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황선영, "형태·통사적 완화 장치 분석을 통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간접화행 연구" 이중언어학회 (62) : 185-208, 2016
2 혼다 토모쿠니, "한국어․일본어 거절 화행의 비교 문화 화용론적 연구" 국어교육학회 (43) : 563-595, 2012
3 폴리롱, "한국어 모어 화자와 홍콩 광둥어 화자의 거절 화행 실현 양상 비교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6 (26): 267-301, 2015
4 폴리롱, "한국어 모어 화자와 홍콩 광둥어 화자의 거절 부담감 비교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6 (26): 353-386, 2015
5 홍혜란, "폴란드인 한국어 학습자의 거절화행 실현 유형과 특징에 관한 연구 -교차문화적 관점에서 본 정중성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4 (4): 219-247, 2008
6 정혜경,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거절 화행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2
7 윤미라, "직장內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어 모어 화자의 거절 화행 전략 비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21-147, 2017
8 이해영, "일본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거절 화행 실현 양상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11-326, 2003
9 이해영, "외국인의 한국어 거절 화행 실현에 대한 한국인의 수용 태도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203-228, 2009
10 이해영, "비교문화적 화용론의 관점에서 본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사과 화행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7 (27): 233-260, 2016
1 황선영, "형태·통사적 완화 장치 분석을 통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간접화행 연구" 이중언어학회 (62) : 185-208, 2016
2 혼다 토모쿠니, "한국어․일본어 거절 화행의 비교 문화 화용론적 연구" 국어교육학회 (43) : 563-595, 2012
3 폴리롱, "한국어 모어 화자와 홍콩 광둥어 화자의 거절 화행 실현 양상 비교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6 (26): 267-301, 2015
4 폴리롱, "한국어 모어 화자와 홍콩 광둥어 화자의 거절 부담감 비교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6 (26): 353-386, 2015
5 홍혜란, "폴란드인 한국어 학습자의 거절화행 실현 유형과 특징에 관한 연구 -교차문화적 관점에서 본 정중성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4 (4): 219-247, 2008
6 정혜경,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거절 화행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2
7 윤미라, "직장內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어 모어 화자의 거절 화행 전략 비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21-147, 2017
8 이해영, "일본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거절 화행 실현 양상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11-326, 2003
9 이해영, "외국인의 한국어 거절 화행 실현에 대한 한국인의 수용 태도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203-228, 2009
10 이해영, "비교문화적 화용론의 관점에서 본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사과 화행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7 (27): 233-260, 2016
11 Mekthawonwatthana, T., "The Comprehensive Meanings of Krengchai and the Important Aspects of Thai Culture" 52 (52): 235-263, 2012
12 Lee, H., "Refusal Speech Act Response: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 Refugees in Inducing Speech Acts and Directness" 18 (18): 17-30, 2018
13 Beebe, L. M., "Developmen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in a Second Language" Newbury House 55-73, 1990
14 Wierzbicka, A., "Cross-Cultural Pragmatics: The Semantics of Human Interaction" Mouton de Gruyter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