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무용수들의 무대불안 척도개발과 무대불안이 수행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n Performance and Inventory Development of Stage Anx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7635551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 체육학과 , 2000. 2

      • 발행연도

        200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685.073 판사항(4)

      • DDC

        796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33p. : 삽도 ; 30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계윤
        참고문헌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무용수들의 무대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불안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무대불안 척도를 개발하여 무용변인(전공별, 참가부분별, 경력별, 수상횟수별, 기대수준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광주, 전남 지역 무용 콩쿨에 출전한 무용수 112명을 대상으로 무대불안에 관한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공연 1시간 전에 불안 검사지를 응답자들에게 배포하여 무용수의 심리적 상태를 파악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무대불안 검사지 개발은 4가지 요인 즉 자신감, 신체적 불안, 인지적 불안, 편안함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별 불안요인에서는 자신감, 인지적 불안에서만 차이가 있었는데 자신감에서는 발레가 현대무용, 한국무용보다 유의(P<.05)한 차를 보였고, 인지적 불안에서는 현대무용, 한국무용이 발레보다 유의(P<.001)한 차를 보였다.
      셋째, 참가부분별 불안요인에서는 인지적 불안만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독무가 군무에 비해 유의(P<.05)한 차를 보였다.
      넷째, 경력별 불안요인에서는 자신감, 인지적 불안에서만 차이가 있었는데 경력이 낮을수록 인지적 불안이 유의(P<.001)한 차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수상횟수별 불안요인에서는 자신감과 인지적 불안요인에서만 차이가 있었는데 수상횟수가 많을수록 자신감에서 유의(P<.05)한 차를 보였고, 수상횟수가 적을수록 인지적 불안에서 유의(P<.01)한 차를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론에 따라 무대불안은 무용수들의 최적무용수행을 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대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처방이나 노력이 필요하겠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무용수들의 무대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불안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무대불안 척도를 개발하여 무용변인(전공별, 참가부분별, 경력별, 수상횟수별, 기대수준별)에 어떠한 ...

      본 연구는 무용수들의 무대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불안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무대불안 척도를 개발하여 무용변인(전공별, 참가부분별, 경력별, 수상횟수별, 기대수준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광주, 전남 지역 무용 콩쿨에 출전한 무용수 112명을 대상으로 무대불안에 관한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공연 1시간 전에 불안 검사지를 응답자들에게 배포하여 무용수의 심리적 상태를 파악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무대불안 검사지 개발은 4가지 요인 즉 자신감, 신체적 불안, 인지적 불안, 편안함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별 불안요인에서는 자신감, 인지적 불안에서만 차이가 있었는데 자신감에서는 발레가 현대무용, 한국무용보다 유의(P<.05)한 차를 보였고, 인지적 불안에서는 현대무용, 한국무용이 발레보다 유의(P<.001)한 차를 보였다.
      셋째, 참가부분별 불안요인에서는 인지적 불안만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독무가 군무에 비해 유의(P<.05)한 차를 보였다.
      넷째, 경력별 불안요인에서는 자신감, 인지적 불안에서만 차이가 있었는데 경력이 낮을수록 인지적 불안이 유의(P<.001)한 차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수상횟수별 불안요인에서는 자신감과 인지적 불안요인에서만 차이가 있었는데 수상횟수가 많을수록 자신감에서 유의(P<.05)한 차를 보였고, 수상횟수가 적을수록 인지적 불안에서 유의(P<.01)한 차를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론에 따라 무대불안은 무용수들의 최적무용수행을 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대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처방이나 노력이 필요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performance and inventory development of stage anxiety. The subjects are 112 dancers who take part dance contest in Kwangju and Chonnam area. The method is anxiety questionnaire. 112 dancers were required to write questionnaire before beginning contest one hou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ata analysis of this study was one way ANOVA in stage anxiety(confidence, somatic anxiety, cognitive anxiety, comfort factor). Second, major anxiety 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style of participation anxiety 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th, career anxiety 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frequence of prize anxiety 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stage anxiety was import problem to danc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performance and inventory development of stage anxiety. The subjects are 112 dancers who take part dance contest in Kwangju and Chonnam area. The method is anxiety questionnaire. 112 dancers 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performance and inventory development of stage anxiety. The subjects are 112 dancers who take part dance contest in Kwangju and Chonnam area. The method is anxiety questionnaire. 112 dancers were required to write questionnaire before beginning contest one hou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ata analysis of this study was one way ANOVA in stage anxiety(confidence, somatic anxiety, cognitive anxiety, comfort factor). Second, major anxiety 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style of participation anxiety 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th, career anxiety 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frequence of prize anxiety 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stage anxiety was import problem to danc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3
      • 3. 연구의 문제 = 3
      • 4. 연구의 가설 = 4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3
      • 3. 연구의 문제 = 3
      • 4. 연구의 가설 = 4
      • II. 이론적 배경 = 5
      • 1 불안의 정의 = 5
      • 2. 불안의 원인 = 7
      • 3. 불안의 측정 = 8
      • 4. 불안과 운동수행과의 관계 = 11
      • III. 연구 방법 = 16
      • 1. 연구대상 = 16
      • 2. 연구기간 및 방법 = 16
      • 3. 조사도구 = 16
      • 4. 통계처리 = 17
      • IV. 결과 및 논의 = 18
      • 1 무대불안 검사지 개발 = 18
      • 2. 전공별 불안요인에 관한 연구 = 23
      • 3. 참가 부분별 불안요인에 관한 분석 = 24
      • 4. 경력별 불안용인에 관한 분석25
      • 5. 수상횟수별 불안요인에 관한 분석 = 26
      • 6. 기대수준별 불안요인에 관한 분석 = 27
      • V. 결론 및 제언 = 28
      • 참고문헌 = 2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