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제 7차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1학년 과정의 영어교과서 속에서 사용되는 조동사 will과 would의 빈도와 의미별 분포를 살펴보고 이를 미국교과서와 비교 분석하여 교과서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631349
서울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2012. 2
2012
한국어
822 판사항(22)
서울
Modal Auxiliary Verbs Will/Would in English : A Comparison Between American and Korean Secondary School Textbooks
vi, 72 p. ; 26 cm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종복
참고문헌 : p. 58-5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제 7차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1학년 과정의 영어교과서 속에서 사용되는 조동사 will과 would의 빈도와 의미별 분포를 살펴보고 이를 미국교과서와 비교 분석하여 교과서간...
본 논문의 목적은 제 7차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1학년 과정의 영어교과서 속에서 사용되는 조동사 will과 would의 빈도와 의미별 분포를 살펴보고 이를 미국교과서와 비교 분석하여 교과서간 공통적인 특징이나 차이점을 발견하고, 조동사 will과 would가 한국 영어교과서에서 영어권 국가의 사용경향에 따라 잘 사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의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바탕으로 교과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째, 한국 고등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와 수준이 비슷한 미국교과서를 선택하고 이 교과서 본문에 나타난 모든 will과 would를 spoken text와 written text로 구분하여 의미 기준표에 따라 의미별로 분석하였다. 둘째, 한국 고등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 5종 역시 교과서에 나타난 모든 will과 would를 spoken text와 written text로 구분하여 의미 기준표에 따라 의미별로 분석하였다. 셋째, 미국교과서와 한국 영어교과서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둘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한국 영어교과서에서의 조동사 will은 spoken text에서 미국교과서와 동일하게 중립적 미래, 의도, 의지, 추정의 네 가지 의미로 사용되고 있어서 전체적인 의미 사용 경향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세부적인 측면에서 살펴 볼 때, 미국교과서와는 달리 한국 영어교과서에서는 추정의 의미에 비해 의도의 의미가 지나치게 많이 사용되는 편중된 모습을 보였다.
둘째, will은 written text에서 대부분 중립적 미래와 추정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will은 미국교과서의 written text에서 중립적 미래의 의미가 66.67%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그 뒤를 추정의 의미가 잇고 있었으나, 한국 영어교과서에서는 추정의 의미가 73.65%로 지나치게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미국교과서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의지의 의미가 한국 영어교과서에서는 사용되고 있었다.
셋째, spoken text에서의 would는 미국교과서와 한국 영어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요청의 의미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미국교과서에 비해 한국 교과서에서는 의지의 의미가 지나치게 적게 사용되고 있었고 반대로 가정법의 의미는 지나치게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넷째, written text에서의 would는 미국교과서와 한국 영어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추정의 의미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미국교과서에서는 조동사 would가 중립적 미래, 의도, 의지, 고집, 가정법의 의미, 그리고 I wish 뒤에 사용되는 경우로 다양하게 쓰이고 있었으나, 한국 영어교과서에서는 추정, 요청, 가정법의 의미로만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미국교과서에서는 요청의 의미는 전혀 사용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영어교과서에서는 30% 넘게 사용되고 있으며 가정법 의미도 미국교과서에 비해 지나치게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교과서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한 will과 would의 쓰임을 살펴볼 때, 대부분의 한국 영어교과서에서는 미국교과서의 will과 would의 사용경향을 잘 반영하고 있지 못했다. 이 연구를 통해 드러난 문제점들은 교과서 개선에 대한 중요한 자료로 삼을 수 있을 것이고 교사들이 학생들을 가르치는데 있어서 유익한 자료가 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uses of the two modal auxiliaries, "will" and "would", in the first grade textbooks of Korean High School English and find out if they are properly used in these textbooks by comparing the uses of the modal aux...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uses of the two modal auxiliaries, "will" and "would", in the first grade textbooks of Korean High School English and find out if they are properly used in these textbooks by comparing the uses of the modal auxiliary verbs in Korean English textbooks to the uses of the modal auxiliary verbs in an American textbook.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the two modal auxiliary verbs in an American textbook were classified into the spoken text and the written text and were analysed based on a table that assorts the meanings of "will" and "would". Then, Korean textbooks were analysed along the same lines as the American textbook. Finally,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American textbook and the Korean o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the "will" used in spoken texts of Korean textbooks has the meanings of "neutral futurity", "intention", "willingness", and "predictability" and this well reflects the tendency to use the "will" appeared in spoken text of the American textbook. But the frequencies of
the meaning of "intention" are much higher than in the American textbook.
Second, the "will" shown in written texts of the Korean textbooks and the American textbook is mainly used to express "neutral futurity" and "predictability". However the use of "predictability" in the Korean textbooks is much higher than in the American textbook and the meaning of "willingness" which does not appear in the American textbook is employed in the Korean textbooks.
Third, the "would" represented in spoken texts of the American textbook and the Korean textbooks is chiefly used to signify the meaning of "request". But unlike the American textbook, the Korean textbooks employ much less meaning of "willingness" and much more meaning of "subjunctive".
Fourthly, the "would" appeared in written texts of the American textbook and the Korean textbooks carries the most frequent meaning of "predictability". However the "would" in the Korean textbooks is used in more limited meanings than the American textbook. That is, the former includes only three meanings such as "predictability", "request", and "subjunctive", but the latter employs the following meanings : "neutral futurity", "intention", "willingness", "insistence", "subjunctive", and "after I wish". Also the frequencies of the meanings of "request" and "subjunctive" are much higher than in the American textbook.
In conclusion, most of the Korean high school textbooks analysed does not properly reflect the tendency to use the two modal auxiliaries, "will" and "would", appeared in the American textbook.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in improving Korean English textbooks and be a good data for teachers to teach students the two auxiliary verbs effectivel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