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 가지 다른 중화적정 실험 방법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산,염기 관련 개념의 이해 분석 =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Acid-Base Related Concepts Using Three Different Neutralization Titration Technolog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989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acid-base related concepts using three different titration technologies. The test population was composed of 209 students from three classes in the 10th grade. The different titration experiments using indicator, or pH-meter or MBL were performed in each class unit, respectively. The analyses of the effect on the understanding of different titration technologies were carried out by comparing the mean scores of the concept test taken before and after the titration for the three groups. The results of the acid-base related concept test indicated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were shown by all groups. Comparing the effect on the comprehension of the three groups, the MBL group showe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while the pH-meter group showed the least significant. It was also attempted to analyze the effect on comprehension of the concepts by the cognitive and the motivational levels of student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tudents in the formal operation stage showed higher understanding of the acidbase related concepts, while those in the concrete operation stage showed lower comprehension. It was also shown that the students at the active motivational level scored higher in comprehension than those who had a low sc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at each group showed differently enhanced comprehension of concepts by titration technologies. Therefore, teachers need to promote an appropriate experiment technology for the cognitive and motivational levels of students as well as try to help students express freely their own perspectiv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acid-base related concepts using three different titration technologies. The test population was composed of 209 students from three classes in the 10th grade. The di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acid-base related concepts using three different titration technologies. The test population was composed of 209 students from three classes in the 10th grade. The different titration experiments using indicator, or pH-meter or MBL were performed in each class unit, respectively. The analyses of the effect on the understanding of different titration technologies were carried out by comparing the mean scores of the concept test taken before and after the titration for the three groups. The results of the acid-base related concept test indicated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were shown by all groups. Comparing the effect on the comprehension of the three groups, the MBL group showe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while the pH-meter group showed the least significant. It was also attempted to analyze the effect on comprehension of the concepts by the cognitive and the motivational levels of student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tudents in the formal operation stage showed higher understanding of the acidbase related concepts, while those in the concrete operation stage showed lower comprehension. It was also shown that the students at the active motivational level scored higher in comprehension than those who had a low sc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at each group showed differently enhanced comprehension of concepts by titration technologies. Therefore, teachers need to promote an appropriate experiment technology for the cognitive and motivational levels of students as well as try to help students express freely their own perspectiv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영민, "학습자의 인지수준 및 학습동기 유형에 따른 자유주제 과학탐구의 효과 및 탐구 단계별 상호작용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 30 (30): 533-543, 2010

      2 백성혜, "학습 동기에 따른 학습자의 개념 변화 효과" 19 (19): 91-99, 1999

      3 구양삼, "토론을 강조한 MBL실험수업에서 리더 유형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 특성" 대한화학회 50 (50): 494-505, 2006

      4 박금홍,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MBL실험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331-340, 2008

      5 강순희,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산∙염기 이해 조사" 43 (43): 707-719, 1999

      6 임희준, "이질적으로 구성된 소집단 협동학습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21 (21): 668-676, 2001

      7 박금홍,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의 MBL실험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 27 (27): 59-69, 2007

      8 홍현수, "변인통제에 관한 과학 수업에서 학 생들의 동기 수준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의 분석" 이 화여자대학교 2001

      9 남정희, "변인통제 문제해결 활동에서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2 (22): 110-121, 2002

      10 구혜원, "과학과 수업에 적용한 MBL실험 방 식의 효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3

      1 신영민, "학습자의 인지수준 및 학습동기 유형에 따른 자유주제 과학탐구의 효과 및 탐구 단계별 상호작용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 30 (30): 533-543, 2010

      2 백성혜, "학습 동기에 따른 학습자의 개념 변화 효과" 19 (19): 91-99, 1999

      3 구양삼, "토론을 강조한 MBL실험수업에서 리더 유형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 특성" 대한화학회 50 (50): 494-505, 2006

      4 박금홍,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MBL실험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331-340, 2008

      5 강순희,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산∙염기 이해 조사" 43 (43): 707-719, 1999

      6 임희준, "이질적으로 구성된 소집단 협동학습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21 (21): 668-676, 2001

      7 박금홍,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의 MBL실험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 27 (27): 59-69, 2007

      8 홍현수, "변인통제에 관한 과학 수업에서 학 생들의 동기 수준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의 분석" 이 화여자대학교 2001

      9 남정희, "변인통제 문제해결 활동에서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2 (22): 110-121, 2002

      10 구혜원, "과학과 수업에 적용한 MBL실험 방 식의 효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3

      11 박상용, "과학 실험 수업에서 MBL의 적용이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 및 과학 관련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5 (25): 454-464, 2006

      12 문홍무, "고등학생의 지적 발달 수준 과 화학 내용이 요구하는 조작 수준과의 관계 연구" 14 (14): 116-127, 1987

      13 박종윤, "고등학교 화학 교과서 내용이 요구하는 과학 적 사고력 수준과 학생들의 인지수준 비교연구(제1 보)" 37 (37): 285-296, 1993

      14 권소현, "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지 양식과 인지수준이 화학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 22 (22): 132-140, 2002

      15 Lapp, D. A., "Using data-collection devices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93 : 504-511, 2000

      16 최미화, "Thinking Science’활동이 중학 생의 인지 가속에 미치는 효과 및 인지 수준과 동기 유형에 따른‘Thinking Science’문제 해결 과정 분 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2

      17 Roadrangka, V.,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GALT)" 1983

      18 Linn, M. C., "Teaching thermodynamics to middle school students: What are appropriate cognitive demands" 28 (28): 885-918, 1991

      19 David, W. R, "Role of the microcomputer-based laboratory display in supporting the construction of new understandings in thermal physics" 41 (41): 165-185, 2004

      20 Adey, P., "Really raising standards" Routledge: London and New York 1994

      21 Anderman, E. M, "Motivation and strategy use in science: Individual differences and classroom effects" 31 (31): 811-831, 1994

      22 유은희, "MBL을 활용한 산-염기 적정 실험에서의 학생 간 언어적 상호작용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67-74, 2008

      23 신애경, "MBL 실험 수업의 소집단 활동에 서 나타난 학생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특성" 공주대학 교 대학원 2006

      24 Nakhleh, M. B, "Influence on levels of information as presented by different technologies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acid, base, and pH concepts" 31 (31): 1077-1096, 1994

      25 Settlage, J. Jr, "Children’ s conceptions of light in the context of a technology-based curriculum" 79 (79): 535-553, 1995

      26 Nakhleh, M. B., "A protocol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echnology on students’actions, verbal commentary, and thought processes during the performance of acid base titrations" 30 (30): 1149-1168,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4-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7 1.87 1.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54 2.133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