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조선인민군 정체성의 성립과 변화 양상을 구조주의 및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북한체제의 특성상 한국전쟁이라는 특정 시공간이 제도 형성에 영향을 주는 구조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17445
202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9-62(3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인민군 정체성의 성립과 변화 양상을 구조주의 및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북한체제의 특성상 한국전쟁이라는 특정 시공간이 제도 형성에 영향을 주는 구조적...
본 연구는 조선인민군 정체성의 성립과 변화 양상을 구조주의 및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북한체제의 특성상 한국전쟁이라는 특정 시공간이 제도 형성에 영향을 주는 구조적 요인을 간과할 수 없기에 1차적인 분석틀로 구조주의를 차용하였다. 동시에 구조를 인지하는 행위자의 인식 또한 영향력 있는 변수로 작동한다고 보았는데, 이에 따라 당시 사회주의진영 및 북한 국내정치 행위자들과 행위자 간 상호작용 등 구성주의적 요소를 인민군 정체성을 분석하는 주요한 프레임으로 삼았다.
조선인민군 정체성이 구성되기 시작한 후 현대의 모습과 유사한 양상을 갖추기까지를 1945년부터 주체노선의 수립까지로 간주하였는데, 이에 따라 연구대상의 분석범위를 보안대가 창설된 1945년부터 조선인민군 내 정치위원회가 설립된 1969년까지로 설정하였다. 요컨대, 본 연구는 국가(‧지도자)의 행위와 동기가 제도 및 현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전제로, 인민군 정체성 변화에 영향을 미친 구조적 환경 및 주요 행위자들의 인식을 시기별로 분석하였다.
인민군은 형성 초기에서부터 현재까지 여전히 당의 군대로서 기능하고 있으며 북한이라는 ‘국가’의 군사적 성격 또한 끊임없이 재생산되고 있다. 총체적인 차원에서 북한사회는 군사적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군 역시 ‘국가’의 명령체계 아래 북한사회가 추구하는 이념을 ‘군사적으로’ 이행하고 있다. 국가의 정체성과 군의 정체성이 명확히 구분되지 않으며 오히려 상당 기간 유지해 온 북한정치권력의 경험을 공유하고 있는 것이다. 북한정치권력이 인식하는 국내외 정치구조적 변수는 북한의 국가성(‧당성)과 군집단을 촘촘하게 엮어 들어가고 있다. 따라서 정세를 인지하고, 자체적으로 수용하며, 정책으로 전환해가는 최고지도자의 행위가 정치 분야뿐만 아니라 군사적 차원으로 스며들 수밖에 없는 것이다.
1 김선호, "해방 이후 북․중 군사협력관계의 형성과 ‘혁명’의 경계 - 북한의 중국내전 지원과 군대창설을 중심으로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02) : 115-150, 2017
2 미 국무성, "해방 3년과 미국" 돌베개 1984
3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한국전쟁사의 새로운 연구 1"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1
4 김선호, "한국전쟁기 조선인민군의 재편과 북한・중국・소련의 이견과 조율 - 국경 이동과 군단 창설을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회 (180) : 199-234, 2018
5 이영훈, "한국전쟁과 북한의 전후경제복구 및 건설: 체제경쟁에 따른 고도성장의 빛과 그림자" 12 (12): 2000
6 김광수, "한국전쟁 전반기 북한의 전쟁수행 연구 : 전략, 작전지휘 및 동맹관계"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008
7 이신재, "한 권으로 읽는 북한사" 도서출판 오름 2016
8 전성우, "통일 독일의 사회통합" 통일연구원 1997
9 션즈화, "최후의 천조(天朝)" 선인 2010
10 션즈화, "최후의 천조(天朝)" 선인 2017
1 김선호, "해방 이후 북․중 군사협력관계의 형성과 ‘혁명’의 경계 - 북한의 중국내전 지원과 군대창설을 중심으로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02) : 115-150, 2017
2 미 국무성, "해방 3년과 미국" 돌베개 1984
3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한국전쟁사의 새로운 연구 1"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1
4 김선호, "한국전쟁기 조선인민군의 재편과 북한・중국・소련의 이견과 조율 - 국경 이동과 군단 창설을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회 (180) : 199-234, 2018
5 이영훈, "한국전쟁과 북한의 전후경제복구 및 건설: 체제경쟁에 따른 고도성장의 빛과 그림자" 12 (12): 2000
6 김광수, "한국전쟁 전반기 북한의 전쟁수행 연구 : 전략, 작전지휘 및 동맹관계"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008
7 이신재, "한 권으로 읽는 북한사" 도서출판 오름 2016
8 전성우, "통일 독일의 사회통합" 통일연구원 1997
9 션즈화, "최후의 천조(天朝)" 선인 2010
10 션즈화, "최후의 천조(天朝)" 선인 2017
11 미셸 푸코, "지식의 고고학" 민음사 2000
12 박차오름 ; 부승찬, "중국의 사이버 안보전략과 북한에의 적용: 정체성과 인식을 중심으로" 아시아연구소 10 (10): 53-79, 2020
13 박찬만, "주북한 소비에트연방군사고문단의 역할과 기능 : 1948∼53"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13
14 심헌용, "주북한 소련 군사고문단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부설 동북아연구소 29 (29): 261-289, 2014
15 김선호, "조선인민군의 창설과 유일지도체제의 기원" 심연북한연구소 22 (22): 48-87, 2019
16 서홍석, "조선인민군 충원정책의 변화와 정체성 형성(1948~1950)" 한국역사연구회 (104) : 373-412, 2017
17 이신재,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설치 배경에 대한 연구-한국전쟁 시기 북중(北中)갈등을 중심으로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83) : 35-66, 2012
18 박영실, "정전이후 중국인민지원군의 對북한 지원과 철수" 한국학중앙연구원 29 (29): 265-291, 2006
19 평양교육도서출판사, "위대한 수령 김일성대원수님 혁명력사(중학교 제4학년용)" 교육도서출판사 2003
20 최종건, "안보학과 구성주의: 인식론적 공헌도를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9 (49): 81-100, 2009
21 이근 ; 전재성, "안보론에 있어 구성주의와 현실주의의 만남" 극동문제연구소 17 (17): 163-198, 2001
22 Korotkov, Gavril, "스탈린과 김일성 1" 동아일보사 1992
23 기광서, "소련의 대북한 군사원조와 중・소 군대의 참전 문제: 한국전 발발 전후를 중심으로" 25 : 2006
24 鄭聖姙, "소련의 對북한 점령정책에 대한 연구 : 1945. 8.~ 1948"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25 Kalinov, Kyril, "소련은 어떻게 북한인민군을 건설했는가" (198) : 1988
26 임재천, "사회주의국가 당·군 관계 이론을 통해 본 북한: ‘구조적 접근법’을 중심으로" 한국세계지역학회 37 (37): 41-75, 2019
27 최완규, "북한체제의 수립과정"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991
28 김선호, "북한의 통일전선 변화와 북조선인민집단군총사령부의 간부정책" 한국학중앙연구원 41 (41): 301-326, 2018
29 장성진, "북한군 창설기 당-군관계의 형성과 의미" 심연북한연구소 15 (15): 146-202, 2012
30 장성진, "북한군 군사교리의 형성과 운용에 관한 연구" 북한대학원대학교 2014
31 김성주, "북한군 ‘당위원회’에 관한 연구: 형성과 발전과정, 기능을 중심으로"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60 (60): 1-24, 2017
32 이경화, "북한과 쿠바의 혁명군부에 대한 비교 연구: 체제유지에 있어서 군의 역할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5
33 김광운, "북한 정치사 연구 Ⅰ: 건당・건국・건군의 역사" 선인 2003
34 김선호, "북한 보안간부훈련대대부의 간부구성과 당·군의 정치연합체제 출현" 역사문제연구소 21 (21): 275-315, 2017
35 서동만, "북한 당군관계의 역사적 형성: 한국전쟁 이후부터에서 1961년 전후 시기까지를 중심으로" 1996
36 기광서, "북한 국가의 형성과 소련" 선인 2018
37 송원준, "무장 반군의 권위주의 체제 수립과 정권 안정성"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29 (29): 211-244, 2021
38 남궁곤, "동아시아 전통적 국제질서의 구성주의적 이해" 한국국제정치학회 43 (43): 7-31, 2003
39 곽은경, "남·북한 합의형 군사통합시 통합한국군 정체성 구축에 관한 연구" 인문학연구원 75 : 71-108, 2018
40 김일성, "김일성 저작집 6" 조선로동당출판사 1980
41 김일성, "김일성 저작집 14" 조선로동당출판사 1981
42 김일성, "김일성 저작집 12" 조선로동당출판사 1981
43 김일성, "김일성 선집 5" 조선로동당출판사 1960
44 김일성, "김일성 선집 2" 조선노동당출판사 1964
45 곽은경, "군정체성 형성을 통한 군사통합 방안 연구: 서독연방군의 민주정체성을 중심으로"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61 (61): 107-134, 2018
46 안문석, "국제사회이론 관점에서 본 남북관계의 역사와 발전 전망" 한국국제정치학회 52 (52): 7-31, 2012
47 Person, James, "‘We need Help from Outside’: The North Korean Opposition Movement of 1956"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s 2006
48 Wendt, Alexander, "The Agent-Structure Problem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41 (41): 1987
49 Bloom, William, "Personal Identity, National Identit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50 Gause, Ken E., "North Korean Civil-Military Trends: Military-First Politics to a Point"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06
51 Suh, Dae-Sook, "Kim Il Sung: The North Korean Leader"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8
52 Szalontai, Balazs, "Kim Il Sung in the Khrushchev era: Soviet-DPRK relations and the roots of North Korean despotism, 1953-1964" Woodrow Wilson Center Press with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5
53 Albright, David E., "A Comparative Conceptualization of Civil-Military Relations" 32 (32): 1980
위협인식의 불일치와 한미동맹 : 통합동맹(Integrated Alliance)의 청사진을 중심으로
한국의 군사혁신(RMA) 담론 연구: 구조토픽 모델(Structural Topic Model)을 중심으로
역대 대통령 연설문을 통해 추론한 한국 전략문화의 속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