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온라인 대화에서 메시지 교감성 개념 구축 및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ncept of message phaticnes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online convers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901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교감 커뮤니케이션은 대화를 촉진하고 유대감을 형성해 상호작용을 지속하는데 도움을 준다. 본연구는 온라인 대화에서 메시지 교감성 개념을 경험적으로 구축하고 교감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작한 실험물을 서로 다른 집단에 노출시켜 응답을 분석했다. 대화 격률 관점에서정의된 메시지 교감성은 관련성 격률, 방법 격률, 적극적 공손 격률, 소극적 공손 격률로 구성되었으며, 대화 맥락이 존재하는지의 여부 및 메시지에 추가된 이모티콘 종류의 요인이 평가에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었다. 가상의 카카오톡 대화 실험물을 집단에 노출시킨 결과 피험자들은 대화 맥락 여부와 이모티콘 종류에 따라 메시지 교감성을 다르게 평가했는데, 메시지가단독으로 주어졌을 때보다 대화 맥락과 함께 주어졌을 때, 그리고 문자언어로만 이뤄진 메시지보다 문자언어에 이모지나 스마일리가 추가된 메시지의 교감성을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연구 결과의 의의는 문자와 시각기호로 이뤄지는 메시지의 교감성을 경험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척도를 구축해 동시적, 비동시적 교환이 이뤄지는 온라인 대화 및 커뮤니티의 메시지가 참여자들의 결속과 유대 형성에 기여하는 양상과 영향력을 밝혀내려는 시도였다는 점에 있다.
      번역하기

      교감 커뮤니케이션은 대화를 촉진하고 유대감을 형성해 상호작용을 지속하는데 도움을 준다. 본연구는 온라인 대화에서 메시지 교감성 개념을 경험적으로 구축하고 교감성 평가에 영향을 ...

      교감 커뮤니케이션은 대화를 촉진하고 유대감을 형성해 상호작용을 지속하는데 도움을 준다. 본연구는 온라인 대화에서 메시지 교감성 개념을 경험적으로 구축하고 교감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작한 실험물을 서로 다른 집단에 노출시켜 응답을 분석했다. 대화 격률 관점에서정의된 메시지 교감성은 관련성 격률, 방법 격률, 적극적 공손 격률, 소극적 공손 격률로 구성되었으며, 대화 맥락이 존재하는지의 여부 및 메시지에 추가된 이모티콘 종류의 요인이 평가에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었다. 가상의 카카오톡 대화 실험물을 집단에 노출시킨 결과 피험자들은 대화 맥락 여부와 이모티콘 종류에 따라 메시지 교감성을 다르게 평가했는데, 메시지가단독으로 주어졌을 때보다 대화 맥락과 함께 주어졌을 때, 그리고 문자언어로만 이뤄진 메시지보다 문자언어에 이모지나 스마일리가 추가된 메시지의 교감성을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연구 결과의 의의는 문자와 시각기호로 이뤄지는 메시지의 교감성을 경험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척도를 구축해 동시적, 비동시적 교환이 이뤄지는 온라인 대화 및 커뮤니티의 메시지가 참여자들의 결속과 유대 형성에 기여하는 양상과 영향력을 밝혀내려는 시도였다는 점에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hatic communication helps to foster conversation, build rapport, and sustain interactions. This study empirically constructed the concept of message phaticness in online conversations and manipulated factors that influence phaticness evaluations by exposing different groups to experimental materials and analyzing their responses.
      Message phaticness, defin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versational maxims, consists of the relevance maxim, the manner maxim, the positive politeness maxim, and the negative politeness maxim. It was assumed that factors such as the presence of a conversational context and the type of emoticon added to the message would affect the evaluation.
      When a group was exposed to a virtual KakaoTalk conversation experiment, the subjects evaluated the message phaticnes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nversation context and the type of emoticon. They tended to evaluate the phaticness of messages given with a conversation context higher than when the message was given alone, and of messages with emojis or smileys added to text than messages consisting only of text.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results lies in the fact that it attempted to establish a scale that can empirically evaluate the communicative nature of messages composed of text and visual symbols, and to reveal the aspects and influence of messages in chats and communities where simultaneous and asynchronous exchanges take place in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solidarity and bonds among participants.
      번역하기

      Phatic communication helps to foster conversation, build rapport, and sustain interactions. This study empirically constructed the concept of message phaticness in online conversations and manipulated factors that influence phaticness evaluations by e...

      Phatic communication helps to foster conversation, build rapport, and sustain interactions. This study empirically constructed the concept of message phaticness in online conversations and manipulated factors that influence phaticness evaluations by exposing different groups to experimental materials and analyzing their responses.
      Message phaticness, defin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versational maxims, consists of the relevance maxim, the manner maxim, the positive politeness maxim, and the negative politeness maxim. It was assumed that factors such as the presence of a conversational context and the type of emoticon added to the message would affect the evaluation.
      When a group was exposed to a virtual KakaoTalk conversation experiment, the subjects evaluated the message phaticnes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nversation context and the type of emoticon. They tended to evaluate the phaticness of messages given with a conversation context higher than when the message was given alone, and of messages with emojis or smileys added to text than messages consisting only of text.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results lies in the fact that it attempted to establish a scale that can empirically evaluate the communicative nature of messages composed of text and visual symbols, and to reveal the aspects and influence of messages in chats and communities where simultaneous and asynchronous exchanges take place in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solidarity and bonds among participant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