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교통사고 특성분석을 통한 고령운전자의 상대위험도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relative risk for the older drivers throuth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1854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2015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34.04U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67p. : 삽화, 도표 ; 26cm.

      • 일반주기명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relative risk for the older drivers throuth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
        지도교수:이수범
        참고문헌 : 62-63p.

      • 소장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Korea has entered the stage of an aging society as the population at age 65 or older surpassed 7 percent of the total population back in 2000 and is expected to hit 17 percent in 2017. 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on the road corresponds to a rapid increase in traffic accidents involving senior drivers, Korea should make adequate preparations for this aging population and devise various measures to ensure safety. Few studies, however, have examined the issues by comparing traffic accidents caused by elderly drivers with those caused by younger drivers. In this study, I analyze and compare senior drivers with non-senior drivers and suggest measures to improve road safety that correspond to age-relevant characteristics determined by dividing senior drivers into three age groups and comparing their driving behaviors. I chose a retrospective approach for an objective comparison of traffic accidents involving senior drivers with those involving non-senior drivers and drew data from traffic accident statistics recorded nationwide over the last three years from 2012 to 2014.

      This study shows that senior drivers are on average 1.51 times more likely than non-senior drivers to be involved in a traffic accident. Broken down by age, those 65-69 are 1.34 times more likely to be in accident than non-senior driver; those 70-74, 1.56 times; and those 75 and over 1.9 times, which indicates that the older the driver, the more likelihood of a serious traffic accident. By vehicle type, traffic accidents caused by senior truck drivers at age 65 or older are 1.28 times more serious than those caused by passenger car drivers (1.26 times) or van drivers (1.69 times) of the same age. The risks of traffic accidents become much higher when bicycles (2.43 times) and motor bikes (2.89 times) are involved.

      Also, senior drivers caused 1.18 times more single-vehicle accidents, 1.19 times more over-the-centerline car accidents and traffic light violations, and 1.04 times more improper intersection crossings than their non-senior counterparts. In terms of road types, car accidents involving senior drivers occurred 1.87 times more often on county roads, 1.35 times more on national highways, and 1.31 times more on local roads than was the case for non-senior drivers. In terms of road designs, senior drivers had 1.15 times more vehicle accidents on curved roads than non-senior drivers and the two oldest sets combined (70 and over) caused 1.45 times more accidents on foggy days than the younger set, those aged 65 to 69.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erative to revise traffic safety policy for systematic improvement of traffic safety measures for elderly drivers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psychological (cognitive ability) and physical (motor skills) of senior drivers in comparison with non-senior drivers. Moreover, it seems highly advisable to subdivide senior drivers into several age groups and apply progressively stricter driver’s license renewal rules, such as shortening of the renewal cycle and tightening of the driver aptitude test, among others.

      Keywords: aging, elderly drivers*, cross analysis, relative risk
      *elderly drivers(=over 65 years old driver)
      번역하기

      Abstract Korea has entered the stage of an aging society as the population at age 65 or older surpassed 7 percent of the total population back in 2000 and is expected to hit 17 percent in 2017. 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on the road corr...

      Abstract
      Korea has entered the stage of an aging society as the population at age 65 or older surpassed 7 percent of the total population back in 2000 and is expected to hit 17 percent in 2017. 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on the road corresponds to a rapid increase in traffic accidents involving senior drivers, Korea should make adequate preparations for this aging population and devise various measures to ensure safety. Few studies, however, have examined the issues by comparing traffic accidents caused by elderly drivers with those caused by younger drivers. In this study, I analyze and compare senior drivers with non-senior drivers and suggest measures to improve road safety that correspond to age-relevant characteristics determined by dividing senior drivers into three age groups and comparing their driving behaviors. I chose a retrospective approach for an objective comparison of traffic accidents involving senior drivers with those involving non-senior drivers and drew data from traffic accident statistics recorded nationwide over the last three years from 2012 to 2014.

      This study shows that senior drivers are on average 1.51 times more likely than non-senior drivers to be involved in a traffic accident. Broken down by age, those 65-69 are 1.34 times more likely to be in accident than non-senior driver; those 70-74, 1.56 times; and those 75 and over 1.9 times, which indicates that the older the driver, the more likelihood of a serious traffic accident. By vehicle type, traffic accidents caused by senior truck drivers at age 65 or older are 1.28 times more serious than those caused by passenger car drivers (1.26 times) or van drivers (1.69 times) of the same age. The risks of traffic accidents become much higher when bicycles (2.43 times) and motor bikes (2.89 times) are involved.

      Also, senior drivers caused 1.18 times more single-vehicle accidents, 1.19 times more over-the-centerline car accidents and traffic light violations, and 1.04 times more improper intersection crossings than their non-senior counterparts. In terms of road types, car accidents involving senior drivers occurred 1.87 times more often on county roads, 1.35 times more on national highways, and 1.31 times more on local roads than was the case for non-senior drivers. In terms of road designs, senior drivers had 1.15 times more vehicle accidents on curved roads than non-senior drivers and the two oldest sets combined (70 and over) caused 1.45 times more accidents on foggy days than the younger set, those aged 65 to 69.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erative to revise traffic safety policy for systematic improvement of traffic safety measures for elderly drivers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psychological (cognitive ability) and physical (motor skills) of senior drivers in comparison with non-senior drivers. Moreover, it seems highly advisable to subdivide senior drivers into several age groups and apply progressively stricter driver’s license renewal rules, such as shortening of the renewal cycle and tightening of the driver aptitude test, among others.

      Keywords: aging, elderly drivers*, cross analysis, relative risk
      *elderly drivers(=over 65 years old driv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이미 2000년에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7%를 넘어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었으며, 내후년인 2017년에는 17%로 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고령인구 및 고령운전면허소지자의 증가는 고령운전자 교통사고의 급격한 증가를 초래하고 있어 교통분야에서도 많은 준비와 안전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나 고령운전자와 비고령운전자 교통사고 특성에 대한 비교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운전자와 비고령운전자 두 그룹간의 객관적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고령운전자를 다시 초기, 중기, 후기 고령자로 분류하여 고령운전자분류별 차이를 분석하여 그 특성을 고려한 안전대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기 발생한 교통사고를 대상으로 고령운전자사고와 비고령운전자사고간의 객관적 비교가 가능하도록 환자-대조군 연구의 후향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자료는 최근 3년간(2012~2014년) 발생한 전국 교통사고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교통사고 발생시 전체 교통사고 심각도(사망사고 위험도)는 비고령운전자에 비해서 65세이상 고령운전자가 1.5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고령운전자중에서는 초기고령자(65~69세)에 비해 중기고령자(70~74세)가 1.34배, 후기고령자(75세이상)가 1.90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 등 초기고령자에서 중기, 후기고령자로 갈수록 사고 심각도가 크게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차종별 교통사고 심각도(사망사고 위험도)는 비고령운전자에 비해서 65세이상 고령운전자가 승용차는 1.26배, 승합차는 1.69배, 화물차는 1.28배 높고, 특히 이륜차(2.43배)와 원동기장치자전거(2.89배)는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차량단독사고 위험도는 비고령운전자에 비해 1.18배 높고, 중앙선침범사고와 신호위반사고 위험도는 각각 1.19배, 교차로통행방법위반사고는 1.0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종류별로는 군도가 1.87배로 가장 높고, 일반국도 1.35배, 지방도 1.31배 높았으며, 도로선형별에서는 커브/곡각도로 사고 위험도가 1.15배 높고, 안개 상태시 사고 위험도는 비고령운전자에 비해 1.3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안개가 낀날에는 초기고령자에 비해 중기와 후기고령자의 사고 위험도가 각각 1.4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격적인 인구 고령화 시대를 맞아 비고령운전자에 비해 상대적 약자인 고령운전자의 정신적(인지 또는 판단능력), 신체기능적(운동능력) 특성 등을 반영한 고령운전자 교통안전정책분야에 대한 제도적 보완 및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고령운전자를 연령대별로 세분화할 필요가 있으며, 중기와 후기고령자의 경우는 면허갱신주기 단축 또는 운전적성검사 기준 및 항목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키워드 : 고령화, 고령운전자, 교차분석, 상대위험도
      번역하기

      우리나라는 이미 2000년에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7%를 넘어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었으며, 내후년인 2017년에는 17%로 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고령인구 및 고령운전면허소지자...

      우리나라는 이미 2000년에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7%를 넘어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었으며, 내후년인 2017년에는 17%로 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고령인구 및 고령운전면허소지자의 증가는 고령운전자 교통사고의 급격한 증가를 초래하고 있어 교통분야에서도 많은 준비와 안전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나 고령운전자와 비고령운전자 교통사고 특성에 대한 비교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운전자와 비고령운전자 두 그룹간의 객관적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고령운전자를 다시 초기, 중기, 후기 고령자로 분류하여 고령운전자분류별 차이를 분석하여 그 특성을 고려한 안전대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기 발생한 교통사고를 대상으로 고령운전자사고와 비고령운전자사고간의 객관적 비교가 가능하도록 환자-대조군 연구의 후향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자료는 최근 3년간(2012~2014년) 발생한 전국 교통사고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교통사고 발생시 전체 교통사고 심각도(사망사고 위험도)는 비고령운전자에 비해서 65세이상 고령운전자가 1.5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고령운전자중에서는 초기고령자(65~69세)에 비해 중기고령자(70~74세)가 1.34배, 후기고령자(75세이상)가 1.90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 등 초기고령자에서 중기, 후기고령자로 갈수록 사고 심각도가 크게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차종별 교통사고 심각도(사망사고 위험도)는 비고령운전자에 비해서 65세이상 고령운전자가 승용차는 1.26배, 승합차는 1.69배, 화물차는 1.28배 높고, 특히 이륜차(2.43배)와 원동기장치자전거(2.89배)는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차량단독사고 위험도는 비고령운전자에 비해 1.18배 높고, 중앙선침범사고와 신호위반사고 위험도는 각각 1.19배, 교차로통행방법위반사고는 1.0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종류별로는 군도가 1.87배로 가장 높고, 일반국도 1.35배, 지방도 1.31배 높았으며, 도로선형별에서는 커브/곡각도로 사고 위험도가 1.15배 높고, 안개 상태시 사고 위험도는 비고령운전자에 비해 1.3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안개가 낀날에는 초기고령자에 비해 중기와 후기고령자의 사고 위험도가 각각 1.4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격적인 인구 고령화 시대를 맞아 비고령운전자에 비해 상대적 약자인 고령운전자의 정신적(인지 또는 판단능력), 신체기능적(운동능력) 특성 등을 반영한 고령운전자 교통안전정책분야에 대한 제도적 보완 및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고령운전자를 연령대별로 세분화할 필요가 있으며, 중기와 후기고령자의 경우는 면허갱신주기 단축 또는 운전적성검사 기준 및 항목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키워드 : 고령화, 고령운전자, 교차분석, 상대위험도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 목 차 】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 1. 연구의 내용 3
      • 【 목 차 】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 1. 연구의 내용 3
      • 2. 연구의 방법 3
      • 제2장 관련 문헌 고찰 5
      • 제1절 고령자의 정의 5
      • 제2절 고령자의 운전관련 특성 7
      • 1. 시각적 특성 7
      • 2. 청각적 특성 8
      • 3. 인지적 특성 8
      • 4. 반응 특성 9
      • 제3절 연구방법론 고찰 10
      • 1. 층화추출법 10
      • 2. 교차분석 11
      • 3. 환자-대조군 연구 13
      • 제3장 자료수집 및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추세 16
      • 제1절 자료수집 개요 16
      • 1. 자료수집 범위 및 현황 16
      • 제2절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추세 17
      • 1. 고령 인구의 추세 17
      • 2. 고령 운전면허소지자 추세 18
      • 3.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추세 20
      • 제4장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상대위험도 비교분석 22
      • 제1절 분석집단의 특성 22
      • 제2절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상대위험도 비교분석 27
      • 1. 고령운전자그룹과 비고령운전자 그룹간 상대위험도 비교분석 27
      • 2. 초기, 중기, 후기 고령운전자분류별 상대위험도 비교분석 38
      • 제3절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특성요약 54
      • 1. 고령운전자그룹과 비고령운전자 그룹간 상대위험도 분석결과 54
      • 2. 초기, 중기, 후기 고령운전자분류별 상대위험도 분석결과 55
      • 제5장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59
      • 제1절 결론 및 시사점 59
      • 제2절 향후 연구과제 61
      • 참고문헌 62
      • Abstract 64
      • 감사의 글 6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