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차등 근대화와 식민지 문화구조 인쇄본 구소설과 `하위대중`의 상상체계 = Differential Modernization and Culture Structure in Colonial Korea : Printed Old Style Novel and the Imagination System of `Colonial Subalter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식민지 시기 간행된 `인쇄본 구소설`을 전통문화의 잔재로 이해하는 기존의 일반적 관념을 벗어나 그것을 근대문화의 일부로 간주하고 근대성 해석의 새로운 촉매로 사고해야 한다는 것이 ...

      식민지 시기 간행된 `인쇄본 구소설`을 전통문화의 잔재로 이해하는 기존의 일반적 관념을 벗어나 그것을 근대문화의 일부로 간주하고 근대성 해석의 새로운 촉매로 사고해야 한다는 것이 이 글의 출발점이다. 20세기의 구소설은 식민지 조선 안에서 발흥하고 있던 서구적 근대문화와 공존했다. 그것은 외형적으로 문명 교체기에 나타나는 보편적 중첩의 형태를 띠고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식민지적 간섭이 개입되어 나타난 특별한 문화구조의 산물이기도 했다. `이중출판시장` 상황에서 `내지`의 출판물과 경쟁할 수 없었던 조선출판자본의 강요된 선택이라는 측면과 차등근대화의 전략으로 사회적 헤게모니를 추구하던 조선인 엘리트들에 의해 구시대의 유물로 배제된, 두개의 차별이 구소설과 같은 조선의 전통문화가 근대적 대중화의 과정에서 겪었던 생존의 조건이었다. 그렇지만 구소설은 식민지 `하위대중`의 주체적인 문화결정을 상징하는 존재였을 뿐 아니라 당대 대중의 사회인식과 문화심리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친 요인 가운데 하나였다. 그동안 우리는 서구 문화형태를 주류적인 것으로 전면화하려는 압박으로 인해 전통사회의 인식방법과 미학체계가 한국의 근대문화에 미친 실질적인 영향에 대해 무관심했다. 하지만 전통서사에 대한 진화론적인 해석에서 벗어나 그 작용과 파장의 실체를 새로운 각도에서 설명할 수 있다면 한국 근대성에 대한 이전과는 다른 차원의 해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arted from these points : printed old style novels during colonial period of Korea ought to be considered not only as a part of modern culture, but also be deservedly comprehended as a new catalyst for appreciating modernity. In other wor...

      This paper started from these points : printed old style novels during colonial period of Korea ought to be considered not only as a part of modern culture, but also be deservedly comprehended as a new catalyst for appreciating modernity. In other words, we need to be free from a prejudice thinking `printed old style novels` were nothing more than the vestige of old days. In fact, old style novel of 20th century co-existed with western modern culture rising in colonial Korea. It externally seems to be a usual overlapping in age of civilization shift. In other hand, however, we may not miss that it was a result from an unusual cultural structure due to the colonial intervention. There were dual discriminations in the survival condition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such as old style novel : Publishing old style novels was an inevitable choice for Korean publication capitals who could not compete with advanced publications from mainland Japan; at the same time, old style novels were excluded as a old days legacy by new elites of colonial Korea who were pursuing the social hegemony with a strategy ― discriminated modernity. However old style novel was what symbolized `Colonial Subaltern`s cultural subjectivity and also one of important elements that influenced on social perception and cultural psychology. Due to pressure which would generalize western culture as a main stream, we have been ignorant about essential influences of both the perceptive method of traditional society and aesthetics system. If the substantial role and impact of traditional narrative could be explained from a new perspective, not from evolutionary analysis, I think it might be possible to shed light on the modernity of Korea in a different level.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