "Key directions for the 2018 Teacher Training Program"

      1 구정화,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통합사회’ 과목 개발에 대한 성찰적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1-29, 2015

      2 정미경, "교원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초·중등 교원의 요구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287-306, 2011

      3 Feinerer, I., "m: Text Mining Package (Version 0.7-1)"

      4 Kim, Y., "Study on improvement of teachers’college curriculum" KOFAC 2016

      5 MOE, "Science Curriculum" MOE 2015

      6 KOFAC, "Report on 2017 teacher training achievement of Integrated Science" KOFAC 2018

      7 Michalke. M., "Package koRpus: An R Package for Text Analysis (version 0.10-2)"

      8 MOE, "Overview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MOE 2015

      9 Lee, H., "Korean classroom innovation,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National Association of Superintendent 2017

      10 MOE, "Key directions for the 2018 Teacher Training Program"

      11 Kwak, Y., "KOFAC, 2017 Leading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Integrated Science" KOFAC 31-52, 2017

      12 KOFAC, "Development research of 2015 revised draft subject curriculum Ⅱ: science curriculum" KOFAC 2015

      13 Shin, Y.,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Integrated Science & Science Inquiry and Experimen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4-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7 1.87 1.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54 2.133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