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공예문화상품 개발과 활성화 방안 연구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Stimulation of Cultural Art Craf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271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문화적 가치에 대한 관심이 크게 고조되고 있다. 국가 정책으로도 문화 콘텐츠 산업을 지식 경제 핵심산업으로 육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흔히 문화의 세기라고 말하는 오늘날은 과거의 단순한 기능성과 기술력만으로는 상품의 가치를 높이기 힘들다. 그 나라의 고유한 문화가 스며있는 문화적 상품들이 시장과 경쟁력에서 우위에 설 수 있을 것이다. 문화는 한 사회에 속한 구성원들의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하며, 그로써 독특한 차별성을 보일 수 있는 보물창고이다. 앞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여 평범한 일상에 특별한 향기를 불어 넣어주는 존재로서 부가가치가 높은 공예문화상품의 개발과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접근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문화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국의 공예가 새로운 형태로 그 영역을 확산하고 국제적 경쟁 시장에서 주된 역할을 하기 위해서 공예문화상품의 개발과 활성화 방안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문화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공예문화 특성 및 시대성과 지역성, 공예의 문화상품화와 관광문화상품에 대해 고찰한다. 또한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공예문화상품을 개발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고 개발된 문화상품의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한다.
      번역하기

      오늘날 문화적 가치에 대한 관심이 크게 고조되고 있다. 국가 정책으로도 문화 콘텐츠 산업을 지식 경제 핵심산업으로 육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흔히 문화의 세기라고 말하는 오늘날은 과...

      오늘날 문화적 가치에 대한 관심이 크게 고조되고 있다. 국가 정책으로도 문화 콘텐츠 산업을 지식 경제 핵심산업으로 육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흔히 문화의 세기라고 말하는 오늘날은 과거의 단순한 기능성과 기술력만으로는 상품의 가치를 높이기 힘들다. 그 나라의 고유한 문화가 스며있는 문화적 상품들이 시장과 경쟁력에서 우위에 설 수 있을 것이다. 문화는 한 사회에 속한 구성원들의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하며, 그로써 독특한 차별성을 보일 수 있는 보물창고이다. 앞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여 평범한 일상에 특별한 향기를 불어 넣어주는 존재로서 부가가치가 높은 공예문화상품의 개발과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접근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문화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국의 공예가 새로운 형태로 그 영역을 확산하고 국제적 경쟁 시장에서 주된 역할을 하기 위해서 공예문화상품의 개발과 활성화 방안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문화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공예문화 특성 및 시대성과 지역성, 공예의 문화상품화와 관광문화상품에 대해 고찰한다. 또한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공예문화상품을 개발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고 개발된 문화상품의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t the Present time, interest in cultural values is greatly increasing. National policy is also striving to foster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as a core industry for the knowledge economy. Today, often referred to as the century of culture,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value of products only with the simple functionality and technology of the past. Cultural products that permeate the country's unique culture will be able to dominate the market and competitiveness. Culture forms an emotional consensus among members of a society, and thereby is a treasure trove of unique differences.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rona era, a strategic approach is needed to develop and revitalize craft culture products with high added value as beings that inject a special scent into ordinary daily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development and activation plan of craft culture products in order to spread the field of Korean craftsmen in a new form based on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play a major role i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 market. Therefore, it examines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aft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and the locality,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craft, and the tourism cultural product. In addition, it researches ways to develop craft culture products required by modern society, and presents marketing strategies for revitalizing the developed cultural products.
      번역하기

      At the Present time, interest in cultural values is greatly increasing. National policy is also striving to foster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as a core industry for the knowledge economy. Today, often referred to as the century of culture, it is di...

      At the Present time, interest in cultural values is greatly increasing. National policy is also striving to foster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as a core industry for the knowledge economy. Today, often referred to as the century of culture,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value of products only with the simple functionality and technology of the past. Cultural products that permeate the country's unique culture will be able to dominate the market and competitiveness. Culture forms an emotional consensus among members of a society, and thereby is a treasure trove of unique differences.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rona era, a strategic approach is needed to develop and revitalize craft culture products with high added value as beings that inject a special scent into ordinary daily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development and activation plan of craft culture products in order to spread the field of Korean craftsmen in a new form based on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play a major role i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 market. Therefore, it examines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aft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and the locality,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craft, and the tourism cultural product. In addition, it researches ways to develop craft culture products required by modern society, and presents marketing strategies for revitalizing the developed cultural produ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추원교, "한국산업공예의 활성화 방법연구-문화적 정체성의 관점에서" 3 (3): 2000

      2 김철준, "한국문화 전통론"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3

      3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4 한영숙, "제작 및 유통현황 분석을 통한 공예문화상품연구" 한국도자학회 3 (3): 87-101, 2007

      5 "위키백과"

      6 "우수문화상품 누리집"

      7 "오죽헌/시립박물관"

      8 "스페인 야도르"

      9 정연택, "산업사회에 있어서 공예의 문화적 의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6

      10 이희승, "민중 엣센스 국어사전" 민중 출판사 1997

      1 추원교, "한국산업공예의 활성화 방법연구-문화적 정체성의 관점에서" 3 (3): 2000

      2 김철준, "한국문화 전통론"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3

      3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4 한영숙, "제작 및 유통현황 분석을 통한 공예문화상품연구" 한국도자학회 3 (3): 87-101, 2007

      5 "위키백과"

      6 "우수문화상품 누리집"

      7 "오죽헌/시립박물관"

      8 "스페인 야도르"

      9 정연택, "산업사회에 있어서 공예의 문화적 의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6

      10 이희승, "민중 엣센스 국어사전" 민중 출판사 1997

      11 백승정, "문화콘텐츠시대의 디자인" 한국공예문화진흥원 2007

      12 김영기, "문화적 센스가 있는 상품개발 전략" 문화관광부 1999

      13 홍성태, "문화적 상품개발을 위한 전략적 접근" 문화관광부 1999

      14 "네이버 지식백과. 문화"

      15 허갑중, "공예품 마케팅 강화 방안" 한국관광연구원 2000

      16 이수철, "공예의 이해" 도서출판 예경 2007

      17 유종열, "공예의 길" 신구문화사 1995

      18 황동열, "공예문화상품 제작․유통실태조사 연구" 문화관광부 2000

      19 유종열, "공예문화" 신구문화사 1993

      20 Edward Lucie-smith, "공예론" 도서출판 창미 1983

      21 김선현, "공예 산업 육성을 위한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도자학회 2 (2): 135-148, 2005

      22 김기설, "경포호수와 그 주변의 문화" 해람기획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7 0.07 0.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3 0.13 0.28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