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6‧12 북미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비핵화와 한미동맹의 딜레마 = A Study on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U.S.-ROK Alliance Dilemmas after the U.S.-North Korea Summit(June 12.) - Focused on Strategic Choices of S. Korea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307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strategic choices of the Republic of Korea amid the hegemonic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US-ROK alliance dilemmas in relation to current ‘denuclearization’ conditions of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U.S.-North Korea Summit on June 12. Two North Korea denuclearization talks were held as the world were concerned with the process but they ended with no expected results. What’s been confirmed in North Korea-US summits are ‘North Korea’s intention to denuclearize’ and the things both sides mutually want. This means, on the contrary, that the gap between North Korea’s and the US’s recognition as to the issue of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sn’t been narrowed in the negotiation process. A fundamental reason for the failure of denuclearization negoti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lies in the different assertions about denuclearization principles, process and methods.
      On the other hand, variables affecting the denuclearization talks are identified as US-China competition and ROK-US alliance. North Korea-US denuclearization summits were held as the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as in full swing, so some proxy war characteristics were reflected on the talks and as a result, there are limits to obtaining good results. ROK-US alliance faced dilemmas because the United States revealed double point of view on the alliance and North Korea asserted its dissolution.
      In this situation, Korea has to prepare for strategic choices amid three challenges such as North Korean nuclear issue, US-China rivalry and uncertainty of Korea-US alliance. First of all, Korea should try to find out strategies on the basis of national interest. In order to fulfil this goal, Korea-US alliance should be turned into an alliance focused on future values,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hould strengthen their cooperation to remove some uncertain aspects of the alliance and Korea has to build up an autonomous domain in US-China competi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strategic choices of the Republic of Korea amid the hegemonic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US-ROK alliance dilemmas in relation to current ‘denuclearizatio...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strategic choices of the Republic of Korea amid the hegemonic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US-ROK alliance dilemmas in relation to current ‘denuclearization’ conditions of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U.S.-North Korea Summit on June 12. Two North Korea denuclearization talks were held as the world were concerned with the process but they ended with no expected results. What’s been confirmed in North Korea-US summits are ‘North Korea’s intention to denuclearize’ and the things both sides mutually want. This means, on the contrary, that the gap between North Korea’s and the US’s recognition as to the issue of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sn’t been narrowed in the negotiation process. A fundamental reason for the failure of denuclearization negoti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lies in the different assertions about denuclearization principles, process and methods.
      On the other hand, variables affecting the denuclearization talks are identified as US-China competition and ROK-US alliance. North Korea-US denuclearization summits were held as the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as in full swing, so some proxy war characteristics were reflected on the talks and as a result, there are limits to obtaining good results. ROK-US alliance faced dilemmas because the United States revealed double point of view on the alliance and North Korea asserted its dissolution.
      In this situation, Korea has to prepare for strategic choices amid three challenges such as North Korean nuclear issue, US-China rivalry and uncertainty of Korea-US alliance. First of all, Korea should try to find out strategies on the basis of national interest. In order to fulfil this goal, Korea-US alliance should be turned into an alliance focused on future values,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hould strengthen their cooperation to remove some uncertain aspects of the alliance and Korea has to build up an autonomous domain in US-China competi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6·12 북미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비핵화’의 전개 상황과 이에 유기적으로 연계된 미중 패권경쟁과 한미동맹의 딜레마 상황 속에서 한국의 전략적 방안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북한의 비핵화 협상은 세계적 관심 속에서 두 차례 진행되었으나, 기대했던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막을 내렸다. 북미정상회담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북한의 비핵화 의지’와 상호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었다. 이는 역으로 비핵화 협상과정에서 나타난 북미 간 한반도 비핵화에 관한 인식의 간극이 좁혀지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실패한 근본적인 원인이 상호 주장하는 비핵화 원칙과 과정 및 방법이 달랐다는 것이다. 한편 비핵화 협상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미중 경쟁과 한미동맹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중 경쟁이 본격화되는 상황에서 전개된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은 미중 간 대리전 성격이 투영되면서 성과를 거두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한미동맹은 미국의 동맹에 대한 이중적 인식과 더불어 비핵화 실무협상에서 북한이 동맹해체를 제기하면서 딜레마 상황에 직면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은 북한의 핵문제와 미중 경쟁 및 한미동맹의 불확실성이라는 삼중고 속에서 전략적 선택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우선적으로 한국의 국가이익에 바탕한 전략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한미동맹의 불확실성을 제거하기 위한 미래가치동맹으로의 전환하며,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한미공조를 강화해야 하고 나아가 미중 경쟁에서 한국의 자율성이 확보되는 영역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6·12 북미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비핵화’의 전개 상황과 이에 유기적으로 연계된 미중 패권경쟁과 한미동맹의 딜레마 상황 속에서 한국의 전략적 방안을 모색하려는 것...

      본 연구의 목적은 6·12 북미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비핵화’의 전개 상황과 이에 유기적으로 연계된 미중 패권경쟁과 한미동맹의 딜레마 상황 속에서 한국의 전략적 방안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북한의 비핵화 협상은 세계적 관심 속에서 두 차례 진행되었으나, 기대했던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막을 내렸다. 북미정상회담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북한의 비핵화 의지’와 상호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었다. 이는 역으로 비핵화 협상과정에서 나타난 북미 간 한반도 비핵화에 관한 인식의 간극이 좁혀지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실패한 근본적인 원인이 상호 주장하는 비핵화 원칙과 과정 및 방법이 달랐다는 것이다. 한편 비핵화 협상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미중 경쟁과 한미동맹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중 경쟁이 본격화되는 상황에서 전개된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은 미중 간 대리전 성격이 투영되면서 성과를 거두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한미동맹은 미국의 동맹에 대한 이중적 인식과 더불어 비핵화 실무협상에서 북한이 동맹해체를 제기하면서 딜레마 상황에 직면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은 북한의 핵문제와 미중 경쟁 및 한미동맹의 불확실성이라는 삼중고 속에서 전략적 선택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우선적으로 한국의 국가이익에 바탕한 전략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한미동맹의 불확실성을 제거하기 위한 미래가치동맹으로의 전환하며,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한미공조를 강화해야 하고 나아가 미중 경쟁에서 한국의 자율성이 확보되는 영역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경환, "한반도평화체제 구축문제와 북한의 비핵화문제 간의 상관성" 한국통일전략학회 20 (20): 9-36, 2020

      2 이동률, "한반도 비핵,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중국의 전략과 역할" 극동문제연구소 35 (35): 157-192, 2019

      3 박휘락, "한반도 ‘핵균형(Nuclear Balance)’에 대한 탐색적 검토" 한국통일전략학회 20 (20): 37-71, 2020

      4 박원곤, "한미 방위비 분담 협상을 위한 소고" 사단법인 한국국가전략연구원 4 (4): 145-173, 2019

      5 이상근,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평가 및 향후 과제"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9

      6 정한범, "하노이 2차 북미정상회담의 한계와 성과" 한국세계지역학회 37 (37): 359-382, 2019

      7 양정학, "최근 한반도 정세 변화에 대한 중국의 인식 고찰-남북·북중·북미정상회담을 중심으로-" 한일군사문화학회 26 : 105-127, 2018

      8 윤대엽, "체제안전보장과 북한의 비핵화 협상 시나리오: 한미동맹과 미중관계 요인을 중심으로"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62 (62): 1-34, 2019

      9 박광득, "중국의 세계 및 대한반도 전략 분석과 한국의 통일전략에 대한 연구" 한국통일전략학회 16 (16): 39-74, 2016

      10 유동원, "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비핵화 과정에 있어 주변국의 역할과 전망 : 중국" 제주평화연구원 2018

      1 정경환, "한반도평화체제 구축문제와 북한의 비핵화문제 간의 상관성" 한국통일전략학회 20 (20): 9-36, 2020

      2 이동률, "한반도 비핵,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중국의 전략과 역할" 극동문제연구소 35 (35): 157-192, 2019

      3 박휘락, "한반도 ‘핵균형(Nuclear Balance)’에 대한 탐색적 검토" 한국통일전략학회 20 (20): 37-71, 2020

      4 박원곤, "한미 방위비 분담 협상을 위한 소고" 사단법인 한국국가전략연구원 4 (4): 145-173, 2019

      5 이상근,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평가 및 향후 과제"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9

      6 정한범, "하노이 2차 북미정상회담의 한계와 성과" 한국세계지역학회 37 (37): 359-382, 2019

      7 양정학, "최근 한반도 정세 변화에 대한 중국의 인식 고찰-남북·북중·북미정상회담을 중심으로-" 한일군사문화학회 26 : 105-127, 2018

      8 윤대엽, "체제안전보장과 북한의 비핵화 협상 시나리오: 한미동맹과 미중관계 요인을 중심으로"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62 (62): 1-34, 2019

      9 박광득, "중국의 세계 및 대한반도 전략 분석과 한국의 통일전략에 대한 연구" 한국통일전략학회 16 (16): 39-74, 2016

      10 유동원, "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비핵화 과정에 있어 주변국의 역할과 전망 : 중국" 제주평화연구원 2018

      11 정구연, "아세안(ASEAN) 국가들의 헤징과 동아시아 안보아키텍처의 변화 전망: 대미ㆍ대중 군사외교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25 (25): 27-51, 2020

      12 차태서, "아메리카 합중국과 동아시아 지역 아키텍처의 변환: 네트워크 국가론의 시각" 한국동북아학회 25 (25): 5-26, 2020

      13 차동길, "북한의 비핵화 전략에 따른 대남전략전망" 한일군사문화학회 28 : 103-131, 2019

      14 김성한, "북한의 비핵화 여부와 동북아 국제관계 전망"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6 (26): 173-204, 2019

      15 우정엽, "북한의 불완전 비핵화와 한미 동맹의 문제"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6 (26): 111-137, 2019

      16 전성훈, "북한의 ‘비핵화 국가전략’과 韓美의 ‘비핵화 외교’ :북핵 장기화에 대비한 중장기 국가전략의 필요성" 세종연구소 25 (25): 91-120, 2019

      17 윤태영,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최대압박·관여 전략과 한국의 대응방향" 국방안보연구소 3 (3): 41-53, 2019

      18 박원곤, "북한 비핵화에 대한 한미의 시각 차이와해법 모색" 사단법인 한국국가전략연구원 4 (4): 7-28, 2019

      19 박광득, "북미정상회담이 남긴 딜레마와 과제에 대한 연구" 대한정치학회 26 (26): 49-68, 2018

      20 정재흥, "북미정상회담 평가와 북중관계 변화전망" 세종연구소 2018

      21 강수정, "미중관계와 동아시아 안보정세 전망" 성균중국연구소 8 (8): 2019

      22 이지용, "미국의 중국정책 전환과 미중 무역분쟁" 극동문제연구소 35 (35): 183-212, 2019

      23 강수정, "미국의 대중국 인식변화와 향후 미중관계 전망" 성균중국연구소 8 (8): 2019

      24 박휘락, "미국과 중국 간 ‘투키디데스 함정’과 한국 안보에 대한 함의" 한국통일전략학회 20 (20): 81-116, 2020

      25 김진원, "동북아안보정세분석" 한국국방연구원 2020

      26 조경근, "동북아 안보환경 변화와 한국 안보 - 군사비와 군사전략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통일전략학회 20 (20): 159-192, 2020

      27 원동욱, "남북·북미정상회담 이후 동북아 국제관계와 대응방안" 정책기획위원회 2019

      28 김학성, "남북 및 북미정상회담이후 한반도 평화정착의 추진방향과 실천과제" 한국정치정보학회 21 (21): 39-70, 2018

      29 이호령, "‘포스트 하노이’ 프로세스와 북한의 비핵화 전망" 성우회 2019

      30 장후이즈, "2차 북미 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정세 변화와 전망" 성균중국연구소 7 (7): 2019

      31 이승열, "2018년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성과와 한계 그리고 대안" 2018

      32 신범철, "2018-2019 비핵화 프로세스를 통해 본 북한의 전략적 의도 분석"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6 (26): 37-76,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5 1.75 1.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05 1.054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