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特殊形態勤勞從事者의 法的 保護에 關한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82280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10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44.5101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Legal Protection of Workers in Special Types of Employment

      • 형태사항

        v,103 장 ; 30 cm.

      • 일반주기명

        단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하갑래
        참고문헌 : 97-100장.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특수형태근로종사자는 외관상 자영인이나 경제적으로 특정사업주에 종속되거나 특정사업주의 지휘․명령을 받아 자영인과 근로자의 중간적인 성격을 갖는 취업자를 총칭한다. 특수형...

      특수형태근로종사자는 외관상 자영인이나 경제적으로 특정사업주에 종속되거나 특정사업주의 지휘․명령을 받아 자영인과 근로자의 중간적인 성격을 갖는 취업자를 총칭한다.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문제는 외환위기 이후 계약직, 파견, 도급 등의 취업형태와 더불어 그 규모가 커지면서 사회적인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보호에 관한 노사간의 입장은 서로 대립되어 왔다. 노동계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를 근로자로 보아 노동법을 적용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경영계는 이들은 위임․위탁 또는 도급계약에 의한 노무제공자로 근로자의 판별지표인 사용종속관계 기준에서 볼 때 독립자영자로 보아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정부는 노사정위원회 등의 논의를 거쳐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보호법안을 2007년에 국회에 제출하였으나, 회기 종료로 법안이 폐기된 후 현재까지 이들에 대한 보호방안의 강구는 거의 중단된 실정이다.
      특수형태근로종사자는 업종간은 물론, 동일 업종 내에서도 노무제공의 성격이 다양하여 통일적인 해결방안 마련이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형태근로종사자가 근로자로서의 성격과 자영인으로서의 성격을 공유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특수형태근로종사자들의 열악한 근로조건과 고용불안정을 개선하고 법적지위를 보장하여 노동법적 측면에서 이들에 대한 적정한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선행연구와 관련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분석하고,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여러 직종 가운데서 골프장 경기보조원 등 주요 8개 직종의 실태를 분석한 후, 이들의 제반 문제에 대한 법원의 판결과 노동부 행정해석을 분석하고, 정부의 보호방안을 비롯한 여러 대안을 평가·분석하는 등 심층연구를 기초로 필자의 견해를 정립하고, 그에 의거하여 논의를 전개하여 합리적인 보호방안을 도출하였다.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보호방안은 우리의 법률체계와 판례의 태도, 노사의 인식정도 등에 걸맞는 입법적 방안이 되어야 한다. 입법방식은 헌법 제32조 및 제33조에 기초한 특별법 형식을 제안한다. 특수형태근로종사자에 대해 근로자와 자영업자 사이의 중간영역에 있음을 인정하고 근로자로서의 성격과 독립사업자로서의 이중적 성격을 감안하여 근로자와 유사한 정도의 보호를 부여하고 기존의 노동법 체계와도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외국의 주요 국가들도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보호문제에 관하여 입법규율 내용과 보호방법 등 그 나라의 실정에 맞게 접근방식을 취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우리의 실정에 맞는 합리적이고 공정한 특수형태근로종사자에 대한 입법적 해결방안이 속히 마련되어야할 시점이라고 생각된다. 특수형태근로종사자에 대한 노동법적 보호 방안에 있어 개별적 관계의 보호와 집단적 관계의 보호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개별적 관계에 있어서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와 사용자 사이에 서면계약 체결에서 계약의 종료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보호수준을 강화하고, 근로의 대가에 대한 보수의 지급방법과 근로시간을 명시하며, 적정한 휴일 및 휴가를 부여하고, 성별·종교·사회적 신분 등의 이유로 차별을 금지하며, 모성보호 및 성희롱 예방과 고충처리 및 권리구제와 안전교육 및 안전시설 설치 등의 보호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집단적 관계에 있어서는 노무제공과 관련하여 사업자와 교섭 또는 협의를 통해 계약조건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특수형태근로종사자단체를 자유롭게 조직· 가입하게 하는 단결권을 보장하고, 사업자 또는 사업자단체와 교섭이나 협의를 할 권리를 부여하고, 교섭력의 균형을 부여한다는 목적에 비추어 그에 맞는 효력을 부여하고, 분쟁의 조정과 중재제도를 마련하고 교섭이 결렬되었을 때 노무제공을 거부하는 집단적 행위에 대해 노동조합의 행위처럼 민·형사상 면책을 인정하고, 단체활동을 보장하기 위해서 사업자의 부당행위를 금지하고, 노동위원회에 구제신청을 하게 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orkers in special types of employment is a general term for those who pretend to be self‐employment externally or for those who work under special business owner or receive direction and instruction from special business owner so that they are ...

      Workers in special types of employment is a general term for those who pretend to be self‐employment externally or for those who work under special business owner or receive direction and instruction from special business owner so that they are more likely to be in between employee and employer. The problem of the workers in special types of employment has been being magnified as a social issue since a number of contract based workers, dispatched workers and subcontracted workers had been increased after the financial crisis.
      There have been confliction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on the issue of protecting those workers in special types of employment. Labor unions insisted that the workers should be treated as a ‘Worker’ so that they can be meant to be subjective to Labor Laws, however, business communities claimed that they should be considered as a ‘Self‐employed worker’ because they also provide a work service through making delegation, consignment or subcontract agreement. The government submitted a bill for protecting the workers in special types of employment in 2007 after discussing with the Tripartite Commission yet it has almost been suspended since the bill had been abolished due to closing session till now.
      A unified solution for the workers in special types of employment is not easy to be derived as their types of business and service, even in the same category of business area, are very diverse.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verify that the workers in special types of employment have both characteristics of the ‘Worker’ and the ‘Self‐employed worker’, and moreover, to deliver adequate measures for them to be protected not only by improving their working condition and unstable employment situation but also by assuring their legal status in the perspective of labor law.
      To achieve this, those various precedent studies and related researches had been investigated and analyzed critically and, among several occupations,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of major 8 types of employments, including an assistant job in a golf club, had been conducted. After that, in regard to the problems, it had investigated judgments given from the court and administrative interpretations of the Ministry of Labor, and then, it also had evaluated and investigated the protection measures, proposed by the government, and a number of alternative measures, as well. Based on this in‐depth study, an opinion of the writer has been established and, accordingly, a reasonable protection measure also has been derived from it.
      The protection measures for the workers in special types of employment should be adequate legislative measures suitable for our legal system, a manner of the precedent and an awareness of labor and management. It is proposed to make the legislative scheme based on the Article 32 and the Article 33 of the Constitution. It needs to seek an appropriate solution that could not only assure almost similar degree of protection with what the ‘Worker’ receives but also keep the balance with the existing labor law system through admitting that there is a common area between the ‘Worker’ and the ‘Self‐employed worker’.
      Major foreign countries also tried to make the contents of the legislative regulations, in regard to the protection measure for the workers in special types of employment, to be fit for their own state. It might be an appropriate time for our county to prepare a legislative solution reasonable and fair for the workers in special types of employment and even fit for our society. Protection measures for the workers in special types of employment in terms of individual relation and collective relation are as follows;
      In terms of individual relation, when a written contract is made between the workers in special types of employment and employers, the level of protection needs to be reinforced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the contract until it terminates. The way to get paid for labor and the working hours should to be specified in the contract and those conditions of ‘Day off’ and ‘Annual leave’ also need to be grated. In addition, discrimination based on sex, religion and social status should be prohibited and maternal protection, prevention of sexual harassment, grievance procedures, redemption rights, and safety education and facilities, should to be prepared and installed.
      In terms of collective relation, in order to promote improvement of contract condition in relation to providing labor service, the right to organize should be assured so that they are able to organize or join a group in free. The right to negotiate with business owners or business associations should also be granted. In order to keep the balance of the force of negotiation, corresponding force need to be promised accordingly. Moreover, grievance meditation and arbitration system need to be established and in order to cope with expected collective actions of refusing the provision of labor service when the negotiation broke dow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acknowledge exemption on civil and criminal cases like an action of the labor union and prohibit improper business practices to assure group activity, finally, permit to ask for an aid to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 Ⅱ.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법적지위 4
      • 1. 근로자의 개념 4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 Ⅱ.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법적지위 4
      • 1. 근로자의 개념 4
      • 1.1 헌법상 근로자의 개념 4
      • 1.2 법률상 근로자의 개념 5
      • 1.3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개념 6
      • 2. 근로자성 판단기준 7
      • 2.1근로기준법상 근로자 8
      • 2.2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상 근로자 9
      • 2.3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근로자성 10
      • 3.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실태 및 법적지위 14
      • 3.1 실태 및 직종 14
      • 3.2 주요직종별 특성과 법적지위 18
      • 3.3 노동관계법 적용과 한계 34
      • Ⅲ. 특수형태근로종사자 보호제도의 비교법적 고찰 38
      • 1. 개요 38
      • 2. ILO의 권고안 39
      • 3. 주요국가의 보호제도 41
      • 3.1 유럽 41
      • 3.2 미주 52
      • 3.3 일본 54
      • 4. 외국제도의 시사점 55
      • 4.1 사법적 해석 55
      • 4.2 입법적 개입 56
      • 4.3 사회적 합의 57
      • 4.4 새로운 법적지위 58
      • 4.5 소결 58
      • Ⅳ. 특수형태근로종사자 보호방안의 논의와 평가 61
      • 1. 보호방안 논의현황 61
      • 1.1 노사정위원회 61
      • 1.2 정부 65
      • 1.3 국회 72
      • 2. 기존 논의에 대한 평가 77
      • 2.1 근로자개념의 확대 77
      • 2.2 경제법적 보호 78
      • 2.3 특별법 보호 80
      • 2.4 소결 81
      • Ⅴ.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법적 보호방안 82
      • 1. 법적 보호방안의 기본방향 82
      • 1.1 보호입법의 필요성 82
      • 1.2 법적 보호 방향 84
      • 1.3 노동법상 쟁점 및 과제 86
      • 2. 노동법적 보호를 위한 대안 87
      • 2.1. 개별적 관계의 보호방안 87
      • 2.2. 집단적 관계의 보호방안 91
      • Ⅵ.결론 94
      • 참고문헌 97
      • (Abstract) 1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