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경주지역 적석목곽묘의 위계구조 검토 = The research about the class structure of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a stone mound in Gyeong-Ju reg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524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주지역 적석목곽묘 축조집단의 위계분석을 통하여 사회적 신분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적석목곽묘 축조집단은 크게 6등급의 위계가 확인되었다. 각각의 등급 차이는 유물 ...

      본 연구는 경주지역 적석목곽묘 축조집단의 위계분석을 통하여 사회적 신분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적석목곽묘 축조집단은 크게 6등급의 위계가 확인되었다. 각각의 등급 차이는 유물 내용상에서도 확연히 드러나지만, 특히 분포 권역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Ⅰ등급에서는 다른 등급에서 확인되지 않는 금제 관, 금제·금동제 대금구, 유리제품 등을 포함하고 있어 최고 수준의 질적, 양적 우위를 보이고 있다. 또한 목곽의 규모에 있어서도 가장 큰 규모의 A, B군을 점한다. Ⅱ등급은 금동제 관, 금속제 용기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목곽의 규모 는Ⅰ등급보다 작은 B, C군을 점하고 있다. Ⅲ등급은 관은 매납되지 않고 흉식, 금속제 용기 등을 포함하며 목곽의 규모는 B, C군을 점하고 있다. Ⅳ등급부터는 앞의 Ⅰ~Ⅲ등급에 비해 유물 구성과 목곽의 규모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Ⅳ 등급은 일반적인 경식, 이식, 마구류 등이 매납되고, 목곽의 규모는 Ⅰ~Ⅲ등급보다 월등히 작은 C, D군을 점하고 있다. Ⅴ등급은 착장형위세품과 보유형위세품은 보이고 않고 토기류, 농구·공 구류, 무구·마구류만이 매납된다. 목곽의 규모는 C, D군을 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Ⅵ등급은 오직 토기류만 매납되고 목곽의 규모는 C, D군을 점하고 있다. 최상위 위계에 속하는 Ⅰ·Ⅱ등급은 경주 중심권에만 분포하며 외곽지역으로 갈수록 위계의 정도는 점점 약화되어 간다. 이와 같은 위계 등급을 신라 신분 사회에 실질적으로 적용해보면 Ⅰ·Ⅱ등급은 왕·왕족, Ⅲ~Ⅴ유형은 귀족신분, Ⅵ유형은 일반민으로 상정된다. 그리고 Ⅰ~Ⅴ등급이 실질적으로 신라사회를 이끌어가는 지배계층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신라인들은 신분(지위)과 혈연관계에 따라 특정 계층으로 결정되며 이에 따라 정치, 사회, 경제적 특권과 의무가 뒤따르는 것으로 생각된다. 적석목곽묘 축조집단은 그들 내부에서도 서로를 구별지으려는 의식을 가졌을 뿐만 아니라 다른 묘제와의 차별성과 정체성을 강하게 표출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차별의식과 정체성은 사회 조직 내에서 신분 분화(위계화)의 심화를 가져온 것으로 파악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search is to study the social classes through the tomb builder's group. The tomb builder groups are divided into six classes. The class differences are not identified in not only relics, but also the distribution of the tombs. Class1 included go...

      The research is to study the social classes through the tomb builder's group. The tomb builder groups are divided into six classes. The class differences are not identified in not only relics, but also the distribution of the tombs. Class1 included golden crowns, golden belts, and glasses, which is not found in other tombs. It was the best quality and quantity among all the other tombs. In addition, it had the biggest group A, B in the wooden tombs. Class2 included golden crowns and golden wares. It had group B, C in wooden tombs, which is smaller than group A. Crowns were not included in Class3. But ornaments and golden wares were buried. It had group B, C in wooden tombs. From the class4, there was a huge difference among class1~3 when compared with the contents of the relics and the size of the tombs. In class4, necklaces, earings, equipments for riding horses were found. The size of the tomb was group C, D, which is much smaller than class1~3. In class4, the wearing and burial authority were not identified. In contrast, pots, farming tools, armors, and, equipments for horses were buried. The size of the wooden tombs are group C, D. Finally, class5 had only the pots and the size is group C, D. Class1, 2 included in the highest class were shown in the center area in Gyeong-Ju region and the class were getting lower in the country side. When the results is adapted to social class in Shila era in an actual way, class1, 2 are for the King, first class(Sunggoul), and second class(Jingoul), class3, 4 for the nobles, class5 for the people. In addition, it is estimated that class1~4 were the leader of the Shila society. The tomb builder groups had the mind for distinguishing themselves in their inner society, showing their identities and differences with other tombs. It is understood that the minds and identities led the deep differentiation of the classes in the socie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연구 동향과 방법
      • Ⅲ. 적석목곽묘의 발굴성과적 정의
      • Ⅳ. 유적 현황과 편년
      • 1. 유적 현황
      • Ⅰ. 머리말
      • Ⅱ. 연구 동향과 방법
      • Ⅲ. 적석목곽묘의 발굴성과적 정의
      • Ⅳ. 유적 현황과 편년
      • 1. 유적 현황
      • 2. 편년
      • Ⅴ. 유형 분류와 위계 등급 설정
      • 1. 유형 분류
      • 2. 등급 설정
      • Ⅵ. 위계구조의 특징
      • 1. 분포 권역 설정
      • 2. 위계구조의 특징
      • Ⅶ.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大煥, "嶺南地方 積石木槨墓에 대한 硏究" 嶺南大學校 大學院 2001

      2 李漢祥, "金工品을 통해 본 5-6世紀 新羅의 執權化過程" 韓國考古美術硏究所 1 : 1988

      3 최수형, "충전석목곽묘의 구조변화와 성격 검토" 中央文化財硏究院 (7) : 2010

      4 金龍星, "신라왕도의 고총과 그 주변" 학연문화사 2009

      5 李熙濬, "신라고고학연구" 사회평론 2007

      6 이은석, "신라 황남대총에 관한 연구"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9

      7 김동윤, "신라 적석목곽묘의 변천과정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9

      8 홍두승, "사회계층·계급론" 다산출판사 2008

      9 이청규, "경주지역 고분조사와 연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연구회 10 : 2000

      10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民族文化大百科事典" 웅진출판사 1991

      1 金大煥, "嶺南地方 積石木槨墓에 대한 硏究" 嶺南大學校 大學院 2001

      2 李漢祥, "金工品을 통해 본 5-6世紀 新羅의 執權化過程" 韓國考古美術硏究所 1 : 1988

      3 최수형, "충전석목곽묘의 구조변화와 성격 검토" 中央文化財硏究院 (7) : 2010

      4 金龍星, "신라왕도의 고총과 그 주변" 학연문화사 2009

      5 李熙濬, "신라고고학연구" 사회평론 2007

      6 이은석, "신라 황남대총에 관한 연구"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9

      7 김동윤, "신라 적석목곽묘의 변천과정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9

      8 홍두승, "사회계층·계급론" 다산출판사 2008

      9 이청규, "경주지역 고분조사와 연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연구회 10 : 2000

      10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民族文化大百科事典" 웅진출판사 1991

      11 李盛周, "蔚山 中山里遺蹟 發掘을 通하여 본 新羅墓制의 起源" 韓國考古學會 1992

      12 金斗喆, "第Ⅳ章 맺음말, In 慶州 皇吾洞100遺蹟Ⅰ" 東國大學校 慶州캠퍼스博物館 2008

      13 김두철, "積石木槨墓의 구조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대학박물관협회 73 (73): 57-86, 2009

      14 朴普鉉, "短脚高杯로 본 積石木槨墳의 消滅年代" 東國大學校 新羅文化硏究所 (15) : 1998

      15 崔秉鉉, "皇南大塚의 構造와 新羅 積石木槨墳의 變遷·起源, In 皇南大塚의 諸照明"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2000

      16 조영현, "皇南大塚과 天馬塚의 區劃築造에 대하여" 영남고고학회 31 : 83-116, 2002

      17 金斗喆, "皇南大塚 南墳과 新羅古墳의 編年" 韓國考古學會 80 : 2011

      18 金龍星, "新羅의 古塚과 地域集團" 춘추각 1998

      19 이난영, "新羅黃金-신비한 황금의 나라-"

      20 李種旭, "新羅骨品制硏究" 一潮閣 1999

      21 毛利光俊彦, "新羅積石木槨墳考, In 文化財論業" 奈良文化財硏究所 創立30周年 紀念論文集刊行會 1983

      22 李盛周, "新羅式 木槨墓의 展開와 意義, In 신라고고학의 제문제" 韓國考古學會 1996

      23 金基雄, "新羅古墳의 變遷" 建大史學會 (4) : 1974

      24 金基雄, "新羅古墳의 編年에 관하여-積石木槨墳의 內部構造를 中心으로, In 漢坡李相玉博士回甲紀念論文集" 漢坡李相玉博士回甲紀念論文刊行委員會 1970

      25 崔秉鉉, "新羅古墳硏究" 一志社 1998

      26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新羅古墳 基礎學術調査硏究Ⅲ-文獻·考古資料"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2007

      27 李盛周, "新羅·伽倻社會의 起源과 成長" 學硏文化社 1998

      28 朴光烈, "新羅 積石木槨墓의 開始에 관한 檢討" 慶州史學會 20 : 2001

      29 姜仁求, "慶州芳內里古墳群(本文)"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1997

      30 姜仁求, "慶州芳內里古墳群(出土遺物)"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1996

      31 朴升圭, "慶州舍羅里遺蹟Ⅰ-積石木槨墓·石槨墓" 嶺南文化財硏究院 1999

      32 朴升圭, "慶州舍羅里525番地遺蹟 북안-경주간 국도확장공사 구간내" 嶺南文化財硏究院 2005

      33 한병삼, "慶州朝陽洞遺蹟Ⅰ" 國立慶州博物館 2000

      34 池建吉, "慶州安溪里古墳群發掘調査報告書" 文化財硏究所 1981

      35 藤井和夫, "慶州古新羅古墳編年試案-出土新羅土器中心-" 6 : 1979

      36 國立慶州博物館, "慶州仁旺洞遺蹟-협성주유소부지-" 國立慶州博物館 2003

      37 張正南, "慶州仁旺洞古墳群 發掘調査報告書"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2002

      38 朴升圭, "慶州九於里古墳群Ⅰ" 嶺南文化財硏究院 2002

      39 김수남, "慶州 隍城洞遺蹟Ⅲ-江邊路 3-A工區 開發區間內 發掘調査 報告書" 韓國文化財保護財團 2005

      40 김수남, "慶州 隍城洞 遺蹟-537-1·10, 537-4·535-8, 533-1·6番地 發掘調査 報告書" 韓國文化財保護財團 2002

      41 李熙濬, "慶州 月城路 가-13號 積石木槨墓의 年代와 意義, In 碩晤尹容鎭敎授停年退任紀念論嶪" 碩晤尹容鎭敎授停年退任紀念 論業刊行委員會 1986

      42 吳在鎭, "慶州 德泉里古墳群" 中央文化財硏究院 2005

      43 김호상, "慶州 士方里 古墳群-慶州 士方里 996-1番地 遺蹟" 新羅文化遺産硏究院 2005

      44 朴普鉉, "威勢品으로 본 古신라사회의 구조"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5

      45 李鍾宣, "古新羅王陵硏究" 學硏文化社 2000

      46 朴永福, "古新羅時代의 墓制考察" (11) : 1977

      47 姜仁求, "古墳硏究" 學硏文化社 2000

      48 金斗喆, "三國·古墳時代의 編年觀(Ⅱ), In 한일 삼국·고분시대의 연대관(Ⅱ)" 國立釜山大學校博物館·國立歷史民俗博物館 2007

      49 홍보식, "6~7세기대 신라고분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1

      50 李熙濬, "4~5세기 신라 고분 피장자의 服飾品 着裝 定型" 한국고고학회 47 : 63-92, 2002

      51 李熙濬, "4-5세기 新羅의 考古學的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3 2.65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