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으로 소통되는 세계에서 한국어와 영어, 일본어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공감 반응을 나타내며 그 과정에 문화적 요인은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비대면으로 소통되는 세계에서 한국어와 영어, 일본어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공감 반응을 나타내며 그 과정에 문화적 요인은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
비대면으로 소통되는 세계에서 한국어와 영어, 일본어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공감 반응을 나타내며 그 과정에 문화적 요인은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각 국가에서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사건 가운데 공감 반응을 일으키기 쉬운 부정적인 사건을 선정하여 분석을 진행했다. 공감 반응은 전략과 표현을 분석했는데 전략 범주는 감정 관련, 인지 관련, 행위 관련 범주 3가지로 분류되고 하위 항목으로 10가지 항목을 나눌 수 있었다. 감정 관련 범주에서는 모든 언어에서 감정 표현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을 볼 수 있지만 직접 공감하기와 같은 경우 한국어와 일본어에서만 찾아볼 수 있었다. 공감 표현에서 감정 표현은 한국어와 일본어에서 슬픔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 표현이 많이 관찰되었다. 또한 한국어 감정 표현에서는 미안함의 표현이 나타난 것이 특징적이었다. 이러한 감정 반응 전략에서 한국어에는 여성성이나 집단주의, 의무감 등과 같은 문화 요인이 영향을 주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공감 반응 분석에서 이분법적인 논의가 아닌 다차원적이고 세부적인 분석의 필요성을 제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how Korean, English, and Japanese respond in a non-face-to-face world of communication and how cultural factors affect the process. To this end, negative even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mong events widely k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how Korean, English, and Japanese respond in a non-face-to-face world of communication and how cultural factors affect the process. To this end, negative even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mong events widely known to the public in each country. Empathic response analyzed strategies and expressions, and the strategy categor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related to emotion, cognition, and behavior, and 10 items could be divided into sub-items. In the emotion-related category, emotional expression accounts for a large proportion in all languages, but in cases such as direct empathy, it was only found in Korean and Japanese. In the expression of empathy, many negative expressions such as sadness were observed in Korean and Japanese. In addition, it was characterized by the expression of sorry in the Korean expression of emotion. In this emotional response strategy, it can be seen that cultural factors such as femininity, collectivism, and a sense of duty affect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aised the need for multidimensional and detailed analysis rather than dichotomous discussion in empathic response analysi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혜원,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공감적 청자 반응 전략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
2 권상정 ; 장우진, "플랫폼에 따른 다큐멘터리 서사전략 연구:
3 송연희, "일본어 분노의 감정표현 사용양상-담화상의 감정을 중심으로-" 한국일어일문학회 89 (89): 129-146, 2014
4 Hofstede, G., "세계의 문화와 조직 : 정신의 소프트웨어" 학지사 2014
5 Berry, John W., "비교문화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17
6 이성범, "공적인 분노 표현 행위에 대한 한국어, 영어, 일본어 대조화용적 연구" 언어정보연구소 29 : 267-294, 2016
7 박성희, "공감학" 창지사 2003
8 Atkins, D., "The role of culture in empathy" University of Kent 2014
9 Cassels, T. G., "The role of culture in affective empathy:Cultural and bicultural differences" 10 (10): 309-326, 2010
10 Chung, R. C. Y., "The relationship of culture and empathy in crosscultural counseling" 80 (80): 154-159, 2002
1 이혜원,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공감적 청자 반응 전략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
2 권상정 ; 장우진, "플랫폼에 따른 다큐멘터리 서사전략 연구:
3 송연희, "일본어 분노의 감정표현 사용양상-담화상의 감정을 중심으로-" 한국일어일문학회 89 (89): 129-146, 2014
4 Hofstede, G., "세계의 문화와 조직 : 정신의 소프트웨어" 학지사 2014
5 Berry, John W., "비교문화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17
6 이성범, "공적인 분노 표현 행위에 대한 한국어, 영어, 일본어 대조화용적 연구" 언어정보연구소 29 : 267-294, 2016
7 박성희, "공감학" 창지사 2003
8 Atkins, D., "The role of culture in empathy" University of Kent 2014
9 Cassels, T. G., "The role of culture in affective empathy:Cultural and bicultural differences" 10 (10): 309-326, 2010
10 Chung, R. C. Y., "The relationship of culture and empathy in crosscultural counseling" 80 (80): 154-159, 2002
11 Gudykunst, W. B., "The influence of cultural individualism-colectivism, self construals, and individual values on communication styles acroscultures" 2 (2): 510-543, 1996
12 Moran, P., "Teaching Culture : Perspectives in Practice" 2001
13 Lee, V., "Renaissance Fancies and Studies: Being a Sequel to ‘Euphorion’" Smith, Elder 1895
14 Eisenberg, N., "Prosocial motives, emotions, and behavior: The better angels of our natur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29-148, 2010
15 Batson, C. D., "Prosocial motives, emotions, and behavior: The better angels of our natur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5-34, 2010
16 Davis, M. H.,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 Evidence for a multidimensional approach" 44 (44): 113-, 1983
17 Matsumoto, D., "Mapping expressive differences around the world :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isplay rules and individualism versus collectivism" 39 (39): 55-74, 2008
18 Schwartz, S. H., "Extending the cross-cultural validity of the theory of basic human values with a different method of measurement" 32 (32): 519-542, 2001
19 Spencer-Oatey, H., "Explaining cross-cultural pragmatic findings : moving from politeness maxims to sociopragmatic interactional principles(SIPs)" 35 (35): 1633-1650, 2003
20 Rogers, C. R., "Empathic : An unappreciated way of being" 5 (5): 2-10, 1975
21 Chopik, W. J., "Differences in empathic concern and perspective taking across 63 countries" 48 (48): 23-38, 2017
22 Trommsdorff, G., "Development of person-context relations" Lawrence Erlbaum 113-146, 1999
23 Stewart, E. C., "Culture Hero in Intercultural Training" Intercultural Pres 2 : 1999
24 Wind, E., "Art and anarchy"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85
25 Wellek, R., "A History of Modern Criticism, 1750-1950" Yale Univ. Press 1966
교사 전달력에 영향을 미치는 음성적 요소에 대한 예비교사와 학습자 인식 차이
Cwuta as the Marker for the Benefactive Construction - A Constructionist Approach -
연결어미 ‘-고’와 ‘-아서’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 조사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