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고등학교 신입생과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진로설계 및 고교학점제 이해를 돕기 위해 ‘고교학점제 과목선택 연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프로그램은 ‘학교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324980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81-294(1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고등학교 신입생과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진로설계 및 고교학점제 이해를 돕기 위해 ‘고교학점제 과목선택 연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프로그램은 ‘학교지...
이 연구는 고등학교 신입생과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진로설계 및 고교학점제 이해를 돕기 위해 ‘고교학점제 과목선택 연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프로그램은 ‘학교지정과목설정’, ‘학생선택과목설정’, ‘학생선택시트’로 구성되며, 엑셀의 데이터 유효성 검사와 매크로 기능을 활용하여 과목 개설 및 지정이 쉽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중학교 3학년을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기술‧가정’ 교과, ‘진로와 직업’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등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시‧도교육청의 지침에 맞춰 수정하여 사용하고, 후속 연구를 통해 진로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학생들의 진로성숙도 및 고등학교 진학결정 요인의 변화를 분석하면 연구의 타당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High School Credit System Course Selection Practice Program" to assist high school freshmen and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career planning and understand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program c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High School Credit System Course Selection Practice Program" to assist high school freshmen and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career planning and understand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program consists of "School Designated Course Settings," "Student Selected Course Settings," and "Student Selection Sheets," and is designed using Excel's data validation and macro functions to facilitate course offering and designation. Additionally, a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for use in subjects such a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areers and Occupations,"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It is recommended to modify this program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local education offices, and subsequent research analyzing changes in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high school admission decision factors after applying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is expected to further enhance the validity of the study.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이주배경 구성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연구동향 분석
예비유아교사의 그릿과 메타인지가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이 학교생활적응, 학업참여, 과학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