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5 년간 비만도의 변화와 비만 관련 요인들과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BMI change over 5 years and obesity-related-fact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8157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1) To confirm obesity-related-factors served changing Non Overweight children(NOW) to Overweight children(OW) (2) to confirm obesity-related-factors served changing OW to NOW.Design and subjects:6 elementary schools in Seoul, 6th grade students, 1059( male 573, female 486)Measurements:Weight and height, a validated Korea translation of the Rogenberg(1965) Self esteem scale, weekly TV viewing, weekly physical activity and weekly computer use were reported by children.Results:(1)Changing NOW to OW after 5years was not related to self esteem, physical activity, TV viewing and computer use. It was associated with upper normal BMI. In BMI <15 percentile group, the odds ratio of 50≤BMI<85 percentile group was 2.448(95% CI: 1.076 ~ 5.570, P<0.05) in male and 9.29(95% CI: 2.11 ~ 40.82, P<0.005) in female.(2)Changing OW to NOW after 5years was not related to self esteem, physical activity, TV viewing and computer use, too. It was associated with slightly overweight. In BMI≥95percentile group, the odds ratio of 85≤BMI<90 percentile group was 7.019(95% CI:2.56 ~ 19.23, P<0.0005) in male and 15.349(95% CI:4.11 ~ 57.38, P<0.0001) in female.(3) 40% children of 6th grade OW were NOW before 5years, but 30% children of 1st grade NOW were OW after 5 years.Conclusion:This study confirms the association between BMI change and BMI itself. Degree of BMI is most important in changing BMI. We should care the upper normal BMI children not to be OW and help OW decrease BMI properly and slowly.
      번역하기

      Objective:(1) To confirm obesity-related-factors served changing Non Overweight children(NOW) to Overweight children(OW) (2) to confirm obesity-related-factors served changing OW to NOW.Design and subjects:6 elementary schools in Seoul, 6th grade stud...

      Objective:(1) To confirm obesity-related-factors served changing Non Overweight children(NOW) to Overweight children(OW) (2) to confirm obesity-related-factors served changing OW to NOW.Design and subjects:6 elementary schools in Seoul, 6th grade students, 1059( male 573, female 486)Measurements:Weight and height, a validated Korea translation of the Rogenberg(1965) Self esteem scale, weekly TV viewing, weekly physical activity and weekly computer use were reported by children.Results:(1)Changing NOW to OW after 5years was not related to self esteem, physical activity, TV viewing and computer use. It was associated with upper normal BMI. In BMI <15 percentile group, the odds ratio of 50≤BMI<85 percentile group was 2.448(95% CI: 1.076 ~ 5.570, P<0.05) in male and 9.29(95% CI: 2.11 ~ 40.82, P<0.005) in female.(2)Changing OW to NOW after 5years was not related to self esteem, physical activity, TV viewing and computer use, too. It was associated with slightly overweight. In BMI≥95percentile group, the odds ratio of 85≤BMI<90 percentile group was 7.019(95% CI:2.56 ~ 19.23, P<0.0005) in male and 15.349(95% CI:4.11 ~ 57.38, P<0.0001) in female.(3) 40% children of 6th grade OW were NOW before 5years, but 30% children of 1st grade NOW were OW after 5 years.Conclusion:This study confirms the association between BMI change and BMI itself. Degree of BMI is most important in changing BMI. We should care the upper normal BMI children not to be OW and help OW decrease BMI properly and slow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비만도의 증가 혹은 감소한 집단과 심리사회적인 특성 과 생활습관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비만 아동 건강관리의 올바른 방 향을 모색해 보고자 5 년간의 체질량지수 변화에 따라 연구 대상 아 동을 분류한 후, 비과체중 아동이 과체중으로 진행되는데 관계하는 요인과 과체중 아동이 비과체중으로 개선되는데 관계하는 요인을 파 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6개의 초등학교 6학년 남자 573명, 여자 486명 총 1059명이었다.비만 관련 요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심리사회적 요인은 Rogenberg (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생활습관의 차이 를 파악하기 위해 주간 TV 시청시간, 주간 컴퓨터 사용시간, 주간 운 동 시간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1학년 비과체중 아동이 5년후 과체중으로 진행되는데 심리 사 회적 요인, 주간 TV 시청시간, 주간 컴퓨터 사용시간, 주간 운동시 간은 관련이 없었고 아동의 체질량지수가 통계학적 의미가 있는 요인 이었다. 체질량지수 15백분위수 미만인 군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체 질량지수가 50백분위수 이상 85백분위수 미만인 군의 비차비가 남아 의 경우는 2.448(95% CI:1.076 ~ 5.570, P<0.05) 이었고 여아의 경 우는 9.290(95% CI:2.11 ~ 40.82, P<0.005)였다.2, 1학년 과체중 아동이 5년후 비과체중으로 개선되는데 심리사 회적 요인, 주간TV 시청시간, 주간 컴퓨터 사용시간, 주간 운동 시 간은 관련이 없었고 아동의 체질량지수가 통계학적인 의미가 있는 요 인이었다. 체질량지수 95백분위수 이상인 군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체질량지수가 85백분위수 이상 90백분위수 미만인 군의 비차비가 남 아의 경우는 7.019(95% CI:2.56 ~ 19.23, P<0.0005) 이었고, 여아 의 경우 15.349(95% CI:4.11 ~ 57.38, P<0.0001)였다.3, 6학년 과체중 아동 중 40%에 해당하는 아동이 1 학년 때는 비 과체중이었고, 1학년 과체중 아동 중 30%가 5년 후 정상체중으로 개 선되었다.이상의 결과로 볼 때, 과체중 아동이 정상체형이 되는 것과 비과 체중 아동이 과체중 아동이 되는 것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은 체질량지수가 어느 정도에 해당하는가에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비만도의 증가 혹은 감소한 집단과 심리사회적인 특성 과 생활습관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비만 아동 건강관리의 올바른 방 향을 모색해 보고자 5 년간의 체질량지수 변화에 따라 ...

      본 연구는 비만도의 증가 혹은 감소한 집단과 심리사회적인 특성 과 생활습관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비만 아동 건강관리의 올바른 방 향을 모색해 보고자 5 년간의 체질량지수 변화에 따라 연구 대상 아 동을 분류한 후, 비과체중 아동이 과체중으로 진행되는데 관계하는 요인과 과체중 아동이 비과체중으로 개선되는데 관계하는 요인을 파 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6개의 초등학교 6학년 남자 573명, 여자 486명 총 1059명이었다.비만 관련 요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심리사회적 요인은 Rogenberg (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생활습관의 차이 를 파악하기 위해 주간 TV 시청시간, 주간 컴퓨터 사용시간, 주간 운 동 시간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1학년 비과체중 아동이 5년후 과체중으로 진행되는데 심리 사 회적 요인, 주간 TV 시청시간, 주간 컴퓨터 사용시간, 주간 운동시 간은 관련이 없었고 아동의 체질량지수가 통계학적 의미가 있는 요인 이었다. 체질량지수 15백분위수 미만인 군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체 질량지수가 50백분위수 이상 85백분위수 미만인 군의 비차비가 남아 의 경우는 2.448(95% CI:1.076 ~ 5.570, P<0.05) 이었고 여아의 경 우는 9.290(95% CI:2.11 ~ 40.82, P<0.005)였다.2, 1학년 과체중 아동이 5년후 비과체중으로 개선되는데 심리사 회적 요인, 주간TV 시청시간, 주간 컴퓨터 사용시간, 주간 운동 시 간은 관련이 없었고 아동의 체질량지수가 통계학적인 의미가 있는 요 인이었다. 체질량지수 95백분위수 이상인 군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체질량지수가 85백분위수 이상 90백분위수 미만인 군의 비차비가 남 아의 경우는 7.019(95% CI:2.56 ~ 19.23, P<0.0005) 이었고, 여아 의 경우 15.349(95% CI:4.11 ~ 57.38, P<0.0001)였다.3, 6학년 과체중 아동 중 40%에 해당하는 아동이 1 학년 때는 비 과체중이었고, 1학년 과체중 아동 중 30%가 5년 후 정상체중으로 개 선되었다.이상의 결과로 볼 때, 과체중 아동이 정상체형이 되는 것과 비과 체중 아동이 과체중 아동이 되는 것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은 체질량지수가 어느 정도에 해당하는가에 있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