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무용수들의 무대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불안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무대불안 척도를 개발하여 무용변인(전공별, 참가부분별, 경력별, 수상횟수별, 기대수준별)에 어떠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무용수들의 무대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불안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무대불안 척도를 개발하여 무용변인(전공별, 참가부분별, 경력별, 수상횟수별, 기대수준별)에 어떠한 ...
본 연구는 무용수들의 무대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불안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무대불안 척도를 개발하여 무용변인(전공별, 참가부분별, 경력별, 수상횟수별, 기대수준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광주, 전남 지역 무용 콩쿨에 출전한 무용수 112명을 대상으로 무대불안에 관한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공연 1시간 전에 불안 검사지를 응답자들에게 배포하여 무용수의 심리적 상태를 파악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무대불안 검사지 개발은 4가지 요인 즉 자신감, 신체적 불안, 인지적 불안, 편안함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별 불안요인에서는 자신감, 인지적 불안에서만 차이가 있었는데 자신감에서는 발레가 현대무용, 한국무용보다 유의(P<.05)한 차를 보였고, 인지적 불안에서는 현대무용, 한국무용이 발레보다 유의(P<.001)한 차를 보였다.
셋째, 참가부분별 불안요인에서는 인지적 불안만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독무가 군무에 비해 유의(P<.05)한 차를 보였다.
넷째, 경력별 불안요인에서는 자신감, 인지적 불안에서만 차이가 있었는데 경력이 낮을수록 인지적 불안이 유의(P<.001)한 차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수상횟수별 불안요인에서는 자신감과 인지적 불안요인에서만 차이가 있었는데 수상횟수가 많을수록 자신감에서 유의(P<.05)한 차를 보였고, 수상횟수가 적을수록 인지적 불안에서 유의(P<.01)한 차를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론에 따라 무대불안은 무용수들의 최적무용수행을 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대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처방이나 노력이 필요하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performance and inventory development of stage anxiety. The subjects are 112 dancers who take part dance contest in Kwangju and Chonnam area. The method is anxiety questionnaire. 112 dancers 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performance and inventory development of stage anxiety. The subjects are 112 dancers who take part dance contest in Kwangju and Chonnam area. The method is anxiety questionnaire. 112 dancers were required to write questionnaire before beginning contest one hou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ata analysis of this study was one way ANOVA in stage anxiety(confidence, somatic anxiety, cognitive anxiety, comfort factor). Second, major anxiety 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style of participation anxiety 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th, career anxiety 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frequence of prize anxiety 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stage anxiety was import problem to dancer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