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파도 앞에 선 중고령자: 중고령자 집단 내 디지털 격차에 관한 질적연구 = Standing in front of the digital wave: A qualitative study on the digital divide with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grou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22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within-group digital divide occurs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For this, the statements of twenty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ged 55 and above about their daily use of digital device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based on Creswell’s data analysis spiral. Applying the systematic process for coding data,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following’ group that diligently follows the changes for coexistence with the younger generation, the ‘lagging’ group that was reluctant to follow these changes due to the lack of meaning or necessity of using digital technology, and the ‘pushed’ group that had no choice but to be pushed by social currents to survive. The semantic units derived from each group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micro-environment, awareness of the macro-environment, attitudes toward digital technology acceptance, and digital technology acceptance behaviors, through the categorization proces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meaning of various sub-themes of each group, this study presented detailed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each grou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mpirically exploring the reality of digital technology acceptance experienced in daily life through the voice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the middle of ‘the digital wave’. Also,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more effective and customized intervention plans to minimize social exclusion and inequality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living in the digital ag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within-group digital divide occurs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For this, the statements of twenty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ged 55 and above about their daily use of digital devices were qu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within-group digital divide occurs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For this, the statements of twenty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ged 55 and above about their daily use of digital device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based on Creswell’s data analysis spiral. Applying the systematic process for coding data,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following’ group that diligently follows the changes for coexistence with the younger generation, the ‘lagging’ group that was reluctant to follow these changes due to the lack of meaning or necessity of using digital technology, and the ‘pushed’ group that had no choice but to be pushed by social currents to survive. The semantic units derived from each group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micro-environment, awareness of the macro-environment, attitudes toward digital technology acceptance, and digital technology acceptance behaviors, through the categorization proces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meaning of various sub-themes of each group, this study presented detailed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each grou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mpirically exploring the reality of digital technology acceptance experienced in daily life through the voice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the middle of ‘the digital wave’. Also,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more effective and customized intervention plans to minimize social exclusion and inequality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living in the digital a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고령자 집단 내 디지털 격차가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발생하는지를 탐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만 55세 이상의중고령자 20명의 일상생활 속 디지털 기기 활용에 관한 진술을 Creswell의 나선형 자료분석 절차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따라감’, ‘뒤떨어짐’, ‘떠밀림’이라는 세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먼저 ‘따라감’ 집단은 젊은 세대와의 공존을 위해 변화에부지런히 따라가는 집단이었으며, ‘뒤떨어짐’ 집단은 디지털 기술 활용의 의미나 필요성의 결여로 인해 이러한 변화에 따라가기를꺼리는 집단이었다. 마지막으로 ‘떠밀림’ 집단은 생존을 위해 사회적 흐름에 떠밀려 갈 수밖에 없다는 집단이었다. 각각의 집단 내에서도출된 의미 단위들은 범주화 과정을 거쳐 미시환경과 거시환경에 관한 인식, 디지털 기술 수용 태도와 행동을 중심으로 분류되었으며, 다양한 하위 주제들이 각각의 집단에 어떠한 의미로 작용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토대로 집단별 세분화된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고자하였다. 본 연구는 오늘날 디지털 격변의 가속화를 경험하고 있는 중고령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디지털 기술수용의 실제를 경험적으로 탐색함과 더불어 디지털 사회 내 중고령자의 사회적 배제와 불평등의 최소화를 위한 보다 효과적인 맞춤형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고령자 집단 내 디지털 격차가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발생하는지를 탐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만 55세 이상의중고령자 20명의 일상생활 속 디지털 기기 활용에 관한 진술을 Cres...

      본 연구는 중고령자 집단 내 디지털 격차가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발생하는지를 탐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만 55세 이상의중고령자 20명의 일상생활 속 디지털 기기 활용에 관한 진술을 Creswell의 나선형 자료분석 절차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따라감’, ‘뒤떨어짐’, ‘떠밀림’이라는 세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먼저 ‘따라감’ 집단은 젊은 세대와의 공존을 위해 변화에부지런히 따라가는 집단이었으며, ‘뒤떨어짐’ 집단은 디지털 기술 활용의 의미나 필요성의 결여로 인해 이러한 변화에 따라가기를꺼리는 집단이었다. 마지막으로 ‘떠밀림’ 집단은 생존을 위해 사회적 흐름에 떠밀려 갈 수밖에 없다는 집단이었다. 각각의 집단 내에서도출된 의미 단위들은 범주화 과정을 거쳐 미시환경과 거시환경에 관한 인식, 디지털 기술 수용 태도와 행동을 중심으로 분류되었으며, 다양한 하위 주제들이 각각의 집단에 어떠한 의미로 작용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토대로 집단별 세분화된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고자하였다. 본 연구는 오늘날 디지털 격변의 가속화를 경험하고 있는 중고령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디지털 기술수용의 실제를 경험적으로 탐색함과 더불어 디지털 사회 내 중고령자의 사회적 배제와 불평등의 최소화를 위한 보다 효과적인 맞춤형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진상기, "한국 정보격차의 시계열 변화 분석:정보격차지수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6 (16): 147-174, 2013

      2 김소영 ; 정진택, "코로나이후 정보취약계층의 디지털인식변화에 관한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9 (19): 531-539, 2021

      3 이동성 ; 김영천, "질적 자료 분석을 위한 포괄적 분석절차 탐구: 실용적 절충주의를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원 12 (12): 159-184, 2014

      4 김문조 ; 김종길, "정보격차(Digital Divide)의 이론적·정책적 재고" 한국사회학회 36 (36): 123-155, 2002

      5 민영, "인터넷 이용과 정보격차: 접근, 활용, 참여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48 (48): 150-187, 2011

      6 성욱준, "스마트시대의 정보리터러시와 정보격차에 관한 연구" 서울행정학회 25 (25): 53-75, 2014

      7 김경희 ; 김광재 ; 이숙정, "모바일 환경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 요소와 세대 간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 한국방송학회 33 (33): 5-36, 2019

      8 황용석 ; 박남수 ; 이현주 ; 이원태,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격차 연구 : 세대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6 (56): 198-225, 2012

      9 안정임 ; 서윤경,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의 세부요인 분석- 세대와 경제수준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69-78, 2014

      10 안정임, "디지털 격차와 디지털 리터러시수용자 복지 정책적 함의" 한국언론정보학회 36 : 78-108, 2006

      1 진상기, "한국 정보격차의 시계열 변화 분석:정보격차지수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6 (16): 147-174, 2013

      2 김소영 ; 정진택, "코로나이후 정보취약계층의 디지털인식변화에 관한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9 (19): 531-539, 2021

      3 이동성 ; 김영천, "질적 자료 분석을 위한 포괄적 분석절차 탐구: 실용적 절충주의를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원 12 (12): 159-184, 2014

      4 김문조 ; 김종길, "정보격차(Digital Divide)의 이론적·정책적 재고" 한국사회학회 36 (36): 123-155, 2002

      5 민영, "인터넷 이용과 정보격차: 접근, 활용, 참여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48 (48): 150-187, 2011

      6 성욱준, "스마트시대의 정보리터러시와 정보격차에 관한 연구" 서울행정학회 25 (25): 53-75, 2014

      7 김경희 ; 김광재 ; 이숙정, "모바일 환경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 요소와 세대 간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 한국방송학회 33 (33): 5-36, 2019

      8 황용석 ; 박남수 ; 이현주 ; 이원태,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격차 연구 : 세대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6 (56): 198-225, 2012

      9 안정임 ; 서윤경,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의 세부요인 분석- 세대와 경제수준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69-78, 2014

      10 안정임, "디지털 격차와 디지털 리터러시수용자 복지 정책적 함의" 한국언론정보학회 36 : 78-108, 2006

      11 황현정 ; 황용석, "노인집단내 정보격차와 그에 따른 삶의 만족도 연구: 가구구성형태 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24 (24): 359-386, 2017

      12 장영은, "노인의 특성이 정보격차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4 (24): 209-215, 2019

      13 최형임 ; 송인욱, "노인의 디지털 정보활용능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246-255, 2020

      14 주경희, "노년층의 정보격차에 대한 성별에 따른 차이분석과 예측변인 탐색" 443-463, 2018

      15 백기훈 ; 봉진숙 ; 신용태, "노년층의 스마트 정보격차 요인 및 해소방안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정보과학회 42 (42): 1207-1221, 2015

      16 박소영 ; 김지원, "노년층 세대 내 디지털 정보격차 분석: 2010-2018 한국 미디어 패널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21 (21): 2407-2418, 2019

      17 황남희, "노년기 정보 활용 현황 및 디지털 소회 해소 방안 모색"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18 신혜림 ; 주수산나, "고학력 결혼적령기 커플들의 연애와 결혼에 대한 의미 및 젠더 정체성" 한국가족관계학회 21 (21): 77-98, 2016

      19 OECD, "Understanding the Digital Divide"

      20 Dewan, S, "The digital divide : Current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6 (6): 298-337, 2005

      21 Volkom, M. V, "Revisiting the digital divide : Generational differences in technology use in everyday life" 16 (16): 557-574, 2014

      22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Sage 2007

      23 OECD, "Measur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A Roadmap for the Future"

      24 Fang, M. L, "Exploring privilege in the digital divide : Implications for theory, policy, and practice" 59 (59): 1-15, 2019

      25 Visser, M, "Digital literacy and public policy through the library lens" 22 (22): 104-113, 2013

      26 Van Dijk, J. A, "Digital divide research, achievements and shortcomings" 34 (34): 221-235, 2006

      27 Etikan, I, "Comparision of snowball sampling and sequential sampling technique" 3 (3): 55-, 2016

      28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0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