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리구슬을 이용한 조형연구 : 서부아프리카 아산테부족의 조형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molding using glass beads : centering on the sculpture of Asante tribe in the western Afric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7482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아프리카 조형물들은 대부분 그들의 생존과 직결된 복잡한 의식과 의례를 위해 제작되었다. 삶에 대한 진지한 자세에서 자연으로부터 영감을 받은 수많은 요소들을 사용한 형상과 모티브를 통해 관념과 의미를 형상화 했다. 그런 조형작품들은 자연환경과 생활양식에 의해서 종교적 또는 문화적 특성에 의하여 그 지역의 예술성과 독창성을 갖고 있어 그들만의 독특한 특징을 느낄 수 있게 한다.
      또한 아프리카 사회에서의 유리구슬은 여러 계층의 구조적 의사소통의 체계를 완성하는 필수적인 요소로 사용되었다.
      아프리카의 예술이 쇠퇴하는 상황에서도 비교적 다른 나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고 순수한 형태로 현재까치 남아서 사용되고 있는 서부아프리카 아산테(Asante)부족의 조형물을 응용한 작품을 제작해 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인은 고대 유리구슬의 기원과 서부아프리카 아산테부족의 조형물과 아딘크라문양의 특성에 대해서 분석하고 그 내용과 의미를 이해하여 아산테부족의 조형물에서 보이는 미적 요소와 함께 아산테부족의 아딘크라 문양을 재구성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흥미로운 아산테부족의 조형물이 단지 아산테부족의 전통적인 역사유물이 아닌 새로운 조형적 언어로 표현함으로써 다시금 현대 조형미에 응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번역하기

      아프리카 조형물들은 대부분 그들의 생존과 직결된 복잡한 의식과 의례를 위해 제작되었다. 삶에 대한 진지한 자세에서 자연으로부터 영감을 받은 수많은 요소들을 사용한 형상과 모티브를...

      아프리카 조형물들은 대부분 그들의 생존과 직결된 복잡한 의식과 의례를 위해 제작되었다. 삶에 대한 진지한 자세에서 자연으로부터 영감을 받은 수많은 요소들을 사용한 형상과 모티브를 통해 관념과 의미를 형상화 했다. 그런 조형작품들은 자연환경과 생활양식에 의해서 종교적 또는 문화적 특성에 의하여 그 지역의 예술성과 독창성을 갖고 있어 그들만의 독특한 특징을 느낄 수 있게 한다.
      또한 아프리카 사회에서의 유리구슬은 여러 계층의 구조적 의사소통의 체계를 완성하는 필수적인 요소로 사용되었다.
      아프리카의 예술이 쇠퇴하는 상황에서도 비교적 다른 나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고 순수한 형태로 현재까치 남아서 사용되고 있는 서부아프리카 아산테(Asante)부족의 조형물을 응용한 작품을 제작해 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인은 고대 유리구슬의 기원과 서부아프리카 아산테부족의 조형물과 아딘크라문양의 특성에 대해서 분석하고 그 내용과 의미를 이해하여 아산테부족의 조형물에서 보이는 미적 요소와 함께 아산테부족의 아딘크라 문양을 재구성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흥미로운 아산테부족의 조형물이 단지 아산테부족의 전통적인 역사유물이 아닌 새로운 조형적 언어로 표현함으로써 다시금 현대 조형미에 응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st African sculptures were manufactured aiming at the complex ritual and ceremony that are connected directly with their survival. It embodied an idea and a meaning through shape and motive that used numerous elements, which received inspiration from nature in a serious attitude toward life. Those molding works have artistry and creativity of that region thanks to religious or cultural characteristics, by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lifestyle, thus making it possible to feel a characteristic peculiar only to them.
      Also, the glass bead in African society was used as a necessary element for completing the structurally communication system of various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nufacture a work that applied the sculpture of Asante tribe in the western Africa, which is being used with having remained so far in a pure form without having comparatively been affected from other countries even in a situation that the African art is being declined.
      Accordingly, the person in question re-composed Adinkra patterns of the Asante tribe, together with the aesthetic element that is shown in sculpture of the Asante tribe, by analyzing the origin of anciently glass bead, the sculpture and Adinkra patterns of the Asante tribe in the western Africa and by understanding its contents and meaning.
      Consequently, in this study is desired that the interesting sculpture of the Asante tribe may be applied again to the modernly formative aesthetic, by expressing in the newly molding language, other than being simply the traditionally historical relics of Asante tribe.
      번역하기

      Most African sculptures were manufactured aiming at the complex ritual and ceremony that are connected directly with their survival. It embodied an idea and a meaning through shape and motive that used numerous elements, which received inspiration fro...

      Most African sculptures were manufactured aiming at the complex ritual and ceremony that are connected directly with their survival. It embodied an idea and a meaning through shape and motive that used numerous elements, which received inspiration from nature in a serious attitude toward life. Those molding works have artistry and creativity of that region thanks to religious or cultural characteristics, by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lifestyle, thus making it possible to feel a characteristic peculiar only to them.
      Also, the glass bead in African society was used as a necessary element for completing the structurally communication system of various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nufacture a work that applied the sculpture of Asante tribe in the western Africa, which is being used with having remained so far in a pure form without having comparatively been affected from other countries even in a situation that the African art is being declined.
      Accordingly, the person in question re-composed Adinkra patterns of the Asante tribe, together with the aesthetic element that is shown in sculpture of the Asante tribe, by analyzing the origin of anciently glass bead, the sculpture and Adinkra patterns of the Asante tribe in the western Africa and by understanding its contents and meaning.
      Consequently, in this study is desired that the interesting sculpture of the Asante tribe may be applied again to the modernly formative aesthetic, by expressing in the newly molding language, other than being simply the traditionally historical relics of Asante trib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ⅱ
      • Ⅰ. 서론 = 1
      • 1. 연구목적 = 1
      • 2. 연구 내용 및 방법 = 2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ⅱ
      • Ⅰ. 서론 = 1
      • 1. 연구목적 = 1
      • 2. 연구 내용 및 방법 = 2
      • Ⅱ. 본론 = 3
      • 1. 고대 유리구슬의 기원 = 3
      • 2. 아프리카에서 유리구슬이 가지는 의미 = 5
      • 3. 서부아프리카 아산테(Asante)부족의 조형물 = 6
      • 1) 색상 = 6
      • 2) 아쿠아바(Akuaba) 조각상 = 7
      • 3) 아크라포콘무 (Akrafokonmu) = 8
      • 4) 아딘크라(Adinkra) 문양 = 9
      • Ⅲ. 연구 작품 = 13
      • 1. 작품 1 = 13
      • 2. 작품 2 = 17
      • 3. 작품 3 = 22
      • 4. 작품 4 = 28
      • Ⅳ. 결론 = 32
      • 참고도판 = 33
      • 참고문헌 = 35
      • ABSTRACT = 3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