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 학교생활적응, 학업참여 변인과 과학학습만족 변인 사이의 직·간접 효과를 검증하여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 학교생활적응, 학업참여 변인과 과학학습만족 변인 사이의 직·간접 효과를 검증하여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 학교생활적응, 학업참여 변인과 과학학습만족 변인 사이의 직·간접 효과를 검증하여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광역시에 소재한 S 초등학교의 4~6학년 학생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고 변인 간의 인과 관계를 살펴보았다.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 학교생활적응, 학업참여는 과학학습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의 교육지원활동은 학교생활적응, 학업참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은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참여를 매개로 과학학습만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초등학생의 과학학습만족 함양을 위해서는 부모의 교육지원활동과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참여를 고려한 종합적 관점에서 학생들을 교육할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arental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engagement variabl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satisfaction with science learning and 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arental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engagement variabl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satisfaction with science learning and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o this end, 230 students in grades 4-6 at S Elementary School in a metropolitan city were surveyed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al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school life adjustment, and academic engagement had a direct effect on science learning satisfaction, and parental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had a direct effect 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academic engagement. In addition, parental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had an indirect effect on science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school life adjustment and academic engag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hat considers parental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engagement in order to foster science learning satisfaction.
엑셀 매크로를 이용한 고교학점제 과목 선택 연습 프로그램 개발 및 진로교육 적용 방안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이주배경 구성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연구동향 분석
예비유아교사의 그릿과 메타인지가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