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효율적인 농산어촌지역개발사업을 위한 주민만족요인분석 = A Factor Analysis on Resident‘s Satisfaction of the Efficient Rural Development Proj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805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present the findings divide into brand naming, image,positioning. The farms built trust by consumer relationship with the farm brand.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insights for agricultural marketers who intend to design brand stories that align with their produce. This study is a regional case study of the factor analysis which explain residents’ satisfaction of the efficient rural development projects under the Block Grants System in Buyeo. This study attempted to proceed the empirical survey of 353 residents who live in one ‘town(eup)’ and 13 ‘village(meon)’ in Buyeo-gun and analyzed through SPSSWIN.
      The results of the satisfaction analysis in the local development projects satisfied with the overall average 3.16 and then empirically verified the important factors of the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learning environment’, ‘jobs and working conditions’, ‘transportation’.
      The factor analysis of 12 variables united into three factors, the first Factors are ‘transportation’, ‘learning environment’, ‘social welfare’,‘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Health and Medical Services’. The second factors are ‘crimes and accidents’, ‘environmental management’, ‘neighbor relations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third factors united into ‘income and consumption activities’, ‘job creation’ which imply the economic variables, and ‘residential environment’ as the common category.
      번역하기

      The study present the findings divide into brand naming, image,positioning. The farms built trust by consumer relationship with the farm brand.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insights for agricultural marketers who intend to design brand stories tha...

      The study present the findings divide into brand naming, image,positioning. The farms built trust by consumer relationship with the farm brand.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insights for agricultural marketers who intend to design brand stories that align with their produce. This study is a regional case study of the factor analysis which explain residents’ satisfaction of the efficient rural development projects under the Block Grants System in Buyeo. This study attempted to proceed the empirical survey of 353 residents who live in one ‘town(eup)’ and 13 ‘village(meon)’ in Buyeo-gun and analyzed through SPSSWIN.
      The results of the satisfaction analysis in the local development projects satisfied with the overall average 3.16 and then empirically verified the important factors of the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learning environment’, ‘jobs and working conditions’, ‘transportation’.
      The factor analysis of 12 variables united into three factors, the first Factors are ‘transportation’, ‘learning environment’, ‘social welfare’,‘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Health and Medical Services’. The second factors are ‘crimes and accidents’, ‘environmental management’, ‘neighbor relations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third factors united into ‘income and consumption activities’, ‘job creation’ which imply the economic variables, and ‘residential environment’ as the common categ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포괄보조금제도하에 효율적인 농산어촌지역개발사업의 추진을 위하여 지역개발사업의 수혜자이자 참여자로서 지역주민만족을 설명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부여지역을 사례지역으로 부여읍과 13개의 면에 거주하는 3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에는 SPSSWIN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부여군에서 지역개발사업의 만족도는 전체평균은 3.16 으로 비교적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12개의 변수들은 3가지의 요인으로 묶여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요인 1은 ‘교통편의’, ‘교육환경’, ‘사회복지’, ‘문화 및 여가활동’, ‘정보통신’, ‘보건 및 의료서비스’의 변수 즉, 편리한 삶, 안정된 삶, 즐기는 삶과 건강한 삶을 나타내는 변수가 공통된 범주로 묶이고, 요인 2는 ‘범죄 및 사고’, ‘환경관리’, ‘이웃관계 및 사회참여’의 변수 즉, 안전한 삶, 쾌적한 삶과 즐기는 삶을 나타내는 변수를 공통된 범주로 묶이고, 요인 3은 ‘소득 및 소비활동’과‘일자리창출’을 나타내는 경제적인 삶과 ‘주거환경’이 공통된 범주로 묶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포괄보조금제도하에 효율적인 농산어촌지역개발사업의 추진을 위하여 지역개발사업의 수혜자이자 참여자로서 지역주민만족을 설명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부여지...

      이 연구는 포괄보조금제도하에 효율적인 농산어촌지역개발사업의 추진을 위하여 지역개발사업의 수혜자이자 참여자로서 지역주민만족을 설명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부여지역을 사례지역으로 부여읍과 13개의 면에 거주하는 3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에는 SPSSWIN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부여군에서 지역개발사업의 만족도는 전체평균은 3.16 으로 비교적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12개의 변수들은 3가지의 요인으로 묶여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요인 1은 ‘교통편의’, ‘교육환경’, ‘사회복지’, ‘문화 및 여가활동’, ‘정보통신’, ‘보건 및 의료서비스’의 변수 즉, 편리한 삶, 안정된 삶, 즐기는 삶과 건강한 삶을 나타내는 변수가 공통된 범주로 묶이고, 요인 2는 ‘범죄 및 사고’, ‘환경관리’, ‘이웃관계 및 사회참여’의 변수 즉, 안전한 삶, 쾌적한 삶과 즐기는 삶을 나타내는 변수를 공통된 범주로 묶이고, 요인 3은 ‘소득 및 소비활동’과‘일자리창출’을 나타내는 경제적인 삶과 ‘주거환경’이 공통된 범주로 묶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석춘, "한국인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지역 및 주거실태와 만족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 2 : 1996

      2 박은병, "포괄보조금제도하의 농산어촌지역개발에 대한 주민참여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부여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농촌지도학회 19 (19): 435-463, 2012

      3 이주용, "포괄보조금제도하에서 효율적인 농어촌지역개발을 위한 사업평가지표 연구" 한국농공학회 53 (53): 57-62, 2011

      4 이석주, "포괄보조금 제도하의 지역특화 발전을 위한 ‘테마클러스터형 지역개발 방식’에 대한 소고" 한국농촌계획학회 15 (15): 51-57, 2009

      5 농림수산식품부, "포괄보조금 시행에 따른 농어촌 지역종합개발 평가기법개발" 2009

      6 이양수, "참여정부와 신정부의 지역개발정책 평가와 전망" 대한지방자치학회 10 (10): 25-46, 2009

      7 이양수, "참여정부 지역발전정책 패러다임의 평가: 지역혁신체제 이론을 중심으로" 대한지방자치학회 9 (9): 1-17, 2007

      8 김창현, "지역특성을 고려한 농촌활성화 방안" 국토연구원 2006

      9 이영균,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11 (11): 223-250, 2007

      10 정영숙, "지역별 주거만족도와 생활환경만족도: 도시,농촌, 어촌지역주민을중심으로" 6 (6): 113-121, 1995

      1 유석춘, "한국인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지역 및 주거실태와 만족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 2 : 1996

      2 박은병, "포괄보조금제도하의 농산어촌지역개발에 대한 주민참여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부여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농촌지도학회 19 (19): 435-463, 2012

      3 이주용, "포괄보조금제도하에서 효율적인 농어촌지역개발을 위한 사업평가지표 연구" 한국농공학회 53 (53): 57-62, 2011

      4 이석주, "포괄보조금 제도하의 지역특화 발전을 위한 ‘테마클러스터형 지역개발 방식’에 대한 소고" 한국농촌계획학회 15 (15): 51-57, 2009

      5 농림수산식품부, "포괄보조금 시행에 따른 농어촌 지역종합개발 평가기법개발" 2009

      6 이양수, "참여정부와 신정부의 지역개발정책 평가와 전망" 대한지방자치학회 10 (10): 25-46, 2009

      7 이양수, "참여정부 지역발전정책 패러다임의 평가: 지역혁신체제 이론을 중심으로" 대한지방자치학회 9 (9): 1-17, 2007

      8 김창현, "지역특성을 고려한 농촌활성화 방안" 국토연구원 2006

      9 이영균,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11 (11): 223-250, 2007

      10 정영숙, "지역별 주거만족도와 생활환경만족도: 도시,농촌, 어촌지역주민을중심으로" 6 (6): 113-121, 1995

      11 박경, "중앙⋅시군단위 농어촌 지역개발사업 추진체계 정비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12 장덕기, "전남지역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권역 농어민의 만족도와 개선과제" 전남발전연구원 (220) : 2010

      13 조영숙, "농촌주민의 지역사회 만족도와 지역공동체 의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5 (15): 113-125, 2004

      14 박대식, "농촌주민의 삶의 질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2

      15 장덕기, "농어민 삶의 질에 대한 만족도와 요인분석:전남지역 4개 시군 농업인조사를 중심으로" 전남발전연구원 2009

      16 농촌진흥청, "농산어촌 지역개발 분야 포괄보조사업수립 가이드라인"

      17 지역발전위원회, "기초생활권발전계획수립매뉴얼"

      18 이원섭, "국가균형발전정책의 평가와 향후과제" (290) : 59-67, 2005

      19 Goudy W.J, "Evaluation of local attributes and community satisfaction in small town" 42 (42): 371-382, 197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5-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xtension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Extension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6 1.058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