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의 열등감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양육 스트레스, 자기수용, 사회적 지지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 아동 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90685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9-86(2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의 열등감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양육 스트레스, 자기수용, 사회적 지지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 아동 발...
이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의 열등감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양육 스트레스, 자기수용, 사회적 지지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 아동 발달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222명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215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주요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고, 열등감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양육 스트레스, 자기수용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의 열등감과 삶의 만족 관계에서 양육 스트레스와 자기수용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들에 대한 지원 방안과 삶의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s of parenting stress, self-acceptance,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riori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total of 222 moth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s of parenting stress, self-acceptance,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riori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total of 222 mothers utilizing local child development cent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data from 215 respondents were analyzed.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core variables were examined,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stress, self-acceptance,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riority and life satisfaction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s revealed that both parenting stress and self-acceptance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riority and life satisfaction, while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support was not confirmed. These findings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s aimed at reducing parenting stress and enhancing self-acceptance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적성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소명의식과 사회적 지지의 이중매개효과
학생 참여형 개별화 수업에 따른 학습 참여도와 교육적 성과 분석: S대학 교양 강좌를 중심으로
절대주의를 넘어서 : 듀이 초기 철학에서의 사상적 전환 일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