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봉사활동 참여 실태를 고찰하고, 청소년들이 봉사활동에 대해 갖는 태도, 동기, 그리고 행동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데 있다. 봉사활동 태도는 태도구성요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0684076
서울: 明知大學校, 2006
학위논문(박사) -- 明知大學校 大學院 , 靑少年指導學科 靑少年指導學專攻 , 2006
2006
한국어
338.17 판사항(4)
361.37 판사항(21)
서울
x, 127장; 26 cm
권말부록으로 "설문지" 수록
참고문헌: 장 109-11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봉사활동 참여 실태를 고찰하고, 청소년들이 봉사활동에 대해 갖는 태도, 동기, 그리고 행동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데 있다. 봉사활동 태도는 태도구성요소...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봉사활동 참여 실태를 고찰하고, 청소년들이 봉사활동에 대해 갖는 태도, 동기, 그리고 행동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데 있다.
봉사활동 태도는 태도구성요소에 따라 인지적 태도, 감정적 태도, 행동적 태도로 구분하였고, 3가지 유형의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봉사활동 태도척도를 개발하였다. 봉사활동 동기는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로 구분하고, 이들 동기를 측정하기 위해 봉사활동 동기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행동은 청소년들이 실제 봉사활동에 참여한 시간으로 처리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지역에 소재한 6개 중학교의 2학년 4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방법은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되어 있는 지난 1년간의 봉사활동 내용과 시간을 조사대상 청소년이 직접 확인하여 조사표에 기술하도록 하였다. 조사에 사용된 설문지는 예비조사를 통하여 척도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인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2.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분석 기법으로는 조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및 봉사활동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변인에 따른 다른 변인들과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교차분석, t-검증 및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봉사활동 태도유형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인지적 태도는 감정적 태도 및 행동적 태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감정적 태도는 인지적 태도 및 행동적 태도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행동적 태도는 인지적 태도 및 감정적 태도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봉사활동과 관련되는 교사 또는 부모나 가족의 봉사활동 강조 정도, 사전 교육 경험, 봉사활동 동행대상, 봉사활동 만족도와 같은 개인 변인들이 봉사활동 태도와 동기, 행동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봉사활동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은 ‘봉사활동 만족도’와 ‘부모나 가족의 강조 정도’ 가 인지적 태도, 감정적 태도, 행동적 태도 모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2) 봉사활동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으로 내재적 동기에는 ‘봉사활동 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그 다음 변인은 ‘부모나 가족의 봉사활동 강조 정도’(p<.01)와 ‘교사의 강조 정도’(p<.05)로서 설명량(R2)은 32.8%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외재적 동기에는 ‘교사의 봉사활동 강조 정도’와 ‘부모나 가족의 강조 정도’가 모두 p<.05 수준에서 유의했으며, 설명량(R2)은 15.9%로 나타났다.
3) 봉사활동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으로는 ‘교사의 봉사활동 강조 정도’, 봉사활동 동행 대상 중 ‘마음에 맞는 친구들과 함께’, ‘봉사활동 만족도’(p<.05)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후검증 결과, ‘교사의 봉사활동 강조 정도’는 강조 할수록 행동이 증가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변인 중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어떠한 변인도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봉사활동 태도, 동기, 행동 간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태도와 동기와의 관계에서 인지적 태도는 내재적 동기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감정적 태도와 행동적 태도만이 내재적 동기에 양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적 태도는 외재적 동기에 대해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동기와 행동과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만이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태도와 행동과의 관계에서는 인지적․감정적․행동적 태도 모두가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