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四天王寺 出土 碑片의 形態學的 檢討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587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사천왕사는 통일신라 초기 당나라와 전쟁을 하던 신라가 호국의 목적으로 절을 짓고 문무왕 19년(679)에 완성하였다고 전한다. 금당 앞에 2기의 목탑을 동 ? 서로 배치한 통일신라 쌍탑가람의 ...

      사천왕사는 통일신라 초기 당나라와 전쟁을 하던 신라가 호국의 목적으로 절을 짓고 문무왕 19년(679)에 완성하였다고 전한다. 금당 앞에 2기의 목탑을 동 ? 서로 배치한 통일신라 쌍탑가람의 첫 번째 사찰인 사천왕사는 신라 통일기 건축 · 미술 · 불교문화사 등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사천왕사 석비는 龜趺-碑身-?首의 형태를 완전하게 갖춘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 사천왕사 중문지 남편에는 龜頭가 없어진 2기의 龜趺만 잔존해 있다. 귀부에 세워졌던 비석은 비록 훼손되었지만 조선시대부터 여러 학자들에게 많은 주목을 받아 왔다. 조선시대 이래 현재까지 사천왕사 서귀부에는 문무왕릉비가 세워져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동귀부에는 비석의 실체가 확인되지 않아 신문왕릉비나 사적비 등이 세워져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
      2011년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 의해 진행된 사천왕사지 발굴조사에서 새롭게 2종류의 碑片이 확인됨에 따라, 사천왕사 비편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높아져 갔다. 그러나 기왕의 연구성과는 비문의 판독과 그에 따른 내용 해석에 집중되어 있었을 뿐, 비석의 개체수나 原型을 추정할 수 있는 형태학적인 측면은 등한시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비석의 정간 및 글자의 형태학적인 면을 중점적으로 하여, 현재까지 알려진 사천왕사 비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천왕사에서 출토된 비석은 모두 3종류로, 각각은 문무왕릉비, 사천왕사 동귀부에서 발견된 비(2011년 출토), 그리고 서쪽 석교 상부에서 발견된 비편(2011년 출토)으로 나누어 보아야 할 것이다.
      출토된 비편은 단편이기 때문에 비문을 통한 내용이나 성격규명 등을 할 수 없는 상황이며, 향후 더 많은 자료가 확인되어 비문의 내용과 비석의 제 위치가 밝혀지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historically said that Sacheonwangsa was a temple built with the purpose of patriotism in the early period of Unified Sila when Sila went into war against the Tang Dynasty in China, and it was completed in the 19th year of King Munmu"s rule (A.D...

      It is historically said that Sacheonwangsa was a temple built with the purpose of patriotism in the early period of Unified Sila when Sila went into war against the Tang Dynasty in China, and it was completed in the 19th year of King Munmu"s rule (A.D.679). Sacheonwangsa was the first temple of Unified Sila"s Ssangtapgaram (twin-pagoda temple), in which two wooden pagodas were located toward the east and west respectively in front of Geumdang (the main building of the temple), and it has many significant historical aspects in studying the architecture, art and Buddhist cultural history of the period when Sila was unified.
      The tombstone of Sacheonwangsa is assumed to have been complete in the form of Gwibu-Bishin-Yisu at first, but at present, there are only 2 Gwibu (turtle-shaped socles) left with Gwidu (turtle heads) missing in the southern section of Sacheonwangsa Jungmunji. Despite its partial damage, the tombstone standing on the turtle-shaped socle has constantly attracted lots of attention from scholars since the Joseon Dynasty period.
      Since the Joseon Dynasty period up to the present, Munmuwangleungbi (Royal Tombstone for King Munmu) has stood up at the western Gwibu of Sacheonwangsa, but the true nature of the tombstone in the eastern Gwibu was not clarified, resulting in having assumed there might have been Shinmunwangleungbi (Royal Tombstone for King Sinmun) or monuments.
      In 2011,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conducted an excavation research for Sacheonwangsaji, and newly discovered 2 kinds of tombstone fragments, which made the academic circles more interested in the tombstone fragments excavated from Sacheonwangsa. However,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es on Sacheonwangsa have focused on the deciphering of epitaphs and interpretation of the contents, but there was a tendency to overlook its morphological aspects used to assume the number of tombstones or prototype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n investigation into all the tombstone fragments having been excavated from Sacheonwangsa so far, by focusing on the morphological aspects of patterns and characters engraved in the tombstone. Through this investigation, this study found out there are a total of 3 items of tombstones excavated from Sacheonwangsa, and divided them by location, one for Munmuwangleungbi, the other one discovered in the eastern Gwibu of Sacheonwangsa and the last tombstone fragment discovered on the upper part of the western stone bridge (including the tombstone fragment stored in Dongguk University Museum.
      The tombstone fragments excavated are so small that it is hard to verify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by deciphering the epitaph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much more data can be confirmed in the future in order to interpret the contents of epitaphs and find out the right locations of tombston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사천왕사지 귀부와 비편의 출토 상황
      • Ⅲ. 사천왕사지 출토 비편 검토
      • Ⅳ. 사천왕사 출토 비편 비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사천왕사지 귀부와 비편의 출토 상황
      • Ⅲ. 사천왕사지 출토 비편 검토
      • Ⅳ. 사천왕사 출토 비편 비교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영호, "한국의 석조미술" 서울대 1988

      2 國立文化財硏究所, "한국금석문자료집-상-(선사~고려)" 다할미디어 2005

      3 "高麗史"

      4 黃壽永, "韓國今昔遺文" 일지사 1976

      5 黃壽永, "金石文의 新例" 5 : 1976

      6 朴徹庠, "秋史 金正喜의 金石學 硏究 - 歷史考登的 側面을 中心으로" 계명대학교 2010

      7 金正喜, "海東碑攷"

      8 金時習, "梅月堂集"

      9 朝鮮總督府, "朝鮮古蹟圖譜, 第4冊(東京: 大正6年)"

      10 今西龍, "新羅文武王陵碑に就きて"

      1 정영호, "한국의 석조미술" 서울대 1988

      2 國立文化財硏究所, "한국금석문자료집-상-(선사~고려)" 다할미디어 2005

      3 "高麗史"

      4 黃壽永, "韓國今昔遺文" 일지사 1976

      5 黃壽永, "金石文의 新例" 5 : 1976

      6 朴徹庠, "秋史 金正喜의 金石學 硏究 - 歷史考登的 側面을 中心으로" 계명대학교 2010

      7 金正喜, "海東碑攷"

      8 金時習, "梅月堂集"

      9 朝鮮總督府, "朝鮮古蹟圖譜, 第4冊(東京: 大正6年)"

      10 今西龍, "新羅文武王陵碑に就きて"

      11 李永鎬, "新羅 文武王陵碑의 再檢討" 慶北大 歷史敎育學會 8 : 1986

      12 洪思俊, "新羅 文武王陵 斷碑의 發見" 3 (3): 1961

      13 洪思俊, "新羅 文武王陵 斷碑 追記" 고고미술동인회 3 (3): 1960

      14 金昌鎬, "新羅 太祖 星漢의 재검토" 5 : 1983

      15 김태식, "文豆婁法과 경주 四天王寺址 출토 유물" 신라사학회 (21) : 327-336, 2011

      16 金正喜, "文武王碑"

      17 國立慶州博物館, "文字로 본 新羅" 예맥 2002

      18 朝鮮總督府, "古蹟調査報告" 慶尙北道達城郡達西面古墳調査報告 1992

      19 "三國遺事"

      20 "三國史記"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7 1.01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