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범죄와 두려움의 공간적 특성 = Spatial aspects of crime and fear of cri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90762

      • 저자
      • 발행사항

        청원군 : 한국교원대학교, 200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2009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981.1 판사항(4)

      • DDC

        915.19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충청북도

      • 형태사항

        xiii, 222 p. : 삽화, 도표, 지도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195-209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부산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crime occurrence and fear of crime are gradually on the increase. Crime is an illegal action or activity and one of serious social problems that threaten the order and safety of a society. Fear of crime is a psychological feeling that you may be a victim of crime, which has a great deal of effect on your routine activity and makes you have the perception of a specific place. So far studies of crime and fear of crime have been mainly focused on persons such as criminals and victims. Although crime and fear of crime are closely connected with space, studies of its space are in its early stages.
      So, this study focuses on geographical factors of crime and fear of crime because these are closely related to space.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rime and fear of crime by using a quantitative method.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ims to grasp spatiotemporal patterns of crime in a spatial context, and show how important influence a spatial factor have on crime. Also, this study intends to explain that the spatial perception of fear of crime varies according to social and geographical differences. Finally, this study means to find out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space of crime and fear of crime by grasp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 of crime and fear of crime in CBD and residential areas of cities, whether crime coincides with fear of crime spatially or not, and what factors make fear of place.
      For this study, national crime data of 1989 and 2007 and data on places where crime occurred in Seoul, Suwon and Cheongju are provided from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data on fear of crime are acquired from the survey of ordinary citizens and students in Seoul, Suwon, Cheongju, and six metropolitan cities.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that analyzes crime phenomena of Korea are as follows.
      First, crime occurrence is closely related to population scale, and there are spati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rime patterns. For the past two decades, crime rate increased faster than population growth. Especially rape among five main crimes increased most, and so did crime rates in medium-sized cities with a population of 500,000 to one million. The spatial characteristic of a crime rate in 1989 is that murder and rape occurred more in rural areas than cities, and robbery, theft, violence occurred more in cities than in rural areas. The spatial characteristic of a crime rate in 2007 is that murder occurred more in rural areas than in cities, and rape, robbery, theft, and violence occurred more in cities than in rural areas.
      Second, geographical(spatial) analysis methods are useful to find out characteristics of space of crime. Distance decay is evident in cities. The number(rate, density) of crimes declines as distance from the CBD increases. Analysis based on rank-size rule which can easily grasp change patterns of crime and population shows that urban crime is continuously on the increase and crime remarkably increases in medium-sized cities. Location quotient of crime denotes concentration of specific crimes among total crimes. Analysis based on it shows that location quotient of theft has become higher in rural areas, while location quotient of assault has become higher in Seoul and its suburban areas from 1989 to 2007. Spatial autocorrelation and spatial regression analysis are methods that show autocorrelated areas and factors of crime occurrence by considering the neighborhood effect. Spatial autocorrelation is stronger on the local scale(neighborhood) than regional scale(city and county). In the spatial regression analysis, the proportion of the youth(ages were 15~30) and people who work in a bar is a major variable on the regional scale. Crime occurrence is closely related to land use patterns on the local scale.
      Third, fear of crime varies depending on social and economic circumstances of an individual and region. For example, fear of crime in Seoul, Suwon and Cheongju has low relevance to their population size, and is more affected by social and cultural factors. The difference of fear of crime in 10 neighborhoods of Seoul is greatly influenced by residential and economic environments. Women in their twenties who are single-person households and usually move on foot and by public transportation show the highest fear of crime.
      Fourth, crime and fear of crime have each geography. In CBD, assault is more dispersed than theft because theft tends to concentrates in shopping streets of CBD. In residential areas, theft shows a higher degree of dispersion than assault. This is because theft occurs frequently around residential areas. Fear of crime is high both in places where amusement centers and business districts are concentrated and in alleys, as well as in parks in residential areas. Namely, crime occurrence and fear of crime are closely associated with land use.
      Fifth, although crime is spatially correlated with fear of crime, there are exceptional places and regions. On the whole, fear of crime tends to be high in places where many crimes are committed, which is not necessarily true. On a regional scale, fear of crime can be high or low according to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factors regardless of crime occurrence. On a local scale, fear of crime is high in parks which have a low crime rate, and fear of crime is low in huge shopping centers which have a high crime rate. Namely, fear of crime is considerably affected by physical environments such as the lighting level, neon signs in amusement centers, alleys as well as actual crime occurrences. Therefore, fear of crime is not fully explained only by actual crime occurrences, and the concept of 'fear of place' is needed to compensate for fear of crime.
      Sixth, three methods(the number of crimes, crime rate, crime density) are used in the analysis of crime space. Each method has its merits and demerits, so the geographical scale should be first considered to choose the most appropriate method among three. The number of crime is not an appropriate method in cities and counties because it has a strong correlation with population size. On the contrary, crime rate and crime density are used in crime comparison of city and county. Rather, the number of crimes and crime density is more suitable neighborhoods of Seoul for the analysis of crime space. If crime rate is used in neighborhoods of CBD, crime rate can be overly high because of the small resident population. Accordingly, it is good to consider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make an overall judgment when analyzing crime space by using three approaches to crime.
      This study puts great emphasis on the spatial importance of crime and fear of crime. Also, attempts to overcome the limits of existing theories of crime and fear of crime are made by reinterpreting the cause of the crime and fear of crime in a spatial context. So, it is necessary to grasp their spati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prevent crime and fear of crime.
      However, this study has two limitations. First, crime data are restricted only to crime cases which are provided 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Secondly, this survey in fear of crime is restricted to specific regions and age groups.
      번역하기

      Recently crime occurrence and fear of crime are gradually on the increase. Crime is an illegal action or activity and one of serious social problems that threaten the order and safety of a society. Fear of crime is a psychological feeling that you may...

      Recently crime occurrence and fear of crime are gradually on the increase. Crime is an illegal action or activity and one of serious social problems that threaten the order and safety of a society. Fear of crime is a psychological feeling that you may be a victim of crime, which has a great deal of effect on your routine activity and makes you have the perception of a specific place. So far studies of crime and fear of crime have been mainly focused on persons such as criminals and victims. Although crime and fear of crime are closely connected with space, studies of its space are in its early stages.
      So, this study focuses on geographical factors of crime and fear of crime because these are closely related to space.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rime and fear of crime by using a quantitative method.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ims to grasp spatiotemporal patterns of crime in a spatial context, and show how important influence a spatial factor have on crime. Also, this study intends to explain that the spatial perception of fear of crime varies according to social and geographical differences. Finally, this study means to find out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space of crime and fear of crime by grasp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 of crime and fear of crime in CBD and residential areas of cities, whether crime coincides with fear of crime spatially or not, and what factors make fear of place.
      For this study, national crime data of 1989 and 2007 and data on places where crime occurred in Seoul, Suwon and Cheongju are provided from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data on fear of crime are acquired from the survey of ordinary citizens and students in Seoul, Suwon, Cheongju, and six metropolitan cities.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that analyzes crime phenomena of Korea are as follows.
      First, crime occurrence is closely related to population scale, and there are spati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rime patterns. For the past two decades, crime rate increased faster than population growth. Especially rape among five main crimes increased most, and so did crime rates in medium-sized cities with a population of 500,000 to one million. The spatial characteristic of a crime rate in 1989 is that murder and rape occurred more in rural areas than cities, and robbery, theft, violence occurred more in cities than in rural areas. The spatial characteristic of a crime rate in 2007 is that murder occurred more in rural areas than in cities, and rape, robbery, theft, and violence occurred more in cities than in rural areas.
      Second, geographical(spatial) analysis methods are useful to find out characteristics of space of crime. Distance decay is evident in cities. The number(rate, density) of crimes declines as distance from the CBD increases. Analysis based on rank-size rule which can easily grasp change patterns of crime and population shows that urban crime is continuously on the increase and crime remarkably increases in medium-sized cities. Location quotient of crime denotes concentration of specific crimes among total crimes. Analysis based on it shows that location quotient of theft has become higher in rural areas, while location quotient of assault has become higher in Seoul and its suburban areas from 1989 to 2007. Spatial autocorrelation and spatial regression analysis are methods that show autocorrelated areas and factors of crime occurrence by considering the neighborhood effect. Spatial autocorrelation is stronger on the local scale(neighborhood) than regional scale(city and county). In the spatial regression analysis, the proportion of the youth(ages were 15~30) and people who work in a bar is a major variable on the regional scale. Crime occurrence is closely related to land use patterns on the local scale.
      Third, fear of crime varies depending on social and economic circumstances of an individual and region. For example, fear of crime in Seoul, Suwon and Cheongju has low relevance to their population size, and is more affected by social and cultural factors. The difference of fear of crime in 10 neighborhoods of Seoul is greatly influenced by residential and economic environments. Women in their twenties who are single-person households and usually move on foot and by public transportation show the highest fear of crime.
      Fourth, crime and fear of crime have each geography. In CBD, assault is more dispersed than theft because theft tends to concentrates in shopping streets of CBD. In residential areas, theft shows a higher degree of dispersion than assault. This is because theft occurs frequently around residential areas. Fear of crime is high both in places where amusement centers and business districts are concentrated and in alleys, as well as in parks in residential areas. Namely, crime occurrence and fear of crime are closely associated with land use.
      Fifth, although crime is spatially correlated with fear of crime, there are exceptional places and regions. On the whole, fear of crime tends to be high in places where many crimes are committed, which is not necessarily true. On a regional scale, fear of crime can be high or low according to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factors regardless of crime occurrence. On a local scale, fear of crime is high in parks which have a low crime rate, and fear of crime is low in huge shopping centers which have a high crime rate. Namely, fear of crime is considerably affected by physical environments such as the lighting level, neon signs in amusement centers, alleys as well as actual crime occurrences. Therefore, fear of crime is not fully explained only by actual crime occurrences, and the concept of 'fear of place' is needed to compensate for fear of crime.
      Sixth, three methods(the number of crimes, crime rate, crime density) are used in the analysis of crime space. Each method has its merits and demerits, so the geographical scale should be first considered to choose the most appropriate method among three. The number of crime is not an appropriate method in cities and counties because it has a strong correlation with population size. On the contrary, crime rate and crime density are used in crime comparison of city and county. Rather, the number of crimes and crime density is more suitable neighborhoods of Seoul for the analysis of crime space. If crime rate is used in neighborhoods of CBD, crime rate can be overly high because of the small resident population. Accordingly, it is good to consider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make an overall judgment when analyzing crime space by using three approaches to crime.
      This study puts great emphasis on the spatial importance of crime and fear of crime. Also, attempts to overcome the limits of existing theories of crime and fear of crime are made by reinterpreting the cause of the crime and fear of crime in a spatial context. So, it is necessary to grasp their spati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prevent crime and fear of crime.
      However, this study has two limitations. First, crime data are restricted only to crime cases which are provided 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Secondly, this survey in fear of crime is restricted to specific regions and age group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범죄 발생과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증가하고 있다. 범죄는 법률을 위반한 행위로 사회의 질서와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사회 문제중의 하나이다. 또한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범죄 피해를 당할 것 같은 심리적느낌으로 일상생활에 많은 영향을 주고 특정 장소에 대한 지각을 형성하게 만든다. 그동안 범죄와 두려움의 연구는 범죄자와 피해자와 같이 사람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범죄 행위와 두려움의 감정은 공간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범죄 발생과 두려움이 높게 나타나는 공간의 중요성과 형성요인에 대한 연구는 아직 시작 단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범죄와 두려움의 지리적 요인을 기초로 다음과 같은 요소에 초점을 두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범죄라는 객관적 사실과 두려움이라는 주관적 감정의 공간적 분석을 위해 계량적 기법을 사용하여 범죄와 두려움의 공간을 파악하고 그 특성을 규명하였다. 즉, 범죄와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공간적특성을 해석하고 이들의 발생이 공간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밝히려고 시도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범죄 발생의 요인을 공간(장소)적 맥락에서 찾기 위해 실제 범죄 발생의 시·공간적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지리적 공간 분석 방법을 범죄에 적용해서 공간 요소가 범죄에 미치는 영향이 중요함을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공간 인식이 사회·지리적 차이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남을 밝히고, 대도시의 CBD와 주거지역에서나타나는 범죄와 두려움의 장소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범죄와 두려움간의 공간적 (불)일치 여부와 어떠한 요인으로 인해 두려움이 장소화되는지 살펴봄으로써 범죄와 두려움의 공간이 형성되는 과정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1989년과 2007년 전국 범죄 자료와 2005년 서울, 수원, 청주의 범죄 발생 장소가 기록된 자료는 경찰청으로부터 제공받았고, 범죄에 대한 두려움 자료는 서울, 6대 광역시, 수원, 청주의 일반 시민과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취득하였다. 한국의 범죄 현상을 분석한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범죄 발생은 지역의 인구 규모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범죄 유형별로 공간적 특징이 나타난다. 지난 20년간 범죄율은 인구보다 빠르게 증가하였고, 5대 범죄 중에서는 강간 범죄가, 인구 규모면에서는 50~100만 사이의 중규모 도시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1989년 범죄율의 공간적 특성은 살인·강간 범죄는 시골에서, 강도.절도.폭력범죄는 도시에서 높게 나타났다. 2007년 범죄율의 공간적 특성은 살인 범죄는 시골에서, 강간·강도.절도.폭력범죄는 도시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지리(공간)적 분석 방법들은 범죄 공간의 특성을 밝히는데 있어 유용하다. 지리학의 주요 개념 중 하나인 거리 조락 현상을 범죄에 적용한 결과, 범죄는 도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한다. 시기별 인구와 범죄의 변화 패턴을 파악하기에 용이한 순위-규모 법칙 분석 결과, 도시 범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수위 도시에 범죄가 많이 집중되지만 중소 도시의 범죄 증가로 그 경향은 감소된다. 지역의 전체 범죄 발생 중에서 특정 범죄의 집중도를 알게 해주는 범죄 입지 계수의 분석 결과, 1989~2007년 사이 절도 범죄 입지 계수가 높아진 지역은시골 지역이고, 폭력 범죄 발생 입지 계수가 높아진 지역은 서울과 그 주변 도시이다.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과 공간 회귀 분석은 범죄 발생에서 인접 지역 효과를계산하여 자기상관이 나타나는 지역과 범죄 발생 요인을 알려 준다. 분석 결과, 공간적 자기상관은 시군단위 분석보다 도시의 동단위 분석에서 더 강하게 나타난다. 시군 단위 범죄 발생은 청소년 비율과 주점업 종사자 비율이 주요 설명 변수이고, 서울의 범죄 발생은 토지 이용 패턴과 관련이 많다.
      셋째,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지역 및 개인의 사회·경제적 상황에 따라서도 차이가 나타난다. 서울.수원.청주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지역의 인구 규모와는 관련성이 낮았고, 사회·문화적인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한다. 서울시 10개동의 두려움의 차이는 주거 및 경제 환경이 크게 영향을 미친다.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도보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20대 여성의 1인 가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다.
      넷째, 범죄와 두려움은 각각의 지리를 갖는다. CBD에서는 폭력 범죄가 절도 범죄보다 더 분산적으로 나타나고, 주거지역에서는 절도 범죄가 폭력 범죄보다 분산된 패턴을 보인다. 왜냐하면 CBD에서는 쇼핑 밀집 지역에서 절도가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주거 지역에서는 주택가 근처에서 절도가 많기 때문이다. 두려움은 CBD와 주거지역 모두 상업·유흥 시설이 많은 장소와 골목길에서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나지만, 주거 지역에서는 공원에서도 매우 높게 나타난다. 즉, 범죄 발생과 두려움은 지역의 토지 이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다섯째, 범죄와 두려움의 공간적 상관관계가 있지만, 예외적인 지역과 장소도 존재한다. 전반적으로 범죄가 많은 곳에서 범죄에 대한 두려움도 높게 나타나지만 그렇지 않은 곳도 있다. 지역적 스케일에서는 사회·문화·경제적 요인으로 인해 범죄 발생과 상관없이 두려움이 높거나 낮게 나타난다. 장소적 스케일에서는 범죄발생이 적은 공원에서는 높고 범죄 발생이 많은 대형 상가 건물에서는 낮게 나타난다. 즉,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실제 범죄와는 무관할 수도 있으며, 두려움이 높게 나타나는 장소는 직접적인 범죄 발생 외에도 조명 정도, 유흥가 네온사인, 골목길 등 물리적 환경 등도 상당한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범죄에대한 두려움은 실제 범죄 발생만으로 설명할 수는 없기 때문에 ‘장소에 대한 두려움’의 개념이 보완되어야만 한다.
      여섯째, 범죄 공간 분석시 사용되는 3가지 척도(범죄 발생 건수, 범죄율, 범죄밀도)는 공간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다. 3가지 척도는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시·군 단위의 지역간 범죄 비교에서는 범죄율과 범죄 밀도로, 도시의 동(洞)단위에서는 범죄 발생 건수 또는 범죄 밀도가 더 적합하다. 시군 단위에서 범죄발생 건수는 인구 규모와 상관성이 높기 때문이다. 대도시의 동별 범죄 비교에서 도심은 상주인구가 매우 적어 범죄율이 지나치게 높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범죄의 3가지 접근법을 공간에 적용시켜 해석할 때에는 지역의 특성을 충분히 감안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연구는 범죄와 두려움의 공간적 중요성을 강조한 논문으로, 범죄와 두려움의 발생 원인을 공간적 맥락에서 재해석하여 기존 범죄와 두려움의 이론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범죄와 두려움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들 공간이 어디에 형성되고 그 특성과 원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범죄 자료가 경찰서에 보고된 범죄 사건만을 다룬 점, 특정 지역과 연령층에만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조사가 된 것은 본 연구의 제한 사항이다.
      번역하기

      범죄 발생과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증가하고 있다. 범죄는 법률을 위반한 행위로 사회의 질서와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사회 문제중의 하나이다. 또한 범죄에 대한 ...

      범죄 발생과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증가하고 있다. 범죄는 법률을 위반한 행위로 사회의 질서와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사회 문제중의 하나이다. 또한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범죄 피해를 당할 것 같은 심리적느낌으로 일상생활에 많은 영향을 주고 특정 장소에 대한 지각을 형성하게 만든다. 그동안 범죄와 두려움의 연구는 범죄자와 피해자와 같이 사람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범죄 행위와 두려움의 감정은 공간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범죄 발생과 두려움이 높게 나타나는 공간의 중요성과 형성요인에 대한 연구는 아직 시작 단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범죄와 두려움의 지리적 요인을 기초로 다음과 같은 요소에 초점을 두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범죄라는 객관적 사실과 두려움이라는 주관적 감정의 공간적 분석을 위해 계량적 기법을 사용하여 범죄와 두려움의 공간을 파악하고 그 특성을 규명하였다. 즉, 범죄와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공간적특성을 해석하고 이들의 발생이 공간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밝히려고 시도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범죄 발생의 요인을 공간(장소)적 맥락에서 찾기 위해 실제 범죄 발생의 시·공간적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지리적 공간 분석 방법을 범죄에 적용해서 공간 요소가 범죄에 미치는 영향이 중요함을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공간 인식이 사회·지리적 차이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남을 밝히고, 대도시의 CBD와 주거지역에서나타나는 범죄와 두려움의 장소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범죄와 두려움간의 공간적 (불)일치 여부와 어떠한 요인으로 인해 두려움이 장소화되는지 살펴봄으로써 범죄와 두려움의 공간이 형성되는 과정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1989년과 2007년 전국 범죄 자료와 2005년 서울, 수원, 청주의 범죄 발생 장소가 기록된 자료는 경찰청으로부터 제공받았고, 범죄에 대한 두려움 자료는 서울, 6대 광역시, 수원, 청주의 일반 시민과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취득하였다. 한국의 범죄 현상을 분석한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범죄 발생은 지역의 인구 규모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범죄 유형별로 공간적 특징이 나타난다. 지난 20년간 범죄율은 인구보다 빠르게 증가하였고, 5대 범죄 중에서는 강간 범죄가, 인구 규모면에서는 50~100만 사이의 중규모 도시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1989년 범죄율의 공간적 특성은 살인·강간 범죄는 시골에서, 강도.절도.폭력범죄는 도시에서 높게 나타났다. 2007년 범죄율의 공간적 특성은 살인 범죄는 시골에서, 강간·강도.절도.폭력범죄는 도시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지리(공간)적 분석 방법들은 범죄 공간의 특성을 밝히는데 있어 유용하다. 지리학의 주요 개념 중 하나인 거리 조락 현상을 범죄에 적용한 결과, 범죄는 도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한다. 시기별 인구와 범죄의 변화 패턴을 파악하기에 용이한 순위-규모 법칙 분석 결과, 도시 범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수위 도시에 범죄가 많이 집중되지만 중소 도시의 범죄 증가로 그 경향은 감소된다. 지역의 전체 범죄 발생 중에서 특정 범죄의 집중도를 알게 해주는 범죄 입지 계수의 분석 결과, 1989~2007년 사이 절도 범죄 입지 계수가 높아진 지역은시골 지역이고, 폭력 범죄 발생 입지 계수가 높아진 지역은 서울과 그 주변 도시이다.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과 공간 회귀 분석은 범죄 발생에서 인접 지역 효과를계산하여 자기상관이 나타나는 지역과 범죄 발생 요인을 알려 준다. 분석 결과, 공간적 자기상관은 시군단위 분석보다 도시의 동단위 분석에서 더 강하게 나타난다. 시군 단위 범죄 발생은 청소년 비율과 주점업 종사자 비율이 주요 설명 변수이고, 서울의 범죄 발생은 토지 이용 패턴과 관련이 많다.
      셋째,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지역 및 개인의 사회·경제적 상황에 따라서도 차이가 나타난다. 서울.수원.청주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지역의 인구 규모와는 관련성이 낮았고, 사회·문화적인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한다. 서울시 10개동의 두려움의 차이는 주거 및 경제 환경이 크게 영향을 미친다.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도보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20대 여성의 1인 가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다.
      넷째, 범죄와 두려움은 각각의 지리를 갖는다. CBD에서는 폭력 범죄가 절도 범죄보다 더 분산적으로 나타나고, 주거지역에서는 절도 범죄가 폭력 범죄보다 분산된 패턴을 보인다. 왜냐하면 CBD에서는 쇼핑 밀집 지역에서 절도가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주거 지역에서는 주택가 근처에서 절도가 많기 때문이다. 두려움은 CBD와 주거지역 모두 상업·유흥 시설이 많은 장소와 골목길에서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나지만, 주거 지역에서는 공원에서도 매우 높게 나타난다. 즉, 범죄 발생과 두려움은 지역의 토지 이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다섯째, 범죄와 두려움의 공간적 상관관계가 있지만, 예외적인 지역과 장소도 존재한다. 전반적으로 범죄가 많은 곳에서 범죄에 대한 두려움도 높게 나타나지만 그렇지 않은 곳도 있다. 지역적 스케일에서는 사회·문화·경제적 요인으로 인해 범죄 발생과 상관없이 두려움이 높거나 낮게 나타난다. 장소적 스케일에서는 범죄발생이 적은 공원에서는 높고 범죄 발생이 많은 대형 상가 건물에서는 낮게 나타난다. 즉,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실제 범죄와는 무관할 수도 있으며, 두려움이 높게 나타나는 장소는 직접적인 범죄 발생 외에도 조명 정도, 유흥가 네온사인, 골목길 등 물리적 환경 등도 상당한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범죄에대한 두려움은 실제 범죄 발생만으로 설명할 수는 없기 때문에 ‘장소에 대한 두려움’의 개념이 보완되어야만 한다.
      여섯째, 범죄 공간 분석시 사용되는 3가지 척도(범죄 발생 건수, 범죄율, 범죄밀도)는 공간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다. 3가지 척도는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시·군 단위의 지역간 범죄 비교에서는 범죄율과 범죄 밀도로, 도시의 동(洞)단위에서는 범죄 발생 건수 또는 범죄 밀도가 더 적합하다. 시군 단위에서 범죄발생 건수는 인구 규모와 상관성이 높기 때문이다. 대도시의 동별 범죄 비교에서 도심은 상주인구가 매우 적어 범죄율이 지나치게 높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범죄의 3가지 접근법을 공간에 적용시켜 해석할 때에는 지역의 특성을 충분히 감안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연구는 범죄와 두려움의 공간적 중요성을 강조한 논문으로, 범죄와 두려움의 발생 원인을 공간적 맥락에서 재해석하여 기존 범죄와 두려움의 이론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범죄와 두려움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들 공간이 어디에 형성되고 그 특성과 원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범죄 자료가 경찰서에 보고된 범죄 사건만을 다룬 점, 특정 지역과 연령층에만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조사가 된 것은 본 연구의 제한 사항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2. 연구 자료 및 방법 = 3
      • 가. 연구 자료 = 3
      • 나. 연구 방법 및 논문의 구성 = 6
      • Ⅰ. 서론 =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2. 연구 자료 및 방법 = 3
      • 가. 연구 자료 = 3
      • 나. 연구 방법 및 논문의 구성 = 6
      • 다. 연구의 한계 = 9
      • 3. 연구 지역 선정 배경 및 소개 = 9
      • Ⅱ. 범죄와 두려움의 이론적 고찰 = 15
      • 1. 범죄와 두려움의 정의 = 15
      • 가. 범죄의 정의 = 15
      • 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정의 = 17
      • 2. 이론적 배경 = 20
      • 가. 범죄 이론 = 20
      • 나. 범죄에 대한 두려움 유발 요인 = 29
      • 3. 선행 연구 검토 = 32
      • 가. 해외 연구 사례 = 32
      • 나. 국내 연구 사례 = 37
      • Ⅲ. 범죄 발생의 공간적 분석 = 41
      • 1. 범죄 발생의 시공간적 분포 패턴 = 41
      • 가. 5대 범죄의 발생 경향 = 41
      • 나. 살인 범죄 = 45
      • 다. 강도 범죄 = 48
      • 라. 강간 범죄 = 51
      • 마. 절도 범죄 = 54
      • 바. 폭력 범죄 = 57
      • 2. 지리적 스케일과 범죄 공간 분석 = 61
      • 가. 전국 범죄 분석 = 62
      • 나. 도시 범죄 분석 = 68
      • 다. 종합 고찰 = 78
      • 3. 지리적 분석 방법의 범죄 적용 = 80
      • 가. 범죄 거리 조락 현상 = 80
      • 나. 인구 규모와 범죄 순위 = 85
      • 다. 범죄 유형별 집중도 분석 = 91
      • 라. 범죄 발생의 인접 지역 효과 = 98
      • 마. 지역의 범죄 발생 영향 요인 탐색 = 107
      • 4. 소결 = 116
      • Ⅳ. 범죄와 두려움의 공간 = 120
      • 1.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인식과 요인 = 120
      • 가.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측정 = 120
      • 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인식 = 121
      • 다.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영향 요인 분석 = 138
      • 2. 범죄와 두려움의 장소 = 142
      • 가. 범죄와 두려움의 장소적 의미 = 142
      • 나. CBD와 주거 지역의 범죄 지도 = 145
      • 다. CBD와 주거지역내 두려움의 인지 지도 = 159
      • 3. 범죄와 두려움의 공간적 관련성 = 166
      • 가. 도시간 범죄-두려움 행렬 = 166
      • 나. 도시내 범죄-두려움 행렬 = 172
      • 다. 범죄와 두려움의 공간적 (불)일치: 범죄에 대한 두려움? 장소에 대한 두려움? = 177
      • 4. 소결 = 186
      • Ⅴ. 결론 = 190
      • 1. 요약 = 190
      • 2. 범죄 예방과 범죄에 대한 두려움 감소의 정책적 함의 = 193
      • 참고문헌 = 195
      • ABSTRACT = 211
      • 부록 = 21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강원일보, "강원일보, 2008.10.13.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http://stdweb2.korean.go.kr/main.jsp)통계청(http://www.nso.go.kr)영국의 범죄 지도(http://www.myneighbourhood.info/)Uniform Crime Reports(http://www.fbi.gov/ucr/ucr.htm)개인블로그", "강원일보, 2008

      2 Herbert, "Crime", 1977

      3 Block, "Space", 1995

      4 Patterson, "Poverty", 1991

      5 Park, Robert Ezra, "The city", [s.n., 1925

      6 이윤호, "범죄학", 博英社, 2007

      7 Merry, "Urban Danger", 1981

      8 윤덕중, "범죄사회학", 1984

      9 Plint, "Crime in England", 1851

      10 Smith, "Social Relations", 1989

      1 강원일보, "강원일보, 2008.10.13.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http://stdweb2.korean.go.kr/main.jsp)통계청(http://www.nso.go.kr)영국의 범죄 지도(http://www.myneighbourhood.info/)Uniform Crime Reports(http://www.fbi.gov/ucr/ucr.htm)개인블로그", "강원일보, 2008

      2 Herbert, "Crime", 1977

      3 Block, "Space", 1995

      4 Patterson, "Poverty", 1991

      5 Park, Robert Ezra, "The city", [s.n., 1925

      6 이윤호, "범죄학", 博英社, 2007

      7 Merry, "Urban Danger", 1981

      8 윤덕중, "범죄사회학", 1984

      9 Plint, "Crime in England", 1851

      10 Smith, "Social Relations", 1989

      11 Brantingham, Paul J, "Patterns in crime", Macmillan, 1984

      12 Tuan, Yi-fu, "Landscapes of fear",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79

      13 Inequality, R.D.Peterson, "Crime andInequality", 1995

      14 Conklin, "The Impact of Crime", 1975

      15 Cressey, Sutherland, "Criminology(8th ed.)", 1970

      16 Gould, White, "Mental Maps(2nd ed.)", 1986

      17 Davidson, R. N, "Crime and environment", Croom Helm, 1981

      18 Lanier, Mark M, "Essential criminology", Westview Press, 2004

      19 Chainey, Spencer, "GIS and crime mapping", Wiley, 2005

      20 천정환, "신범죄피해자학", 大旺社, 2007

      21 이수정, "최신 범죄심리학", 2006

      22 Sampson, "Toward a Theory of Race", 1995

      23 박순진, 최인섭, "사회 구조와 범죄", 1993

      24 Klapmuts, Doleschal, "Toward a New Criminology", 1973

      25 Pacione, "Urban Geography(2nd ed.)", 2005

      26 Harries, "Crime and the Environment", 1980

      27 Brantingham, Paul J, "Environmental criminology", Sage Publications, 1981

      28 Hindelang, J.Garofalo, "Victims of Personal Crime", 1978

      29 윤덕중, "범죄와 소년비행학", 1988

      30 페인, 레이첼, "사회지리학의 이해", 푸른길, 2008

      31 Byrne, Sampson.R.J, "The Social Ecology of Crime", 1986

      32 Schrijvers, "The Violence of Development", 1993

      33 Schmid, "Urban Crime Areas: part Ⅱ", 1960

      34 Eck, "Crime Places in Crime Theory", 1995

      35 Herbert, "The Geography of Urban Crime", 1982

      36 Lombroso, "Crime Its Causes and Remedies", 1968

      37 Jones, Nasar, "Landscapes of Fear and Stress", 1997

      38 Kwofie, "The Spatial Dynamics of Crime", 1974

      39 Glyde, "Localities of Crime in Suffolk", 1856

      40 표창원, "한국의 연쇄 살인 사건", 2005

      41 Lynch, Michael J, "A primer in radical criminology", Harrow and Heston, 1989

      42 Golledge, Moore, "Environmental Knowing: Theories", 1976

      43 Brantingham, Butcher, "Perceived andActual Crime Risks", 1986

      44 임영식, Goldstein, 홍성열, "범죄행동은 환경적인가", 1995

      45 Kline, Paul, "An easy guide to factor analysis", Routledge, 1994

      46 Stringer, Wurff, "Locations of Fear: Public Places", 1988

      47 Hill, Carter, "The Criminals' Image of the City", 1979

      48 Nicholas, Walker, "Crime in England andWales 2006/07", 2007

      49 Mayhew, "London Labour and the London Poor", 1862

      50 Brunn, Harries, "The Geography of Laws and Justice", 1978

      51 Jones, Maclean, Young, "The Islington Crime Survey :Crime", 1986

      52 고준호 ( Jun Ho Ko ), "청주시 도심의 범죄 특성", 대한지리학회, 2001

      53 Maxfield, "Fear of Crime in England and Wales", 1984

      54 Merton, Robert K, "Social Theory and Social Structure", The Free Press, 1961

      55 Harries, Keith D, "The geography of crime and justice", McGraw-Hill, 1973

      56 Skogan, "On Attitudes and Behaviors pp.19-45", 1981

      57 Garofalo, "Victimization and the Fear of Crime", 1979

      58 Thomas, Herbert, "Cities in Space: City as Place(3rded", 1997

      59 Gilmartin, "Cognitive Maps and the Fear of Crime", 2000

      60 Harries, "Crime Mapping: Priciple and Practice", 1999

      61 Hassinger, "Fear of Crime in Public Environments", 1985

      62 Burgess, "Juvenile Delinquency in a Small City", 1916

      63 Shaw, "Juvenile delinquency and urban area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196

      64 구연성, "공포와 두려움 그리고 불안", 2001

      65 Fletcher, "Moral Statistics of England and Wales", 1849

      66 Midwinter, "The Old Order: Crime and Older People", 1990

      67 Erskine, "The Polls: Fear of Violence and Crime", 1974

      68 Fishbein, "Biological Perspectives in Criminology", 1990

      69 Roman, Chalfin, "Is There an iCrime Wave? researchreport", 2007

      70 Furstenberg, "Public Reaction to Crime in the Streets", 1971

      71 최인섭, "강간범죄의 실태에 관한 연구", 1991

      72 심영희, "강도범죄의 실태에 관한 연구", 1991

      73 정육상, "범죄보도의 문제점과 그 대책", 한국공안행정학회, 1998

      74 김상희, "살인범죄의 실태에 관한 연구", 1991

      75 임창주, "상황적 범죄예방에 관한 연구", 1999

      76 고준호, "청주시 범죄의 지리학적 연구", 2001

      77 김태헌, 윤덕중, "한국의 범죄양상에 관한 연구", 1991

      78 Anselin,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 1995

      79 Anselin, "Spatial Econometircs: Methods and Models", 1988

      80 Hartshorn, Truman Asa, "Interpreting the city : an urban geography", u

      81 Mcdowall, "Poverty and Homicide in Detroit, 1926-1978", "Poverty and Homicide in Detroit, 1986

      82 Hale, Taylor, "Testing alternative models of fear ofcrime", 1986

      83 Evans, "Left Realism and the Spatial Study of Crime", 1992

      84 Golledge, Reginald G., "Spatial behavior : a geographic perspective", Guilford Press, 1997

      85 Jane Jacops,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1993

      86 이성식(Lee Seong-Sik), "범죄의 상황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5

      87 Guerry, "Essai sur la Statistique Morale de la France", 1833

      88 Smith, "Income, Housing Wealth and Gender Inequality", "Income, 1990

      89 Morris, "The Criminal Area: A Study in Social Ecology", 1958

      90 Peet, "The Geography of Crime: A Political Critique", 1975

      91 Jackson, "Validating New Measures of the Fear of Crime", 2005

      92 Jeffery, C. Ray,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Sage Publications, 1977

      93 Smith, "Fear of Crime: beyond a geography of deviance", 1987

      94 Scott, "The Spatial Analysis of Crime and Delinquency", 1972

      95 이윤호, "범죄에 대한 공포: 그 원인과 반응", 1993

      96 진수명, 최인섭, "지역특성과 범죄발생에 관한 연구", 1999

      97 Ferraro, Kenneth F, "Fear of crime : interpreting victimization ris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5

      98 양미정, 홍성열, "범죄 두려움에 대한 Likert 척도 개발", 2007

      99 이성식(Lee Seong-Sik), "지역 사회 경찰 활동과 범죄 두려움", 한국공안행정학회, 2000

      100 강욱, 곽대훈, "장소지향적 경찰활동과 정책적 함의", 2008

      101 최인섭, 한국의 범죄 발생 추세 분석, "한국의 범죄 발생 추세 분석: 1964-2001", 2002

      102 주경식, "한국지리지(총론편: 제4장 정주공간)", 2008

      103 Wilson, Kelling, "Broken Windows: The Police andNeighborhood Safety", 1982

      104 Perry, Simpson, "Violent Crimes in A City:Environmental Determinants", 1987

      105 Williams, "Mapping the Fear of Crime: A Micro-approach inMerton", 2008

      106 Valentine, "My Son's a Bit Dizzy and My Wife's a Bit Soft:Gender", 1997

      107 백경희, "서울시 범죄발생의 분포와 지역적 특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0

      108 Gersh, Taylor, Eck, "Finding Crime Hot Spotsthrough Repeat Address Mapping", 2000

      109 Bannister, "Locating Fear: Environmental and Ontological security", 1993

      110 Jackson, "Maps of Meaning: An Introduction to Cultural Geogaphy", 1989

      111 박순진, "폭력 범죄의 상호작용 과정에 대한 연구", 2000

      112 Hyde, Herbert, "Environmental Criminology: TestingSome Area Hypotheses", 1985

      113 Lees, Doran, "Investigating the Spatiotemporal Linksbetween Disorder", 2005

      114 Brantingham, "Mapping Crime for AnalyticPurposes: Location Quotients", 1997

      115 황지태, "강·절도범의 범행대상 선택에 관한 연구", 2004

      116 Donnelly, "Individual and Neighbourhood Influences on Fear ofCrime", 1989

      117 박복준, "한국에서 발생한 범죄의 지역적 분포유형", 상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8

      118 Tobias, "A Statistical Study of a Nineteenth Century CriminalArea", 1976

      119 Siegel, "Criminology: Theories, Patterns, and Typologies(8th ed.)", "Criminology: Theories, 2004

      120 Newman, Oscar, "Defensible space : crime prevention through urban design", Dollier, 1973

      121 Westover, "Perceptions of Crime and Safety in ThreeMidwestern Parks", 1985

      122 이경희, "서울의 지역별 범죄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서울대학교 사회교육과 지리전공 석사학위논문, 1992

      123 Powell, Harries, "Juvenile Gun Crime and Social Stress:Baltimore, 1980-1990", "Juvenile Gun Crime and Social Stress:Baltimore, 1994

      124 Rawson, "An Inquiry into the Statistics of Crime in England andWales", 1839

      125 Hough, Lewis, "Counting Crime and Analysing Risks: TheBritish Crime Survey", 1989

      126 Andresen, "Crime Measures and the Spatial Analysis of CriminalActivity", 2006

      127 McPherson, "Realities and Perceptions of Crime at theNeighborhood Level", 1978

      128 주희종, "「범죄에 대한 공포」연구와 그 정책적 함의", 한국형사정책학회, 1996

      129 조은경 ( Eun Kyung Jo ),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심리학회, 1997

      130 김준호, 이동원, "범죄통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1991

      131 Roh, Leipnik, "Geographic Profiling and Spatial Analysisof Serial Homicides", 2005

      132 Tobler, "A Computer Movie Simulating Urban Growth in theDetroit Region", 1970

      133 박명규, "GIS의 공간분석을 활용한 범죄예측지도의 구현", 2003

      134 Herbert, "The Study of Delinquency Areas: A SocialGeographical Approach", 1976

      135 Kirk, "Factors Affecting Perceptions of Safety in a CampusEnvironment", 1988

      136 Pain, "Women's fear of Sexual Violence: Explaining the SpatialParadox", 1993

      137 Knudsen, Krmenec, "Modelling the Spatial Distributionof Urban Residential Burglary", 1986

      138 Kobrin, "The Formal Legal Properties of the Shaw-McKayDelinquency Theory", 1971

      139 최진석, "Fuzzy logic을 이용한 대전시 범죄발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00

      140 박은선, "GIS를 이용한 안양시 범죄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2008

      141 Maxfield, Lewis, "Fear in the neighbourhood: AnInvestigation of the Impact of Crime", 1980

      142 M.Felson, Cohen, "Social Change and Crime Rate Trends: A RoutineActivities Approach", 1979

      143 Fisher, Nasar, "Fear of Crime in Relation to ThreeExterior Site Features: Prospect", 1992

      144 Rossmo, "Geographic Profiling, The Link between Crime and Built Environment", "Geographic Profiling, 2000

      145 Hindelang, "Public Opinion Regarding Crime, Criminal Justice andRelated Topics", "Public Opinion Regarding Crime, 1974

      146 조은경,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의 차이", 2003

      147 Grove, Sampson, "Community Structure and Crime:Testing Social-disorganization theory", 1989

      148 김지선, "여성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 : 사회적 구성과 결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149 Robinson, "Lifestyles, Routine Activities, and ResidentialBurglary Victimization", "Lifestyles, 1999

      150 최진석, "공주시 범죄발생의 시계열 분석과 패턴에 관한 연구", 1988

      151 Lee, Wong, "Statistical Analysis of GeographicInformation with ArcView GIS and ArcGIS", 2005

      152 차훈진,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2007

      153 Shaw, "Delinquency Areas: A Study of the GeographicDistribution of School Truants", 1929

      154 Fyfe, "Space Time, and Policing: towards a ContextualUnderstanding of Police Work", "Space Time, 1992

      155 배미애, "우리나라 범죄의 지리학적 고찰-환경범죄학적 관점에서", 1986

      156 류선정, "청소년 범죄의 발생 및 인식공간 연구: 부산시를 사례로", 2007

      157 이경훈, "환경특성과 범죄의 두려움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모델", 대한건축학회, 1998

      158 Messner, Tardiff, "Economic Inequality and Levels ofHomicide: An Analysis of Urban Neighborhoods", 1986

      159 황선영, "GIS를 활용한 범죄의 공간패턴분석-주거침입절도를 사례로", 2001

      160 Pyle, "Systematic Sociosptial Variation in Perceptions of CrimeLocation and Severity", 1980

      161 Wilcox, Pamela, "Criminal circumstance : a dynamic multi-contextual criminal opportunity theory", Walter de Gruyter, Inc., 2003

      162 Jackson, "Experience and Expression: Social and CulturalSignificance in the Fear of Crime", 2004

      163 Lowman, "Conceptual Issues in the Geography of Crime: Toward aGeography of Social Control", 1986

      164 김영제, "CPTED와 지역 범죄통제 거버넌스가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165 Hakim, "The Attraction of Property Crimes to Suburban Localities:A Revised Economic Model", 1980

      166 김나진, "지인(知人)에 의한 살인과 가해자의 자살이 동반된 살인 분석", 2006

      167 최진석, "공주시 청소년범죄 발생의 시계열적 분석과 패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지리교육논집, 1994

      168 Ratcliffe, "A Temporal Constraint Theory to ExplainOpportunity-based Spatial Offending Patterns", 2006

      169 성용은, "치안환경 인식과 범죄두려움의 관계 연구-서울지역을 중심으로", 2007

      170 정소양, "GIS와 공간통계를 이용한 도시범죄의 공간패턴 및 영향요인 분석", 2008

      171 박동균, "중소도시의 범죄에 대한 시민의식 조사연구: 안동시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 2003

      172 Allatt, "Fear of Crime: The effect of improved residential securityon a difficult to let estate", 1984

      173 Pain, "Place, Social Relations and the Fear of Crime: A Review Introducing Social Geographies", "Place, 2000

      174 최현아, "범죄의 공간적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서울시 영등포구를 사례로", 2003

      175 Levine, "CrimeStat III: A Spatial Statistics Program for theAnalysis of Crime Incident Locations", 2004

      176 전용완, "GIS와 공간통계를 이용한 범죄 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시를 사례로", 2002

      177 Anselin, "The Moran Scatterplot as an ESDA Tool to Assess LocalInstability in Spatial Association", 1996

      178 Merry, "Defensible Space Undefended: social facotors in CrimeControl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1981

      179 신우람, "GIS를 이용한 범죄의 시·공간적 패턴 연구-서울시 강남구를 중심으로", 2005

      180 Ley, "The Black Inner City as Frontier Outpost: Images andBehavior of a Philadelphia Neighborhood", 1974

      181 표창원, "범죄 예방을 위한 공공장소 CCTV 설치의 효용성과 문제점에 대한 고찰", 2002

      182 Ko, "An Investigation of the Fear of Crime in theNeighborhoods: The Case Study of Youngtong, Suwon", "An Investigation of the Fear of Crime in theNeighborhoods: The Case Study of Youngtong, 2007

      183 Land, Cohen, Kluegel, Cohen, L. E., "Social Inequality andPredatory Criminal Victimization: An Exposition and Test of a FormalTheory", 1981

      184 김상균, "범죄 보도 실태와 선정성에 관한 내용 분석: 주요 4대 일간지를대상으로", 1998

      185 Chainey, "Combating Crime through Partnership: Examples ofCrime and Disorder Mapping Solutions in London, UK", "Combating Crime through Partnership: Examples ofCrime and Disorder Mapping Solutions in London, 2001

      186 Chun, "Neighborhood Effects and Spatial Patterns in UrbanCrime: A Case Study of the City of Dallas, Texas", "Neighborhood Effects and Spatial Patterns in UrbanCrime: A Case Study of the City of Dallas, 2008

      187 Valentine, McKendrick, "Children's Ourdoor Play: ExploringParental Concerns about Children's Safety and the Changing Nature ofChildhood", 1997

      188 윤영진, "GIS를 이용한 범죄다발지역의 공간적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서울시 4개 구를 사례로", 2007

      189 박철현(Park Cheol-Hyun), "지리적 프로파일링을 이용한 연쇄방화범의 거주지 추정 : 동래연쇄방화사건의 사례", 한국형사정책학회, 2004

      190 Land, Felson, "A General Framework for Building DynamicMacro Social Indicator Models: An Analysis of Changes in CrimeRates and Police Expenditures", 1976

      191 이현희, "범죄발생률의 지역별 차이에 관한 연구-사회해체이론과 일상활동/기회이론의 통합모델을 적용하여",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