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혼성이라는 형태론적 과정의 재구성 = Reconstruction of the morphological process of blend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430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ormation of hybrid words has been the subject of interest of many researchers in that it is an ongoing word formation process. A hybrid word was defined as a word having a combined form by cutting out a part of each of the two words, and was distinguished from the existing truncated or compounded words in that two formal manipulations, cut and combined, were involved in the formation process. It has been discussed as a very unique compound word that distinguishes it from two syllables in that it has all the attributes of the object to be indicated. However, the existing research has not progressed to a full-scale discussion on the exploration of the essential properties of the morphological process of hybridization, focusing discussion on classifying hybrid languages ​​into subtypes and describing the detailed properties of each type of hybrid language. The formation of hybrid words has attracted attention from many researchers in that it is an ongoing word formation process. Hybrid words are distinguished from conventional truncated words or compound words in that two formal manipulations, cut and combined, are involved in the formation process, and are distinguished from two syllables in that they have all the attributes of the object of indication of the two words before synthesis. It has been discussed as a very unique compound word. However, the existing research has not progressed to a full-scale discussion on the exploration of the essential properties of the morphological process of hybridization, focusing discussion on classifying hybrid languages ​​into subtypes and describing the detailed properties of each type of hybrid word. This paper attempted to reconstruct the morphological process of hybridiz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analogy. To this end, by performing a precise classific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data to be studied that have been treated as hybrid languages ​​in the existing research,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methodology that attempts to describe hybridization based on rules are identified, and at the same time, the essential mechanism for forming the word hybrid. By clarifying the attributes and reconstructing the morphological process of hybrid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vocabulary-inference-centered morphology based on the discussion, the hybridization of Korean is not a rule-dominated mechanism performed based on the formal manipulation of combination and reduction. It was revealed that it is an analogy-based mechanism performed based on replacement as the formal manipulation.
      번역하기

      The formation of hybrid words has been the subject of interest of many researchers in that it is an ongoing word formation process. A hybrid word was defined as a word having a combined form by cutting out a part of each of the two words, and was dist...

      The formation of hybrid words has been the subject of interest of many researchers in that it is an ongoing word formation process. A hybrid word was defined as a word having a combined form by cutting out a part of each of the two words, and was distinguished from the existing truncated or compounded words in that two formal manipulations, cut and combined, were involved in the formation process. It has been discussed as a very unique compound word that distinguishes it from two syllables in that it has all the attributes of the object to be indicated. However, the existing research has not progressed to a full-scale discussion on the exploration of the essential properties of the morphological process of hybridization, focusing discussion on classifying hybrid languages ​​into subtypes and describing the detailed properties of each type of hybrid language. The formation of hybrid words has attracted attention from many researchers in that it is an ongoing word formation process. Hybrid words are distinguished from conventional truncated words or compound words in that two formal manipulations, cut and combined, are involved in the formation process, and are distinguished from two syllables in that they have all the attributes of the object of indication of the two words before synthesis. It has been discussed as a very unique compound word. However, the existing research has not progressed to a full-scale discussion on the exploration of the essential properties of the morphological process of hybridization, focusing discussion on classifying hybrid languages ​​into subtypes and describing the detailed properties of each type of hybrid word. This paper attempted to reconstruct the morphological process of hybridiz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analogy. To this end, by performing a precise classific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data to be studied that have been treated as hybrid languages ​​in the existing research,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methodology that attempts to describe hybridization based on rules are identified, and at the same time, the essential mechanism for forming the word hybrid. By clarifying the attributes and reconstructing the morphological process of hybrid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vocabulary-inference-centered morphology based on the discussion, the hybridization of Korean is not a rule-dominated mechanism performed based on the formal manipulation of combination and reduction. It was revealed that it is an analogy-based mechanism performed based on replacement as the formal manipul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혼성어의 형성은 현재 진행 중인 단어 형성 과정이라는 점에서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아 왔다. 혼성어는 삭감과 결합이라는 두 가지 형식적 조작이 형성 과정에 관여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절단어 또는 합성어와 구별되고, 합성 이전의 두 단어가 갖는 지시 대상의 속성을 모두 갖는다는 점에서 두음절어와도 구별되는 매우 독특한 복합어로 논의되어 온 것이다. 그런데 기존의 연구는 혼성어를 하위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혼성어가 보여주는 세부적 속성을 기술하는 데 논의를 집중하면서, 혼성이라는 형태론적 과정의 본질적 속성에 대한 탐구에 대한 본격적 논의로까지 나아가지는 못했다. 본고는 혼성이라는 형태론적 과정을 유추론의 관점에서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에서 혼성어로 다루어진 연구 대상 자료에 대한 정밀한 분류 작업 및 계량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규칙을 바탕으로 혼성을 기술하려는 방법론이 가진 한계와 문제점을 확인함으로써 혼성이라는 단어 형성 기제의 본질적 속성을 명확히 드러내고, 그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유추론의 관점에서 재구성된 혼성이라는 형태론적 과정의 의미를 정밀하게 분석함으로써, 한국어의 혼성이 결합과 삭감이라는 형식적 조작을 바탕으로 수행되는 규칙 지배적 기제가 아니라 대치라는 형식적 조작을 바탕으로 수행되는 유추 기반의 기제임을 밝혔다.
      번역하기

      혼성어의 형성은 현재 진행 중인 단어 형성 과정이라는 점에서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아 왔다. 혼성어는 삭감과 결합이라는 두 가지 형식적 조작이 형성 과정에 관여된다는 점에서 기존...

      혼성어의 형성은 현재 진행 중인 단어 형성 과정이라는 점에서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아 왔다. 혼성어는 삭감과 결합이라는 두 가지 형식적 조작이 형성 과정에 관여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절단어 또는 합성어와 구별되고, 합성 이전의 두 단어가 갖는 지시 대상의 속성을 모두 갖는다는 점에서 두음절어와도 구별되는 매우 독특한 복합어로 논의되어 온 것이다. 그런데 기존의 연구는 혼성어를 하위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혼성어가 보여주는 세부적 속성을 기술하는 데 논의를 집중하면서, 혼성이라는 형태론적 과정의 본질적 속성에 대한 탐구에 대한 본격적 논의로까지 나아가지는 못했다. 본고는 혼성이라는 형태론적 과정을 유추론의 관점에서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에서 혼성어로 다루어진 연구 대상 자료에 대한 정밀한 분류 작업 및 계량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규칙을 바탕으로 혼성을 기술하려는 방법론이 가진 한계와 문제점을 확인함으로써 혼성이라는 단어 형성 기제의 본질적 속성을 명확히 드러내고, 그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유추론의 관점에서 재구성된 혼성이라는 형태론적 과정의 의미를 정밀하게 분석함으로써, 한국어의 혼성이 결합과 삭감이라는 형식적 조작을 바탕으로 수행되는 규칙 지배적 기제가 아니라 대치라는 형식적 조작을 바탕으로 수행되는 유추 기반의 기제임을 밝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지룡, "혼성어의 인지적 의미분석" 13 : 191-214, 1996

      2 노명희, "혼성어(混成語) 형성 방식에 대한 고찰" 국어학회 (58) : 255-281, 2010

      3 이찬영, "혼성어 형성에 대한 인지적 고찰" 형태론 18 (18): 1-27, 2016

      4 곽유석, "혼성어 형성에 관한 소고" 형태론 19 (19): 1-24, 2017

      5 이은섭, "형식이 삭감된 단위의 형태론적 정체성" 형태론 9 (9): 93-113, 2007

      6 양명희, "형식 삭감과 단어형성법" 우리말글학회 64 : 1-25, 2015

      7 황진영, "현대국어 혼성어 연구 : 단어형성적 측면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8 이찬영, "현대 한국어 혼성어 연구" 연세대 2016

      9 임해연, "현대 국어 혼성어의 개념과 형성 원리" 중앙대 2015

      10 정한데로, "한국어 형태론, 넓고 깊게 보기 - 최형용(2016)을 대상으로 -" 언어정보연구원 39 : 391-414, 2016

      1 임지룡, "혼성어의 인지적 의미분석" 13 : 191-214, 1996

      2 노명희, "혼성어(混成語) 형성 방식에 대한 고찰" 국어학회 (58) : 255-281, 2010

      3 이찬영, "혼성어 형성에 대한 인지적 고찰" 형태론 18 (18): 1-27, 2016

      4 곽유석, "혼성어 형성에 관한 소고" 형태론 19 (19): 1-24, 2017

      5 이은섭, "형식이 삭감된 단위의 형태론적 정체성" 형태론 9 (9): 93-113, 2007

      6 양명희, "형식 삭감과 단어형성법" 우리말글학회 64 : 1-25, 2015

      7 황진영, "현대국어 혼성어 연구 : 단어형성적 측면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8 이찬영, "현대 한국어 혼성어 연구" 연세대 2016

      9 임해연, "현대 국어 혼성어의 개념과 형성 원리" 중앙대 2015

      10 정한데로, "한국어 형태론, 넓고 깊게 보기 - 최형용(2016)을 대상으로 -" 언어정보연구원 39 : 391-414, 2016

      11 김혜지, "축약형 단어와 유추" 형태론 18 (18): 183-215, 2016

      12 이호승, "절단어와 혼성어에 관련된 몇 문제" 개신어문학회 (33) : 79-103, 2011

      13 채현식, "유추에 의한 복합명사 형성 연구" 태학사 2003

      14 노명희, "외래어의 수용과 품사적 변용" 국어학회 (63) : 73-103, 2012

      15 노명희, "외래어 단어형성" 국어국문학회 (153) : 5-30, 2009

      16 이영경, "오래'와 '오래다'의 문법적 위상에 대하여" 형태론 10 (10): 1-20, 2008

      17 채현식, "어휘부의 자기조직화" 한국언어문학회 (63) : 129-145, 2007

      18 이선영, "신어에서의 일음절 절단어에 대하여" 우리말글학회 70 : 49-71, 2016

      19 이선영, "신어에서의 약칭어와 혼성어에 대하여" 한국학연구소 (41) : 269-291, 2016

      20 이선영, "신어에 나타나는 어간의 유리성에 대하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41 : 155-174, 2016

      21 이선영, "속어의 형성 방식에 대한 일고찰" 한국언어학회 41 (41): 619-635, 2016

      22 이선영, "사람 관련 신어 형성의 몇 가지 특징" 한국국어교육학회 (109) : 605-627, 2016

      23 채현식, "대치(代置)에 의한 단어형성" 형태론 5 (5): 1-21, 2003

      24 황화상, "단어형성 기제로서의 규칙에 대하여" 국어학회 (58) : 61-91, 2010

      25 최형용, "단어 형성과 음절수" 국어국문학회 (138) : 183-205, 2004

      26 임홍빈, "국어문법론Ⅰ"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995

      27 이호승, "국어 혼성어와 약어에 대하여" 39 : 49-73, 2014

      28 최형용, "국어 단어의 형태와 통사: 통사적 결합어를 중심으로" 태학사 2003

      29 정한데로, "規則과 類推, 다시 생각하기"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4 (44): 99-126, 2016

      30 이선영, "混成語의 位相에 대한 一考察"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4 (44): 47-66, 2016

      31 최형용, "‘줄임말’과 통사적 결합어" 국어국문학회 135 :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Morphology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형태론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87 2.42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