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R&D 혁신역량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 : 대구지역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 간 비교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542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R&D 혁신역량의 구성요소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고자 하는데 있다. 그리고 지역산업에 있어서 전략산업의 비중을 감안하여 전략 산업과 비전략산업 간에 비교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 음과 같다. 첫째,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 간의 차이분석 결과를 보면 CEO 기술혁 신의지를 제외한 모든 R&D 혁신역량 부문에 있어서 전략산업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기업성과에 있어서는 비유의적이지만 전략산업의 기업성과가 높게 나타 났다. 둘째, 전략산업 간 차이분석을 한 결과를 보면 기업성과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총자산순이익률의 경우 메카트로닉스와 전자정보기기산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매출액성장률에서는 전자정보기기산업이 가장 높았다. R&D투입에 있어서 연구개발투자인력은 전자정보기기산업이 그리고 석․박사연구인력은 생물 산업이 가장 높았고 모두 1% 유의수준에서 전략산업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 다. R&D과정에 있어서는 기술혁신전략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전략산업 간 유 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에서 전기정보기기산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R&D산출인 지적재산권 보유 정도에 있어서도 전자정보기기산업이 6.75 건으로 가장 높았다. 셋째, 모든 산업에 있어서 R&D 혁신역량이 기업성과에 동일 하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R&D투입이 기업성 과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는 달리 석․박사연구인력과 같이 연구개발인력 의 질이 더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분적이지만 R&D성과 보다는 R&D과정이 더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R&D 혁신역량이라는 점 을 함께 발견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R&D 혁신역량의 구성요소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고자 하는데 있다. 그리고 지역산업에 있어서 전략산업의 비중을 감안하여 전략 산업과 비전략산업 간에 비...

      본 연구의 목적은 R&D 혁신역량의 구성요소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고자 하는데 있다. 그리고 지역산업에 있어서 전략산업의 비중을 감안하여 전략 산업과 비전략산업 간에 비교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 음과 같다. 첫째,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 간의 차이분석 결과를 보면 CEO 기술혁 신의지를 제외한 모든 R&D 혁신역량 부문에 있어서 전략산업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기업성과에 있어서는 비유의적이지만 전략산업의 기업성과가 높게 나타 났다. 둘째, 전략산업 간 차이분석을 한 결과를 보면 기업성과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총자산순이익률의 경우 메카트로닉스와 전자정보기기산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매출액성장률에서는 전자정보기기산업이 가장 높았다. R&D투입에 있어서 연구개발투자인력은 전자정보기기산업이 그리고 석․박사연구인력은 생물 산업이 가장 높았고 모두 1% 유의수준에서 전략산업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 다. R&D과정에 있어서는 기술혁신전략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전략산업 간 유 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에서 전기정보기기산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R&D산출인 지적재산권 보유 정도에 있어서도 전자정보기기산업이 6.75 건으로 가장 높았다. 셋째, 모든 산업에 있어서 R&D 혁신역량이 기업성과에 동일 하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R&D투입이 기업성 과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는 달리 석․박사연구인력과 같이 연구개발인력 의 질이 더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분적이지만 R&D성과 보다는 R&D과정이 더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R&D 혁신역량이라는 점 을 함께 발견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apability of R&D and the firm's performance by mainly comparing regional strategy industry with non-regional strategy industry. Also, this analysis involved comparing the relationship by regional strategy industr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divided innovation capability of R&D into input, process and output. The first of main results in this study was that regional strategic industr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regional strategy industry in innovation capability of R&D with the exception of the CEO's mind for technological innovations. However,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irm's performance. Second, in the results of comparing innovation capability of R&D and the firm's performance by regional strategy industry, electronic-information equipment industry was significantly superior to other industrie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apability of R&D and the firm's performance was different by regional strategy industry. Also, R&D manpower and R&D process were mo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firm's performance rather than R&D input and output.
      번역하기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apability of R&D and the firm's performance by mainly comparing regional strategy industry with non-regional strategy industry. Also, this analysis involved comparing the relationship by regional strate...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apability of R&D and the firm's performance by mainly comparing regional strategy industry with non-regional strategy industry. Also, this analysis involved comparing the relationship by regional strategy industr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divided innovation capability of R&D into input, process and output. The first of main results in this study was that regional strategic industr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regional strategy industry in innovation capability of R&D with the exception of the CEO's mind for technological innovations. However,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irm's performance. Second, in the results of comparing innovation capability of R&D and the firm's performance by regional strategy industry, electronic-information equipment industry was significantly superior to other industrie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apability of R&D and the firm's performance was different by regional strategy industry. Also, R&D manpower and R&D process were mo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firm's performance rather than R&D input and outpu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대구지역 전략산업 현황
      • 2. R&D 혁신역량과 기업성과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대구지역 전략산업 현황
      • 2. R&D 혁신역량과 기업성과
      • Ⅲ. 실증분석
      • 1. 표본 및 변수의 선정과 연구방법
      • 2. 차이분석 결과
      • 3. 회귀분석 결과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찬수, "혁신적 발명의 패러다임 변화 및 시사점" (41) : 1-10, 2010

      2 홍진기, "지역혁신역량과 생산성 간의 인과관계 분석" 산업연구원 2007

      3 김영수,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의 핵심 성과지표 설정과 분석" 58-75, 2008

      4 송하율, "지역기업 R&D역량의 비교분석과 시사점" KIET 산업경제 50-60, 2009

      5 이재식, "지식경영 기반구조가 지식경영활동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정보학회 28 (28): 229-252, 2009

      6 조덕희, "중소기업의 성장구조 및 혁신역량 분석" 산업연구원 2005

      7 임재현,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과정에 관한 실증연구:시스템 접근" 2011

      8 산업연구원, "중소기업기술통계 심층분석 및 정책과제 도출연구" 중소기업진흥공단 2010

      9 최승욱, "중소기업 기술․경영혁신과 경쟁력우위를 위한 전략경영:원가절감과 매출액 증대를 중심으로" (7) : 169-186, 2001

      10 정동섭, "정보기술기업의 역량, 경쟁전략 및 성과의 관계" 대한경영정보학회 29 (29): 287-304, 2010

      1 박찬수, "혁신적 발명의 패러다임 변화 및 시사점" (41) : 1-10, 2010

      2 홍진기, "지역혁신역량과 생산성 간의 인과관계 분석" 산업연구원 2007

      3 김영수,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의 핵심 성과지표 설정과 분석" 58-75, 2008

      4 송하율, "지역기업 R&D역량의 비교분석과 시사점" KIET 산업경제 50-60, 2009

      5 이재식, "지식경영 기반구조가 지식경영활동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정보학회 28 (28): 229-252, 2009

      6 조덕희, "중소기업의 성장구조 및 혁신역량 분석" 산업연구원 2005

      7 임재현,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과정에 관한 실증연구:시스템 접근" 2011

      8 산업연구원, "중소기업기술통계 심층분석 및 정책과제 도출연구" 중소기업진흥공단 2010

      9 최승욱, "중소기업 기술․경영혁신과 경쟁력우위를 위한 전략경영:원가절감과 매출액 증대를 중심으로" (7) : 169-186, 2001

      10 정동섭, "정보기술기업의 역량, 경쟁전략 및 성과의 관계" 대한경영정보학회 29 (29): 287-304, 2010

      11 홍진기, "신지역산업 육성정책의 추진방향과 경남의 대응방안" (111) : 16-23, 2011

      12 박찬수, "선진기업의 R&D 경영 유형과 시사점" (210) : 1-10, 2008

      13 송상호, "기업유형과 기술혁신 영향요인 간의 통합론적 연구" 24 (24): 177-213, 1995

      14 김인수, "기술혁신적 기업과 비혁신적 기업의 비교연구" 14 (14): 1-25, 1985

      15 송광선, "기술혁신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중소기업을 대상으로" 17 (17): 169-192, 1995

      16 이병주, "경영정보:한국기업의 R&D투자 효율성 진단" 3-7, 2006

      17 Porter, M. E, "The New Challenge to America's Prosperity:Findings from the Innovation Index" Council on Competitiveness 1999

      18 Holm, U, "The Emergence and Impact of MNC Centres of Excellence" Macmillan 2000

      19 Furmana, L, "The Determinants of National Innovative Capacity" 31 (31): 899-933, 2002

      20 Metcalfe,J, "Technology Systems and Technology Policy in an Evolutionary Framework" 19 (19): 25-46, 1995

      21 Jaruzelski, B, "Smart Spenders" 45 : 2006

      22 Hoffman, K, "Small Firms,R&D,Technology and Innovation in the UK:A Literature Review" 18 (18): 39-55, 1998

      23 Keeblle,D, "Regional Influences and Policy in New Technology-based Firm:Creation and Growth" University of Cambridge 1993

      24 장성근, "R&D투자, 기술경영능력, 기업성과간의 관계" 한국경영학회 38 (38): 105-132, 2009

      25 Jaruzelski, B, "Money isn't Everything" 41 : 2005

      26 Coombs, J, "Measuring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Performance" 36 (36): 421-434, 2006

      27 Senge, P, "Innovating Our Way to the Next Industrial Revolution" 42 (42): 24-38, 2001

      28 신진교, "IT중소 . 벤처기업의 연구개발, 시장지향성, 혁신 및 성과" 한국중소기업학회 11 (11): 25-39, 2008

      29 Morbey, G. K, "How R&D Affects Sales Growth,Productivity and Profitability" 11-14, 1990

      30 Wolff,M.F, "Forget R&D Spending-think Innovation" 50 (50): 7-9, 2007

      31 Lieberman, M. B, "First-mover Advantages" 9 : 41-58, 1988

      32 Souitaris,V, "Firm-specific Competencies Determining Technological Innovation:A Surveying Greece" 32 (32): 61-77, 2002

      33 Venkatraman, N, "Environment-strategy Coalignment : An Empirical Test of Its Performance Implications" 11 (11): 1-23, 1990

      34 Eisenhardt, M. E, "Dynamic Capabilities:What are They" 21 (21): 1105-1121, 2000

      35 Garcia-Valderrama, T, "Content Validation of a Measure of R&D Effectiveness" 35 (35): 311-331, 2005

      36 Frost, T, "Centers of Excellence in Multi-National Corporations" 23 (23): 997-1018, 2002

      37 강승훈, "CEO Report:한국 기업의 R&D를 진단한다" 8-14, 2006

      38 Galende,J, "Analysi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from Business Economics and Management" 26 (26): 300-311, 2006

      39 Yam, R. C. M, "An Audi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in Chinese Firms:Some Empirical Findings in Beijing" 33 (33): 1123-1140, 2004

      40 Hall, L. A, "A Study of R&D,Innovation,and Business Performance in the Canadian Biotechnology Industry" 22 (22): 231-244,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경영정보연구 -> 경영과 정보연구
      외국어명 : Management Information Review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97 1.06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