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가 비행청소년들의 신체·심리 및 생리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72582

      • 저자
      • 발행사항

        아산: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 교육과학과 , 2020. 8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615.85155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기타서명

        The effect of neurophysiological social engagement system DMT on physical·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function of the juvenile delinquent

      • 형태사항

        ix, 133 p.;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남현우
        양면인쇄임
        참고문헌: p. 111-120

      • UCI식별코드

        I804:44009-200000339300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순천향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들에게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Social Engagement System, SES) 무용동작치료(Dance Movement Therapy, DMT)를 적용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표는 교정교육 현장의 여자 및 남자 비행청소년들에 있어 프로그램이 갖는 신체·심리와 생리적 연관성 및 프로그램이 소년원 환경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총 세 차례의 실험으로 구성되었으며, 두 차례의 사전연구와 한 차례의 본 연구로 진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남자 비행청소년에게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SES-DMT)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참여자들의 신체·심리적 경험을 자기보고 형식의 사례분석으로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프로그램을 이론적으로 검증하였다. 이에 따라 추후 연구를 위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데이터의 필요성과 여자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어서 두 번째 실험으로 여자 비행청소년들의 심리 및 수용생활기간에 따른 생리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그들의 주된 심리적 정서와 상관관계가 있는 적혈구(reb blood cells, RBC), 혈소판(platelet), 헤모글로빈(hemoglobin, Hb), 백혈구 내 아형(WBC cell and subtypes)들의 기능을 3개월 전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자들 모두 특별한 프로그램을 하지 않고도 3개월 후에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1, p<.001, p<.05). 이는 여자 비행청소년들이 신체·심리적 활동이 제한되거나, 우울함이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적혈구와 헤모글로빈, 혈소판이 유의하게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몸과 내부를 연결하고 신경을 안정화시켜 미주신경을 활성화하는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DMT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여 여자 비행청소년들에 적용해봄으로써 신경생리학적, 심리치료적인 효과를 증대시키고 이를 과학적으로 증명하고자 한다.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은 여자 비행청소년 16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군 8명과 대조군 8명으로 나눠 매주 1회 90분씩, 총 12회기를 진행하였고, 프로그램 전과 후를 비교하였다.
      신체·심리적 변화는 Beck의 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와 동작·심리변화분석으로 알아보았으며, 생리적 변화는 백혈구 내 아형(WBC cell and subtypes)들의 기능과 세로토닌(serotonin), 코티솔(cortisol)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 및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Design ANOVA)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군의 BDI는 사전에 매우 심한 우울상태였으나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 적용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사후 BDI 평균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대조군은 사전과 사후에 매우 심한 우울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동작·심리변화 분석결과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 적용 후 신체 중심(core)에 힘이 생겨나 스스로를 주체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었으며 호흡의 안정화, 눈빛과 표정의 변화, 비언어적-언어적 긍정적 자기표현, 그룹원과 직, 간접적 상호작용 활동, 새로운 신경경로 활성화를 통한 교감신경의 안정화로 이완되고 자유로운 신체적 움직임 등의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식균작용을 하여 몸의 면역기능을 담당하는 백혈구 세포 및 아형의 분석결과는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 적용 전 대조군보다 실험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 개입 이후 실험군의 호산구(eosinophil), 호염구(basophil) 및 호중구(neutrophil)의 수는 감소하여 통계적인 유의차가 발생하였다(p<.05). 실험군의 단핵구(monocyte)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보이지 않았으나, 대조군의 단핵구는 사전보다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p<.01). 넷째, 실험군의 세로토닌의 수준은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 적용 후에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되었고(p<.05), 대조군은 전보다 후에 세로토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1), 대조군보다 실험군의 3개월 후의 세로토닌 수준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다섯째, 실험군의 코티솔은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 개입 후에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되었고(p<.05), 대조군은 전보다 후에 코티솔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 적용 후에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되었다(p<.05).
      결론적으로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여자 비행청소년의 우울과 신체 및 정서적 안정화, 정서조절, 사회적 관계 등의 심리적 요인에 유의미한 변화를 주었으며, 백혈구 내의 아형(WBC cell and subtypes)들과 세로토닌, 코티솔의 신체·생리학적 요인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들에게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Social Engagement System, SES) 무용동작치료(Dance Movement Therapy, DMT)를 적용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표...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들에게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Social Engagement System, SES) 무용동작치료(Dance Movement Therapy, DMT)를 적용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표는 교정교육 현장의 여자 및 남자 비행청소년들에 있어 프로그램이 갖는 신체·심리와 생리적 연관성 및 프로그램이 소년원 환경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총 세 차례의 실험으로 구성되었으며, 두 차례의 사전연구와 한 차례의 본 연구로 진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남자 비행청소년에게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SES-DMT)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참여자들의 신체·심리적 경험을 자기보고 형식의 사례분석으로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프로그램을 이론적으로 검증하였다. 이에 따라 추후 연구를 위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데이터의 필요성과 여자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어서 두 번째 실험으로 여자 비행청소년들의 심리 및 수용생활기간에 따른 생리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그들의 주된 심리적 정서와 상관관계가 있는 적혈구(reb blood cells, RBC), 혈소판(platelet), 헤모글로빈(hemoglobin, Hb), 백혈구 내 아형(WBC cell and subtypes)들의 기능을 3개월 전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자들 모두 특별한 프로그램을 하지 않고도 3개월 후에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1, p<.001, p<.05). 이는 여자 비행청소년들이 신체·심리적 활동이 제한되거나, 우울함이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적혈구와 헤모글로빈, 혈소판이 유의하게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몸과 내부를 연결하고 신경을 안정화시켜 미주신경을 활성화하는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DMT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여 여자 비행청소년들에 적용해봄으로써 신경생리학적, 심리치료적인 효과를 증대시키고 이를 과학적으로 증명하고자 한다.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은 여자 비행청소년 16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군 8명과 대조군 8명으로 나눠 매주 1회 90분씩, 총 12회기를 진행하였고, 프로그램 전과 후를 비교하였다.
      신체·심리적 변화는 Beck의 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와 동작·심리변화분석으로 알아보았으며, 생리적 변화는 백혈구 내 아형(WBC cell and subtypes)들의 기능과 세로토닌(serotonin), 코티솔(cortisol)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 및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Design ANOVA)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군의 BDI는 사전에 매우 심한 우울상태였으나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 적용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사후 BDI 평균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대조군은 사전과 사후에 매우 심한 우울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동작·심리변화 분석결과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 적용 후 신체 중심(core)에 힘이 생겨나 스스로를 주체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었으며 호흡의 안정화, 눈빛과 표정의 변화, 비언어적-언어적 긍정적 자기표현, 그룹원과 직, 간접적 상호작용 활동, 새로운 신경경로 활성화를 통한 교감신경의 안정화로 이완되고 자유로운 신체적 움직임 등의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식균작용을 하여 몸의 면역기능을 담당하는 백혈구 세포 및 아형의 분석결과는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 적용 전 대조군보다 실험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 개입 이후 실험군의 호산구(eosinophil), 호염구(basophil) 및 호중구(neutrophil)의 수는 감소하여 통계적인 유의차가 발생하였다(p<.05). 실험군의 단핵구(monocyte)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보이지 않았으나, 대조군의 단핵구는 사전보다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p<.01). 넷째, 실험군의 세로토닌의 수준은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 적용 후에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되었고(p<.05), 대조군은 전보다 후에 세로토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1), 대조군보다 실험군의 3개월 후의 세로토닌 수준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다섯째, 실험군의 코티솔은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 개입 후에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되었고(p<.05), 대조군은 전보다 후에 코티솔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 적용 후에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되었다(p<.05).
      결론적으로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여자 비행청소년의 우울과 신체 및 정서적 안정화, 정서조절, 사회적 관계 등의 심리적 요인에 유의미한 변화를 주었으며, 백혈구 내의 아형(WBC cell and subtypes)들과 세로토닌, 코티솔의 신체·생리학적 요인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5
      • 3. 용어 정의 6
      • 1) 비행청소년 6
      • 제1장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5
      • 3. 용어 정의 6
      • 1) 비행청소년 6
      • 2) 신체·심리적 기능 6
      • 3) 생리적 기능 6
      • 4)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Neurophysiological Social Engagement System DMT) 7
      • 제2장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9
      • 1. 비행청소년 9
      • 1) 비행청소년 9
      • 2) 소년원 11
      • 3) 비행청소년의 심리·정서적 특성 12
      • 4) 비행청소년의 신경생리학적 특성 15
      • 2. 정서조절과 신경생리학 17
      • 1) 정서와 신경생리학 17
      • 2) 정서조절 19
      • 3. 무용동작치료와 신경생리학(DMT and Neurophysiology) 21
      • 1) 청소년 무용동작치료 21
      • 2) 신경학적 무용동작치료(Neurological DMT) 23
      • 3) 다미주신경이론(Polyvagal theory) 28
      • 4)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Social Engagement System DMT) 32
      • 제3장 연구방법 36
      • 1. 연구개요 36
      • 2. 실험1 38
      • 1) 연구 참여자 38
      • 2) 실험설계 및 절차 39
      • 3. 실험2 41
      • 1) 연구 참여자 41
      • 2) 실험설계 및 절차 42
      • 4. 실험3 43
      • 1) 연구 참여자 43
      • 2) 실험설계 45
      • 3) 실험절차 46
      • 4) SES-DMT(Social Engagement System DMT) 프로그램 47
      • (1) 개발 목적 47
      • (2) 개발 과정 47
      • (3) SES-DMT 프로그램 기본 구성 49
      • (4) SES-DMT 프로그램 및 단계별 내용 52
      • 5) 평가도구 59
      • (1) 심리측정: 우울척도(BDI) 59
      • (2) 동작·심리변화분석 59
      • (3) 생리측정 60
      • 6) 분석방법 61
      • 제4장 연구 결과 및 해석 62
      • 1. 실험1 결과 62
      • 2. 실험2 결과 64
      • 3. 실험3 결과 67
      • 1) 인구사회통계학적 및 임상적 특성 67
      • 2) 신체·심리적 효과분석 71
      • (1) 우울척도(BDI) 71
      • (2) 개별 참여자 보고 및 동작·심리변화분석 75
      • (3) 그룹 발달 단계별 동작·심리변화분석 92
      • 3) 생리학적 효과분석 98
      • (1) 백혈구 내의 아형(WBC cells and subtypes) 98
      • (2) 세로토닌(serotonin) 100
      • (3) 코티솔(cortisol) 102
      • 제5장 논의 및 결론 104
      • 1. 논의 104
      • 2. 결론 및 제언 108
      • 참고문헌 111
      • 부록 121
      • ABSTRACT 13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법무연수원, "2018 범죄백서", 제35호, 2019

      2 경찰청, "경찰통계연보", 제62호, 2018

      3 류분순, "무용 동작심리치료", 서울: 학지사, 2017

      4 김경태, "소년사법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경찰학논총, 12(4), 159-179, 2017

      5 한국뇌과학연구원, "「파워 브레인을 위한 뇌호흡 워크북」", 서울: 한문화, 2002

      6 김달우, 조정규, 이정숙, "한국의 무용치료 발전과정 및 연구동향", 체육사학회 지, 18(2), 23-33, 2013

      7 도영희, 조정숙, "국내 무용동작치료 연구동향 (1987∼ 2018)", 무용동작심리치 료연구, 2, 27-38, 2018

      8 임영식, 조영미,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교정연구, 27(3), 135-160, 2017

      9 권수진, "정신질환 비행청소년의 현황 및 처우방안", 소년보호연구, 31(3), 79-114, 2018

      10 한영선, "소년원에서의 회복적 대화모임 실천 이야기", 교정담론, 9(2), 31-52, 2015

      1 법무연수원, "2018 범죄백서", 제35호, 2019

      2 경찰청, "경찰통계연보", 제62호, 2018

      3 류분순, "무용 동작심리치료", 서울: 학지사, 2017

      4 김경태, "소년사법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경찰학논총, 12(4), 159-179, 2017

      5 한국뇌과학연구원, "「파워 브레인을 위한 뇌호흡 워크북」", 서울: 한문화, 2002

      6 김달우, 조정규, 이정숙, "한국의 무용치료 발전과정 및 연구동향", 체육사학회 지, 18(2), 23-33, 2013

      7 도영희, 조정숙, "국내 무용동작치료 연구동향 (1987∼ 2018)", 무용동작심리치 료연구, 2, 27-38, 2018

      8 임영식, 조영미,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교정연구, 27(3), 135-160, 2017

      9 권수진, "정신질환 비행청소년의 현황 및 처우방안", 소년보호연구, 31(3), 79-114, 2018

      10 한영선, "소년원에서의 회복적 대화모임 실천 이야기", 교정담론, 9(2), 31-52, 2015

      11 신희영, "초 중학생의 정서조절능력과 전략유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06

      12 이지연, "시험불안의 뇌 과학적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 서울교육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8

      13 이경님, "청소년의 애착과 우울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2(1), 1-13, 2003

      14 이민재, "소년원학교 재원생들의 불면증상과 수면환경", 소년보호연구, 32, 297-324, 2019

      15 이지영, "정서조절방략이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3), 821-841, 2010

      16 Stake, R. E., "질적 사례 연구. 홍용희, 노경주, 심종희 공역", 서울: 창지사, 2000

      17 김정숙, "소년원 및 보호관찰 청소년의 정신건강 결정요인", 형사정책연구, 29(1), 177-210, 2018

      18 함혜현, "청소년 비행유발에 있어 신경전달물질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연 구, 7, 227-250, 2011

      19 박지선, "비행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정서와 자기개념 비교", 스트레스硏 究, 18(1), 29-39, 2010

      20 김대권, "비행청소년의 수용생활과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연구", 교정연구, 47, 173-199, 2010

      21 김붕년, "정신질환 비행청소년의 효과적 처우방안에 관한 연구", 법무부 범죄 예방정책국, 2016

      22 남현우, 추언아, "비행청소년의 무용동작치료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예 술심리치료연구, 15(1), 71-93, 2019

      23 류분순, "정서 사회 시스템 향상을 위한 신경학적 무용동작치료 연구", 무용동 작심리치료연구, 1(1), 19-38, 2017

      24 최은희, "소년의 형사책임능력과 소년범죄의 예방에 대한 입법적 연구", 호서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25 오승환, 좌현숙, "내재화문제의 종단적 변화와 예측요인에 대한 성별차이 분 석", 청소년복지연구, 13(4), 119-147, 2011

      26 김지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무용치료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문헌고찰", 무 용동작심리치료연구, 1, 57-73, 2017

      27 Iacoboni, M., "Mirroring people: The new science of how we connect with others. 미러링 피플(2009)", 서울: 갤리온, 2008

      28 최연우, "비행청소년의 인성교육을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분 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29 육혜련, "청소년쉼터 입소 가출청소년의 사회적 배제와 우울.불안과의 관계연구", 보건사회연구, 33(4), 245-274, 2013

      30 정진, "남자 소년원생들과의 비교를 통한 여자 소년원생들의 특성에 대한 연 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1 조정숙, "학교부적응 남자고등학생들의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연구",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1, 5-21, 2017

      32 남현우, 추언아, "무용동작치료가 경계선 지적 기능 방임 청소년의 정서조절 에 미치는 영향",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1, 23-42, 2017

      33 신경수, 이해경, 이경성, 신현숙, "비행청소년의 생활적응 문제에서 우울/불안 및 공격성의 합병 효과의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16(3), 491-510, 2004

      34 김붕년, "집단따돌림 및 학교폭력 예방 및 치료교육 프로그램: 서울대학교병 원 개발",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5-38, 2012

      35 안윤숙, 천종호, "비행청소년의 재범방지를 위한 청소년회복센터의 제도화 과 정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17(4), 165-190, 2016

      36 Porges, S. W., "The pocket guide to the polyvagal theory: The transformative power of feeling safe. 다미주 이론(2020)", 위즈덤하우스, 2017

      37 윤일홍, 정진성, 이정범, "청소년 비행과 비행친구 간 상호효과: 정서문제를 통제한 교차지연 패널모형 검증", 한국경찰학회보, 22(2), 2020

      38 이해경, "비행 청소년들의 내재화/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생활부적응문제들의 영향력과 성차", 청소년복지연구, 15(3), 295-319, 2013

      39 Siegel, D. J., "Pocket guide to interpersonal neurobiology. 이영호 공역(2016). 쉽게 쓴 대인관계 생물학 지침서", 서울: 학지사, 2012

      40 윤정아, "경계선 지적 기능 청소년을 위한 무용동작치료 S.D.T 프로그램 개발 및 체험사례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41 남현우, 추언아, 정진성, "박진선, 손윤영, 이정범 비행청소년들의 수용생활 기간 동안의 환경생리학적인 연구", 교정연구, 29(3), 139-159, 2019

      42 이서정, 전지원, 이정한, "조현, 김대진, 정영철 인터넷게임장애 남자 청소년 에서 우울증이 감정조절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 54(3), 322-329, 2015

      43 강헌진, 전용관, 윤용진, 나루세마사요(Masayo Naruse), "10대 여성재소자들의 12주간 방송댄스 프로그램 참여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 한무용학회논문집, 63, 323-338, 2010

      44 강윤형, "학교폭력 치유프로그램 참여 청소년의 임상적-신경심리학적-뇌구조 적 변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45 류분순, "무용동작 심리치료가 성폭력 피해 청소년의 외상 후 스트레스, 뇌파 및 자아 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46 김인숙, 안태영, "브레인댄스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스트레스 호르몬 및 자율신경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8(2). 27-46, 2012

      47 김인숙, "동작놀이치료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심리적 생리적 변 화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48 이숙, 최아라, "자극추구 기질과 위험회피 기질이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놀이치료연구, 20(3), 29-48, 2016

      49 이동은, "비행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과 자기통제력 향상을 위한 TSL가족프로그램 개입효과: 소년원 청소년의 부모 자녀 교육을 중 심으로", 연세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