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 대학 재학 중 노동경험을 중심으로 - = The Determinants of Labor Market Performance for Youth Graduates : Focused on Work Experience during Higher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116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labor experience on labor market performance while attending school using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data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released in February 2018. Labor market performa...

      The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labor experience on labor market performance while attending school using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data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released in February 2018. Labor market performance is analyzed by quantitative aspect (employment status) and qualitative aspect (regular employment, large company employment, monthly average w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work experience and passion pay experience at schoo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eoul and Gyeonggi - Kwon compared to local universities. Especially, passionate experience in Seoul showed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women in Seoul. Second, the employment rate was higher than that when there was no work experience during college, and employment rate of large enterprises was high. Third, as the passion pay experience shows, the employment rate, regular employment rate, and monthly average wage are lower. This shows that work experience in school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performance in the labor market after graduation, but this means that the experience of passion and payment can have a negative effect. Suggesting that policies to ensure that qualitative labor experience is achieved rather than quantitative labor experience in order to achieve progressive transition from the education of young people to the labor marke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8년 2월에 공개된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5GOMS)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 재학 중 노동경험과 열정페이가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노동...

      본 연구는 2018년 2월에 공개된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5GOMS)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 재학 중 노동경험과 열정페이가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노동시장 성과는 양적인 측면(취업 여부)과 질적인 측면(정규직 취업 여부, 대기업 취업 여부, 임금수준)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학 중 노동경험과 열정페이 경험은 지방대학과 비교하면 서울권과 경기권 대학의 비중이 높았으며, 특히 열정페이 경험은 서울권의 여성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 재학 중 노동경험이 있는 청년이 그렇지 않는 경우보다 취업률과 대기업 취업률이 높았다. 셋째, 열정페이 경험이 있을수록 취업률, 정규직 취업률, 월 평균임금이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대학재학 중 노동경험이 졸업 이후 노동시장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하지만, 열정페이 경험은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대학청년층의 발전적 노동시장으로의 이행을 위해서는 양적인 노동경험보다는 질적으로 충실한 노동경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성호, "학생청소년의 노동시장 참여와 비행간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0 (10): 83-103, 2003

      2 문영만, "청년층의 노동시장 격차 및 지역인재 유출요인 -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학회 25 (25): 165-187, 2017

      3 김유빈, "청년층 노동시장 실태와 정책과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7

      4 류장수, "청년인턴제의 성과분석" 한국노동연구원 31-45, 2015

      5 문영만, "청년 취업자의 기업규모별 이직 결정요인 및 임금효과" 한국산업노동학회 23 (23): 195-230, 2017

      6 이준협, "청년 열정페이의 특징과 시사점" 현대경제연구원 (689) : 16-16, 2016

      7 이상록, "지방대학생의 재학 중 근로경험 실태 및 진로 준비에의 영향 분석- 전북지역K대학교 학부생을 대상으로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5 (15): 5-39, 2004

      8 정기덕, "재학 중 일자리 경험이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임금과 직무불일치 해소 효과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7 (27): 237-259, 2016

      9 이병희, "재학 중 근로경험의 실태와 노동시장 성과" 한국노동경제학회 26 (26): 1-21, 2003

      10 박주상, "부산지역 대졸청년층 취업 및 노동시장 성과" 부경대학교 2017

      1 문성호, "학생청소년의 노동시장 참여와 비행간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0 (10): 83-103, 2003

      2 문영만, "청년층의 노동시장 격차 및 지역인재 유출요인 -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학회 25 (25): 165-187, 2017

      3 김유빈, "청년층 노동시장 실태와 정책과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7

      4 류장수, "청년인턴제의 성과분석" 한국노동연구원 31-45, 2015

      5 문영만, "청년 취업자의 기업규모별 이직 결정요인 및 임금효과" 한국산업노동학회 23 (23): 195-230, 2017

      6 이준협, "청년 열정페이의 특징과 시사점" 현대경제연구원 (689) : 16-16, 2016

      7 이상록, "지방대학생의 재학 중 근로경험 실태 및 진로 준비에의 영향 분석- 전북지역K대학교 학부생을 대상으로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5 (15): 5-39, 2004

      8 정기덕, "재학 중 일자리 경험이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임금과 직무불일치 해소 효과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7 (27): 237-259, 2016

      9 이병희, "재학 중 근로경험의 실태와 노동시장 성과" 한국노동경제학회 26 (26): 1-21, 2003

      10 박주상, "부산지역 대졸청년층 취업 및 노동시장 성과" 부경대학교 2017

      11 오선정, "대학진학의 선택과 노동시장 성과" 한국노동연구원 2016

      12 임천순, "대학졸업생의 직업세계로의 이행과 취업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1-25, 2006

      13 주휘정, "대학생 재학 중 근로와 열정페이 실태 및 영향요인 분석 연구" 한국고용정보원 2015

      14 안준기, "대학 재학시절 근로활동이 노동시장 이행에 미치는 영향: 생계형 근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1 (21): 149-180, 2011

      15 남기곤, "대학 재학 중 활동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효과" 한국경제발전학회 16 (16): 143-172, 2010

      16 김성훈, "대학 재학 중 비정규노동과 졸업 후 노동시장 성과" 안암교육학회 17 (17): 5-26, 2011

      17 송영숙, "대학 재학 중 근로 경험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287-293, 2017

      18 박재민, "대졸자의 중소기업 취업이 장기적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동연구원 11 (11): 29-53, 2011

      19 박가열, "대졸자 취업 영향 요인 분석" 한국고용정보원 3 (3): 29-59, 2009

      20 채창균, "대졸 청년층의 취업 성과 결정 요인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28 (28): 89-107, 2009

      21 정현상, "대졸 청년층의 전공계열별 노동시장 이행실태" 한국노동연구원 60-75, 2015

      22 황여정,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11): 1-23, 2008

      23 이찬영, "근로유형에 따른 재학 중 근로의 노동시장 초기성과" 한국경제통상학회 31 (31): 85-106, 2013

      24 이병희, "교육과 노동시장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5

      25 OECD, "OECD Economic Survey : Korea 2016" 2016

      26 Schultz, T. W, "Investment in human capital" 51 : 1-17, 1961

      27 Doeringer, P, "Internal labor market and manpower analysis" Lexington 1971

      28 Becker, G. S, "Human capital: Atheoretical andempirical studies, with special referrence to educa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1964

      29 이찬영, "4년제 대학생의 재학 중 근로와 교육성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5 (15): 1-25, 2012

      30 신종각, "2016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기초분석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5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