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에서 한문 고전을 활용한 전통적 가치관 교육의 실행 방안 - 서사 텍스트의 활용과 역량 함양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716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6년 초・중등학교에서 한자교육을 선택적으로 받도록 한 국어기본법의 위헌 확인 헌법소원이 각하되었고, 2018년 교육부는 ‘교과용 도서 개발을 위한 편수자료’를 공지하면서 이전 정부에서 추지하였던 초등학교 교과서의 한자 병기 정책을 사실상 폐지하였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에서는 정규 교과의 학습 시간에 한자교육을 명시적으로 수행하기 어렵게 되었으며, 한자 교육은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실정으로 본고에서는 각 교과의 교육과정을 수행하면서 잠재적 교육과정으로 한문 고전을 활용한 한자 수업에서 전통적 가치관 교육의 실행 방안을 논의하였다.
      학습자에게 전통적 가치관을 교육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 스스로 전통적 가치가 담겨있는 여러 고전들을 읽고 그 의미를 탐색하여 스스로 성찰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선인들의 전통적 가치관 을 추출할 수 있는 자료들은 대부분 한문으로 기록되어 있고 초등학교 학습자들은 한문으로 기록된 자료들을 읽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전통적 가치가 담긴 고전을 번역하여 우리말로 풀이한 서사 텍스트를 활용하여 교육하는 방법을 논의하였다.
      본고에서 전통적 가치가 담긴 서사 텍스트로 활용한 자료는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이다. 우리의 선조들이 동몽들의 덕성교육용 교재로 사용했던 ≪명심보감≫, ≪동몽선습≫, ≪격몽요결≫ 등과 같은 자료들이 사람의 본성이나 오륜의 도리, 처세의 원칙 등 유교의 전통 가치를 잘 담고 있어서 전통적 가치관의 교육 자료로 더 적절할 수 있겠으나 현재의 초등학교 교실 수업 현장을 고려할 때 위의 교재를 활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초등학교 학습자들이 서사 구조를 지닌 이야기를 들을 때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참여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전통적 가치관을 담을 수 있는 서사 텍스트로서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일화 들을 선정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은 홍익인간의 교육이념과 인격도야,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 함양, 인간다운 삶의 영위, 민주국가의 발전과 인류공영의 이상 실현이라는 교육 목적을 이루기 위해 4가지 인간상을 제시하였다. 4가지 인간상은 자주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교양 있는 사람, 더불어 사는 사람이다. 또한 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을 실현하기 위해 교과 교육을 포함한 학교 교육 전 과정을 통해 중점적으로 기르고자 하는 6가지 역량을 제시하였다. 곧 자기관리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이다. 본고는 이러한 역량을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전통적 가치관 교육을 6가 지 역량의 신장과 관련지어 논의하였다. 다만 지식정보처리 역량은 중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을 참고로 하여 인성역량으로 바꿔서 검토하였다.
      본고에서 논의 한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서사 텍스트는 하나의 예시 자료이며 각 교과의 학습목표나 학습제재에 따라 다른 서사 텍스트로 대치할 수 있다. 또한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서사 자료에 국한하지 않고 초등학교 학습자들이 흥미 있게 학습에 몰입할 수 있는 다양한 한문 고전 자료의 활용도 가능할 것이다. 여기에서의 논의가 촉매가 되어 초등학교 수업 현장에서 한문 고전을 활용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도출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2016년 초・중등학교에서 한자교육을 선택적으로 받도록 한 국어기본법의 위헌 확인 헌법소원이 각하되었고, 2018년 교육부는 ‘교과용 도서 개발을 위한 편수자료’를 공지하면서 이전 정부...

      2016년 초・중등학교에서 한자교육을 선택적으로 받도록 한 국어기본법의 위헌 확인 헌법소원이 각하되었고, 2018년 교육부는 ‘교과용 도서 개발을 위한 편수자료’를 공지하면서 이전 정부에서 추지하였던 초등학교 교과서의 한자 병기 정책을 사실상 폐지하였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에서는 정규 교과의 학습 시간에 한자교육을 명시적으로 수행하기 어렵게 되었으며, 한자 교육은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실정으로 본고에서는 각 교과의 교육과정을 수행하면서 잠재적 교육과정으로 한문 고전을 활용한 한자 수업에서 전통적 가치관 교육의 실행 방안을 논의하였다.
      학습자에게 전통적 가치관을 교육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 스스로 전통적 가치가 담겨있는 여러 고전들을 읽고 그 의미를 탐색하여 스스로 성찰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선인들의 전통적 가치관 을 추출할 수 있는 자료들은 대부분 한문으로 기록되어 있고 초등학교 학습자들은 한문으로 기록된 자료들을 읽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전통적 가치가 담긴 고전을 번역하여 우리말로 풀이한 서사 텍스트를 활용하여 교육하는 방법을 논의하였다.
      본고에서 전통적 가치가 담긴 서사 텍스트로 활용한 자료는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이다. 우리의 선조들이 동몽들의 덕성교육용 교재로 사용했던 ≪명심보감≫, ≪동몽선습≫, ≪격몽요결≫ 등과 같은 자료들이 사람의 본성이나 오륜의 도리, 처세의 원칙 등 유교의 전통 가치를 잘 담고 있어서 전통적 가치관의 교육 자료로 더 적절할 수 있겠으나 현재의 초등학교 교실 수업 현장을 고려할 때 위의 교재를 활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초등학교 학습자들이 서사 구조를 지닌 이야기를 들을 때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참여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전통적 가치관을 담을 수 있는 서사 텍스트로서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일화 들을 선정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은 홍익인간의 교육이념과 인격도야,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 함양, 인간다운 삶의 영위, 민주국가의 발전과 인류공영의 이상 실현이라는 교육 목적을 이루기 위해 4가지 인간상을 제시하였다. 4가지 인간상은 자주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교양 있는 사람, 더불어 사는 사람이다. 또한 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을 실현하기 위해 교과 교육을 포함한 학교 교육 전 과정을 통해 중점적으로 기르고자 하는 6가지 역량을 제시하였다. 곧 자기관리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이다. 본고는 이러한 역량을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전통적 가치관 교육을 6가 지 역량의 신장과 관련지어 논의하였다. 다만 지식정보처리 역량은 중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을 참고로 하여 인성역량으로 바꿔서 검토하였다.
      본고에서 논의 한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서사 텍스트는 하나의 예시 자료이며 각 교과의 학습목표나 학습제재에 따라 다른 서사 텍스트로 대치할 수 있다. 또한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서사 자료에 국한하지 않고 초등학교 학습자들이 흥미 있게 학습에 몰입할 수 있는 다양한 한문 고전 자료의 활용도 가능할 것이다. 여기에서의 논의가 촉매가 되어 초등학교 수업 현장에서 한문 고전을 활용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도출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nstitutional Court overruled the petition that the Framework Act on Korean Language's selective education of Chinese letters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2016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distributed the notice on 'editing materials for textbooks' in 2018 to abolish the previous administration's policies to add Chinese letters to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herefore, elementary schools cannot teach Chinese letters as a part of regular curriculums and students can learn Chinese letters during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discussed the education of Chinese letters and traditional value using the Korean classics written in Chinese letters as a potential part of the curriculums.
      In order to teach the traditional value, learners should be motivated to read the classical text containing traditional value and explore the meanings for spontaneous examination. However, the resources that teach the Korean ancestors' traditional value are mostly written in Chinese letters and many elementary school learners cannot read the text written in Chinese letters.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d a way to teach using the epic text that translated the classics reflecting traditional values.
      The resources using the epic text reflecting traditional values include ≪Samgukyusa三 國遺事≫ and ≪Samguksagi三國史記≫. The resources such as ≪Myeongshimbogam明心寶 鑑≫, ≪Dongmongseonseup童蒙先習≫, and ≪Gyeongmongyogyeol擊蒙要訣≫ which the Korean ancestors used to nurture the pupils may be more suitable for teaching the traditional value as they contain the traditional Confucian values about human nature, the five virtues, and the principles of interpersonal skills, but they are not suitable considering the current circumstances of elementary school class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elementary school learners participate in class when they listen to epic stories and selected some anecdotes from ≪Samgukyusa≫ and ≪Samguksagi≫ as the epic text that reflects traditional value.
      The 2015 Elementary/Middle School Curriculums suggested four figures to achieve the educational objectives related to humanitarianism and disciplining, qualities of democratic citizens, humane lives, democratic development and prosperity of mankind. The four figures are spontaneous people, creative people, people with common sense, and social people. Also, the 2015 Elementary/Middle School Curriculums suggested six capacities to nurture through the entire school curriculums to realize the qualities pursued by the educational curriculums. Those qualities are self-control, knowledge informationprocessing, creative thinking, aesthetic emotions, communication, and communities. This study discussed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value in relation to the six capacities based on the belief that it is important to nurture the capacities. However, knowledge information-processing was discussed as human nature with reference to middle school Chinese Letters classes and curriculums.
      The epic text of ≪Samgukyusa≫ and ≪Samguksagi≫ is an example and can be replaced with other epic texts considering each subject's learning objectives and topics. Also, it would be possible to use various classics written in Chinese letters besides the epic resources of ≪Samgukyusa≫ and ≪Samguksagi≫ for the elementary school learners to stay interested in learning. It is hoped that this discussion triggers the study of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the Korean classics written in Chinese letters at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번역하기

      The Constitutional Court overruled the petition that the Framework Act on Korean Language's selective education of Chinese letters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2016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distributed the notice on 'editing materials for ...

      The Constitutional Court overruled the petition that the Framework Act on Korean Language's selective education of Chinese letters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2016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distributed the notice on 'editing materials for textbooks' in 2018 to abolish the previous administration's policies to add Chinese letters to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herefore, elementary schools cannot teach Chinese letters as a part of regular curriculums and students can learn Chinese letters during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discussed the education of Chinese letters and traditional value using the Korean classics written in Chinese letters as a potential part of the curriculums.
      In order to teach the traditional value, learners should be motivated to read the classical text containing traditional value and explore the meanings for spontaneous examination. However, the resources that teach the Korean ancestors' traditional value are mostly written in Chinese letters and many elementary school learners cannot read the text written in Chinese letters.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d a way to teach using the epic text that translated the classics reflecting traditional values.
      The resources using the epic text reflecting traditional values include ≪Samgukyusa三 國遺事≫ and ≪Samguksagi三國史記≫. The resources such as ≪Myeongshimbogam明心寶 鑑≫, ≪Dongmongseonseup童蒙先習≫, and ≪Gyeongmongyogyeol擊蒙要訣≫ which the Korean ancestors used to nurture the pupils may be more suitable for teaching the traditional value as they contain the traditional Confucian values about human nature, the five virtues, and the principles of interpersonal skills, but they are not suitable considering the current circumstances of elementary school class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elementary school learners participate in class when they listen to epic stories and selected some anecdotes from ≪Samgukyusa≫ and ≪Samguksagi≫ as the epic text that reflects traditional value.
      The 2015 Elementary/Middle School Curriculums suggested four figures to achieve the educational objectives related to humanitarianism and disciplining, qualities of democratic citizens, humane lives, democratic development and prosperity of mankind. The four figures are spontaneous people, creative people, people with common sense, and social people. Also, the 2015 Elementary/Middle School Curriculums suggested six capacities to nurture through the entire school curriculums to realize the qualities pursued by the educational curriculums. Those qualities are self-control, knowledge informationprocessing, creative thinking, aesthetic emotions, communication, and communities. This study discussed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value in relation to the six capacities based on the belief that it is important to nurture the capacities. However, knowledge information-processing was discussed as human nature with reference to middle school Chinese Letters classes and curriculums.
      The epic text of ≪Samgukyusa≫ and ≪Samguksagi≫ is an example and can be replaced with other epic texts considering each subject's learning objectives and topics. Also, it would be possible to use various classics written in Chinese letters besides the epic resources of ≪Samgukyusa≫ and ≪Samguksagi≫ for the elementary school learners to stay interested in learning. It is hoped that this discussion triggers the study of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the Korean classics written in Chinese letters at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 론
      • Ⅱ. 전통적 가치관의 준거 및 활용 대상
      • Ⅲ. 서사 텍스트를 활용한 전통적 가치관 교육의 실행 방안
      • Ⅳ. 결 론
      • 국문초록
      • Ⅰ. 서 론
      • Ⅱ. 전통적 가치관의 준거 및 활용 대상
      • Ⅲ. 서사 텍스트를 활용한 전통적 가치관 교육의 실행 방안
      • Ⅳ. 결 론
      • 參考文獻 Reference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聖田, "栗谷 인성론의 연구" 圓光大學校 大學院 1994

      2 "한문과 교육과정"

      3 류수영, "한국인의 유교적 가치측정문항개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15 (15): 171-205, 2007

      4 차재호, "한국대학생들의 중요한 가치" 6 (6): 1992

      5 "총론"

      6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7 김종운, "조선조 몽학 교재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1

      8 한명숙, "이야기문학교육론" 도서출판 박이정 2007

      9 이승영, "율곡 『격몽요결』에 나타난 교육론 연구 : 인성교육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0 심경섭, "유교가치관 척도 타당화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1 李聖田, "栗谷 인성론의 연구" 圓光大學校 大學院 1994

      2 "한문과 교육과정"

      3 류수영, "한국인의 유교적 가치측정문항개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15 (15): 171-205, 2007

      4 차재호, "한국대학생들의 중요한 가치" 6 (6): 1992

      5 "총론"

      6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7 김종운, "조선조 몽학 교재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1

      8 한명숙, "이야기문학교육론" 도서출판 박이정 2007

      9 이승영, "율곡 『격몽요결』에 나타난 교육론 연구 : 인성교육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0 심경섭, "유교가치관 척도 타당화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11 고운기,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삼국유사" 현암사 2005

      12 "연합뉴스(2018.1.10.)"

      13 최연아, "역량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이해와 실천사례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14 "사회과 교육과정"

      15 "도덕과 교육과정"

      16 "국어과 교육과정"

      17 "교육부 보도자료(2016.12.30.)"

      18 "경향신문(2015.9.9.)"

      19 한정숙, "『격몽요결』에 나타난 인성교육론 연구"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2005

      20 교육부, "≪바른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생활 교사용 지도서≫ – 초등학교 1학년" 2018

      21 교육부, "≪도덕 교사용 지도서≫ – 초등학교 3학년, 5학년" 5학년 2015

      22 교육부, "≪도덕 교사용 지도서≫ – 초등학교 3학년" 2018

      23 교육부, "≪국어 교사용 지도서≫ – 초등학교 5학년, 6학년" 2015

      24 교육부, "≪국어 교사용 지도서≫ – 초등학교 3학년" 2018

      25 교육부, "2015 개정교육과정 총론 해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8-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 The Korea Association For Han-character and classical writte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 0.53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