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구려 유민 高慈 墓誌에 대한 몇 가지 문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高慈墓誌는 1917년 洛陽 邙山에서 출토되었다. 그후 언제인가 羅振玉이 그것을 求得하여 그가 죽은 1940년까지 요령성 旅順의 大雲書庫에 보관하고 있었다. 그러나 1945년 8월 일본의 패망으로 소련군이 여순에 진주하여 대운서고를 징발함으로써 고자묘지를 비롯한 그곳의 유물과 전적들이 뿔뿔이 흩어지고 망실되었다. 그후 중국 인민정부는 일부 온전하게 남은 자료와 앞서 반출된 유물을 회수하여 요령성도서관, 요령성박물관, 대련도서관, 여순박물관 등에 넘겼다. 따라서 고자묘지는 이들 기관에 소장되어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고자묘지에는 지문의 지은이와 글쓴이가 누구인지 밝히지 않았다. 고자는 아버지인 高質과 함께 만세통천 2년(697)에 磨米城에서 전사하여 성력 3년 같은 달 같은 날에 洛州 合宮縣 平樂鄕에 나란히 묻혔다. 그런데 고자묘지의 글씨는 고질묘지의 글씨와 매우 흡사하다. 특히 글쓴이의 글자 사용성향을 잘 보여주는 異體字를 비교해보면, 두 묘지는 최소 98.2% 최대 100%가 겹칠 뿐더러 글씨체도 완전히 일치한다. 따라서 두 묘지는 동일인이 쓴 것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고자묘지는 고질묘지를 쓴 劉從一이 썼다고 하겠다.
      고자는 성력 3년 臘月 17일 洛州 合宮縣 平樂鄕에 묻혔다. 따라서 고자묘지는 이즈음 제작되었을 터인데, 종전에는 모두 “성력 3년 臘月 17일”을 서기 700년 12월 17일로 이해하였다. 성력은 697년 11월 1일부터 700년 5월 4일까지 사용된 측천무후 치세의 연호이다. 측천무후는 載初 원년(690)부터 역법을 周曆으로 바꾸어, 11월을 正月로 하고 12월을 臘月, 종전의 정월을 1월이라 하였다. 성력은 바로 주력을 사용하던 시기였으므로 성력 3년 臘月은 699년 12월에 해당한다. 따라서 고자묘지는 서기 699년 12월경에 만들어졌다고 하겠다.
      번역하기

      高慈墓誌는 1917년 洛陽 邙山에서 출토되었다. 그후 언제인가 羅振玉이 그것을 求得하여 그가 죽은 1940년까지 요령성 旅順의 大雲書庫에 보관하고 있었다. 그러나 1945년 8월 일본의 패망으로 ...

      高慈墓誌는 1917년 洛陽 邙山에서 출토되었다. 그후 언제인가 羅振玉이 그것을 求得하여 그가 죽은 1940년까지 요령성 旅順의 大雲書庫에 보관하고 있었다. 그러나 1945년 8월 일본의 패망으로 소련군이 여순에 진주하여 대운서고를 징발함으로써 고자묘지를 비롯한 그곳의 유물과 전적들이 뿔뿔이 흩어지고 망실되었다. 그후 중국 인민정부는 일부 온전하게 남은 자료와 앞서 반출된 유물을 회수하여 요령성도서관, 요령성박물관, 대련도서관, 여순박물관 등에 넘겼다. 따라서 고자묘지는 이들 기관에 소장되어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고자묘지에는 지문의 지은이와 글쓴이가 누구인지 밝히지 않았다. 고자는 아버지인 高質과 함께 만세통천 2년(697)에 磨米城에서 전사하여 성력 3년 같은 달 같은 날에 洛州 合宮縣 平樂鄕에 나란히 묻혔다. 그런데 고자묘지의 글씨는 고질묘지의 글씨와 매우 흡사하다. 특히 글쓴이의 글자 사용성향을 잘 보여주는 異體字를 비교해보면, 두 묘지는 최소 98.2% 최대 100%가 겹칠 뿐더러 글씨체도 완전히 일치한다. 따라서 두 묘지는 동일인이 쓴 것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고자묘지는 고질묘지를 쓴 劉從一이 썼다고 하겠다.
      고자는 성력 3년 臘月 17일 洛州 合宮縣 平樂鄕에 묻혔다. 따라서 고자묘지는 이즈음 제작되었을 터인데, 종전에는 모두 “성력 3년 臘月 17일”을 서기 700년 12월 17일로 이해하였다. 성력은 697년 11월 1일부터 700년 5월 4일까지 사용된 측천무후 치세의 연호이다. 측천무후는 載初 원년(690)부터 역법을 周曆으로 바꾸어, 11월을 正月로 하고 12월을 臘月, 종전의 정월을 1월이라 하였다. 성력은 바로 주력을 사용하던 시기였으므로 성력 3년 臘月은 699년 12월에 해당한다. 따라서 고자묘지는 서기 699년 12월경에 만들어졌다고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pitaph of Goja(高慈墓誌) was excavated from Luoyang(洛陽) Mangshan Mountain in 1917. After that, Luozhenyu(羅振玉) collected and kept it his study in Lushun(旅順) Liaoning Province(遼寧 省) until his death in 1940. However, after the defeat of Japan in August 1945, the Soviet army captured Lushun and requisitioned his study, leaving the Epitaph of Goja and other relics and records scattered and lost. Afterwards, the Chinese People’s Government collected some intact materials and previously taken out artifacts and handed them over to Liaoning Province library, Liaoning Province museum, Lushun museum, and Daren library. Therefore, the possibility cannot be ruled out that the Epitaph of Goja is housed in these institutions.
      It did not reveal who the author and writer of the Epitaph of Goja were. Goja and his father Gojil(高質) were killed in the battle of Mamisung(磨米城) in 697 and buried in the same place on the same day. However, the handwriting of Epitaph of Goja is very similar to that of Epitaph of Gojil. In particular, when comparing the different styles that show the writer’s tendency to use letters, the two epitaphs not only overlap at least 98.2% but also completely match the handwriting. Then Liucongyi(劉從一), who wrote the Epitaph of Gojil, wrote the Epitaph of Goja.
      Goja was buried in Luoyang Mangshan Mountain in December the third year of Sungreok(성력), so his epitaph must have been built around this time. However, it was previously understood that December the third year of Sungreok were December 700 AD. However, December the third year of Sungreok was December 699 A.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Epitaph of Goja was made around December 699 A.D.
      번역하기

      The Epitaph of Goja(高慈墓誌) was excavated from Luoyang(洛陽) Mangshan Mountain in 1917. After that, Luozhenyu(羅振玉) collected and kept it his study in Lushun(旅順) Liaoning Province(遼寧 省) until his death in 1940. However, after th...

      The Epitaph of Goja(高慈墓誌) was excavated from Luoyang(洛陽) Mangshan Mountain in 1917. After that, Luozhenyu(羅振玉) collected and kept it his study in Lushun(旅順) Liaoning Province(遼寧 省) until his death in 1940. However, after the defeat of Japan in August 1945, the Soviet army captured Lushun and requisitioned his study, leaving the Epitaph of Goja and other relics and records scattered and lost. Afterwards, the Chinese People’s Government collected some intact materials and previously taken out artifacts and handed them over to Liaoning Province library, Liaoning Province museum, Lushun museum, and Daren library. Therefore, the possibility cannot be ruled out that the Epitaph of Goja is housed in these institutions.
      It did not reveal who the author and writer of the Epitaph of Goja were. Goja and his father Gojil(高質) were killed in the battle of Mamisung(磨米城) in 697 and buried in the same place on the same day. However, the handwriting of Epitaph of Goja is very similar to that of Epitaph of Gojil. In particular, when comparing the different styles that show the writer’s tendency to use letters, the two epitaphs not only overlap at least 98.2% but also completely match the handwriting. Then Liucongyi(劉從一), who wrote the Epitaph of Gojil, wrote the Epitaph of Goja.
      Goja was buried in Luoyang Mangshan Mountain in December the third year of Sungreok(성력), so his epitaph must have been built around this time. However, it was previously understood that December the third year of Sungreok were December 700 AD. However, December the third year of Sungreok was December 699 A.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Epitaph of Goja was made around December 699 A.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묘지의 행방
      • Ⅲ. 글쓴이의 추정
      • Ⅳ. 제작시기 검토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묘지의 행방
      • Ⅲ. 글쓴이의 추정
      • Ⅳ. 제작시기 검토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