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언어 학습에서 정체성의 문제에 대한 탐색 - Norton(2013)을 중심으로 - = Exploring identity issues in language education - focused on Norton(2013)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504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제2 언어 습득(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에서 정체성은 개인의 일관되고 변하지 않는 특징으로서 언어 습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로 여겨져 왔지만 후기 구조주의에서는 다양하고 모순되기도 하며 역동적인 것으로서 언어 습득에 좀 더 근본적인 기제가 된다고 본다. Norton(2013)의 연구는 정체성이 변화하는 것이라는 점, 그리고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언어가 깊이 관여한다는 점을 다양한 학습자들의 내러티브 분석을 통해 그리고 후기구조주의의 여러 이론을 통해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 과정에서 제2 언어 습득 연구자들이 학습자가 목표어 공동체에 접근하는 데에 권력 관계가 어떤 영향을 주는지 다룰 필요가 있다는 점, 학습자의 언어 습득의 본질적인 측면을 꿰뚫기 위해서는 서로를 상호구성하는 ‘정체성’, ‘실행’, ‘자원’의 세 가지 요소에 대한 탐구와 ‘투자’와 ‘상상의 공동체’에 대한 개념 적용이 필요하다는 점을 역설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Norton(2013)의 언어 정체성과 언어 습득에 대한 통찰을 주요 개념인 ‘정체성’, ‘투자’, ‘상상의 공동체’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한국어 교육에서 그동안 ‘정체성’에 대한 이슈가 논의되어 온 범위와 깊이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정체성 연구가 기여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지, 이를 위해 정체성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제2 언어 습득(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에서 정체성은 개인의 일관되고 변하지 않는 특징으로서 언어 습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로 여겨져 왔지만 후기 구조주의에서는 다양하고 모순...

      제2 언어 습득(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에서 정체성은 개인의 일관되고 변하지 않는 특징으로서 언어 습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로 여겨져 왔지만 후기 구조주의에서는 다양하고 모순되기도 하며 역동적인 것으로서 언어 습득에 좀 더 근본적인 기제가 된다고 본다. Norton(2013)의 연구는 정체성이 변화하는 것이라는 점, 그리고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언어가 깊이 관여한다는 점을 다양한 학습자들의 내러티브 분석을 통해 그리고 후기구조주의의 여러 이론을 통해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 과정에서 제2 언어 습득 연구자들이 학습자가 목표어 공동체에 접근하는 데에 권력 관계가 어떤 영향을 주는지 다룰 필요가 있다는 점, 학습자의 언어 습득의 본질적인 측면을 꿰뚫기 위해서는 서로를 상호구성하는 ‘정체성’, ‘실행’, ‘자원’의 세 가지 요소에 대한 탐구와 ‘투자’와 ‘상상의 공동체’에 대한 개념 적용이 필요하다는 점을 역설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Norton(2013)의 언어 정체성과 언어 습득에 대한 통찰을 주요 개념인 ‘정체성’, ‘투자’, ‘상상의 공동체’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한국어 교육에서 그동안 ‘정체성’에 대한 이슈가 논의되어 온 범위와 깊이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정체성 연구가 기여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지, 이를 위해 정체성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 identity has been considered as a consistent and unchanging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and one of the factors affecting language acquisition, but in poststructuralism, identity is seen as diverse, contradictory, and dynamic, and is more fundamental to language acquisition. Norton's study(2013) sought to prove that identity is something that changes and that language is deeply involved in forming identity through analysis of the narratives of various learners and through various theories of poststructuralism. In the process, Norton emphasized the following two things. First,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esearchers need to address how power influence learners' access to the target language community. Second, in order to penetrate the essential aspects of learners’ language acquisition,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three elements of ‘identity’, ‘practice’, and ‘resources’ and apply the concepts of ‘investment’ and ‘imagined community’.
      This study examined Norton's (2013) key insights into language identity and language acquisition, focusing on the key concepts of ‘identity’, ‘investment’, and ‘imagined community’.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scope and depth of discussions on ‘identity’ issu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is, it is examined what identity research can contribute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what direction identity research should take.
      번역하기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 identity has been considered as a consistent and unchanging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and one of the factors affecting language acquisition, but in poststructuralism, identity is seen as diverse, contradicto...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 identity has been considered as a consistent and unchanging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and one of the factors affecting language acquisition, but in poststructuralism, identity is seen as diverse, contradictory, and dynamic, and is more fundamental to language acquisition. Norton's study(2013) sought to prove that identity is something that changes and that language is deeply involved in forming identity through analysis of the narratives of various learners and through various theories of poststructuralism. In the process, Norton emphasized the following two things. First,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esearchers need to address how power influence learners' access to the target language community. Second, in order to penetrate the essential aspects of learners’ language acquisition,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three elements of ‘identity’, ‘practice’, and ‘resources’ and apply the concepts of ‘investment’ and ‘imagined community’.
      This study examined Norton's (2013) key insights into language identity and language acquisition, focusing on the key concepts of ‘identity’, ‘investment’, and ‘imagined community’.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scope and depth of discussions on ‘identity’ issu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is, it is examined what identity research can contribute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what direction identity research should tak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Broudieu, P.,

      2 박정하, "해외 파견 한국어교원의 초국가적 정체성 형성 연구 : ‘코즈모폴리턴’과 ‘한류 전도사’ 사이의 경합과 전략에 주목하여" 한국구술사학회 14 (14): 163-210, 2023

      3 정하라 ; 윤여탁, "한국어교육 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의 학습경험과 직업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6 (16): 313-345, 2020

      4 백승주,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의 정치적 공정성의 문제 - 여성 결혼이민자와 이주노동자 교재의 문법 항목을 중심으로 -" 중앙어문학회 86 : 507-546, 2021

      5 정하라, "한국어 관련 전공 대학원생의 학습 과정과 정체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21

      6 김유진, "한국 국적 취득자의 한국어 능력 입증 필요성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연구 : 한국인의 국민 정체성 다문화 인식과 사회통합유형 선호도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29 (29): 61-86, 2021

      7 남설영, "중국인 한국어교육 대학원생의 학문적 정체성 형성에 대한 자문화기술지-언어 학습과 정체성 형성을 중심으로" 담화인지언어학회 2023

      8 Norton, B., "정체성과 언어 학습" 박이정 2013

      9 권문화, "이중언어 습득 경험에 기반한 조선족 유학생의 언어 정체성 연구" 경희대학교 2020

      10 황은하, "외국인 한국학 전공생의 이데올로기적 되어가기: 바흐친 대화주의에 기반한 한국어 학습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교육인류학회 22 (22): 49-92, 2019

      1 Broudieu, P.,

      2 박정하, "해외 파견 한국어교원의 초국가적 정체성 형성 연구 : ‘코즈모폴리턴’과 ‘한류 전도사’ 사이의 경합과 전략에 주목하여" 한국구술사학회 14 (14): 163-210, 2023

      3 정하라 ; 윤여탁, "한국어교육 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의 학습경험과 직업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6 (16): 313-345, 2020

      4 백승주,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의 정치적 공정성의 문제 - 여성 결혼이민자와 이주노동자 교재의 문법 항목을 중심으로 -" 중앙어문학회 86 : 507-546, 2021

      5 정하라, "한국어 관련 전공 대학원생의 학습 과정과 정체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21

      6 김유진, "한국 국적 취득자의 한국어 능력 입증 필요성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연구 : 한국인의 국민 정체성 다문화 인식과 사회통합유형 선호도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29 (29): 61-86, 2021

      7 남설영, "중국인 한국어교육 대학원생의 학문적 정체성 형성에 대한 자문화기술지-언어 학습과 정체성 형성을 중심으로" 담화인지언어학회 2023

      8 Norton, B., "정체성과 언어 학습" 박이정 2013

      9 권문화, "이중언어 습득 경험에 기반한 조선족 유학생의 언어 정체성 연구" 경희대학교 2020

      10 황은하, "외국인 한국학 전공생의 이데올로기적 되어가기: 바흐친 대화주의에 기반한 한국어 학습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교육인류학회 22 (22): 49-92, 2019

      11 신현란, "외국인 노동자-유학생의 이주경험과 정체성: 네팔 노동자-유학생의 생애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9 (9): 115-145, 2016

      12 김참이, "여성 결혼이민자의 ‘국적취득 준비 한국어 수업’ 경험을 통한 정체성 탐색 연구" 이중언어학회 (88) : 39-66, 2022

      13 김지영, "여성 결혼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에 나타난 학습자에 대한 이해와 믿음" 민족어문학회 (81) : 223-259, 2017

      14 함인숙 ; 이정희, "언어자본 관점에서 본 재미동포 2세 한국어 학습자의 정체성에 관한 내러티브 활용 연구"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9 (9): 211-236, 2021

      15 Broudieu, P, "언어와 상징권력" 나남 2014

      16 손희연, "상호적 내러티브 구성에서 드러나는 결혼이주여성의 서사적 정체성 연구-베트남어 모어 화자인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인터뷰 사례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54) : 185-215, 2014

      17 원진숙, "삶을 주제로 한 자기 표현적 쓰기 경험이 이주 여성의 자아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한국어 쓰기 교육 사례 연구" 한국작문학회 (11) : 137-164, 2010

      18 이인혜, "비원어민 예비 한국어 교사의 교사 정체성 연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64 : 95-125, 2022

      19 Mi Ok Kang ; 이정애 ; 최은경, "베트남 결혼이주 여성의 정체성, 자본, 이데올로기" 다문화평화연구소 13 (13): 107-125, 2019

      20 이인혜, "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교환학생 경험과 정체성 연구" 이중언어학회 (81) : 289-320, 2020

      21 김가연,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정체성 연구" 고려대학교 2018

      22 박은미,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국내 거주 고려인의 한국어 학습 경험에 관한 연구" 우리말학회 (70) : 161-190, 2022

      23 염수원, "난민 배경 청소년의 한국어 학습 경험과 정체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24 안수진, "“I realized I am Korean”: Heritage Language Learning and Identity Development from Study Abroad Experience" 외국어교육연구소 32 (32): 27-53, 2018

      25 유영미, "‘초다양성’ 시대의 한국어 교사의 역할"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01-313, 2022

      26 Warriner, D. S., "Transnational literacies: Immigration, language learning, and identity" 18 : 3-4, 2007

      27 Bakhtin, M., "The dialogic imagination: Four essays" University of Texas Press 1981

      28 Schumann, J.,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Foreign Language Teaching" Center for Applied Linguistics 1978

      29 Cazden, C.,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equences in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1975

      30 Schumann, J., "Research on the acculturation model for second language acquisition" 7 (7): 379-382, 1986

      31 Bourdieu, P., "Outline of a theory of prac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7

      32 Anderson, B., "Imagined Communities: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Verso 1991

      33 Weedon, C, "Feminist Practice and Poststructuralist Theory" Blackwell 1997

      34 Wenger, E., "Communities of practice: 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35 Heller, M, "Children’s Ethnic Socialization" Sage 180-200, 1987

      36 Gardner, R C., "Attitudes and Motivation in Second-language learning" Newbury House 1972

      37 West, C, "A matter of life and death" 61 (61): 20-23,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