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진상기, "한국 정보격차의 시계열 변화 분석:정보격차지수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6 (16): 147-174, 2013
2 김소영 ; 정진택, "코로나이후 정보취약계층의 디지털인식변화에 관한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9 (19): 531-539, 2021
3 이동성 ; 김영천, "질적 자료 분석을 위한 포괄적 분석절차 탐구: 실용적 절충주의를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원 12 (12): 159-184, 2014
4 김문조 ; 김종길, "정보격차(Digital Divide)의 이론적·정책적 재고" 한국사회학회 36 (36): 123-155, 2002
5 민영, "인터넷 이용과 정보격차: 접근, 활용, 참여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48 (48): 150-187, 2011
6 성욱준, "스마트시대의 정보리터러시와 정보격차에 관한 연구" 서울행정학회 25 (25): 53-75, 2014
7 김경희 ; 김광재 ; 이숙정, "모바일 환경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 요소와 세대 간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 한국방송학회 33 (33): 5-36, 2019
8 황용석 ; 박남수 ; 이현주 ; 이원태,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격차 연구 : 세대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6 (56): 198-225, 2012
9 안정임 ; 서윤경,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의 세부요인 분석- 세대와 경제수준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69-78, 2014
10 안정임, "디지털 격차와 디지털 리터러시수용자 복지 정책적 함의" 한국언론정보학회 36 : 78-108, 2006
1 진상기, "한국 정보격차의 시계열 변화 분석:정보격차지수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6 (16): 147-174, 2013
2 김소영 ; 정진택, "코로나이후 정보취약계층의 디지털인식변화에 관한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9 (19): 531-539, 2021
3 이동성 ; 김영천, "질적 자료 분석을 위한 포괄적 분석절차 탐구: 실용적 절충주의를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원 12 (12): 159-184, 2014
4 김문조 ; 김종길, "정보격차(Digital Divide)의 이론적·정책적 재고" 한국사회학회 36 (36): 123-155, 2002
5 민영, "인터넷 이용과 정보격차: 접근, 활용, 참여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48 (48): 150-187, 2011
6 성욱준, "스마트시대의 정보리터러시와 정보격차에 관한 연구" 서울행정학회 25 (25): 53-75, 2014
7 김경희 ; 김광재 ; 이숙정, "모바일 환경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 요소와 세대 간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 한국방송학회 33 (33): 5-36, 2019
8 황용석 ; 박남수 ; 이현주 ; 이원태,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격차 연구 : 세대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6 (56): 198-225, 2012
9 안정임 ; 서윤경,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의 세부요인 분석- 세대와 경제수준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69-78, 2014
10 안정임, "디지털 격차와 디지털 리터러시수용자 복지 정책적 함의" 한국언론정보학회 36 : 78-108, 2006
11 황현정 ; 황용석, "노인집단내 정보격차와 그에 따른 삶의 만족도 연구: 가구구성형태 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24 (24): 359-386, 2017
12 장영은, "노인의 특성이 정보격차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4 (24): 209-215, 2019
13 최형임 ; 송인욱, "노인의 디지털 정보활용능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246-255, 2020
14 주경희, "노년층의 정보격차에 대한 성별에 따른 차이분석과 예측변인 탐색" 443-463, 2018
15 백기훈 ; 봉진숙 ; 신용태, "노년층의 스마트 정보격차 요인 및 해소방안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정보과학회 42 (42): 1207-1221, 2015
16 박소영 ; 김지원, "노년층 세대 내 디지털 정보격차 분석: 2010-2018 한국 미디어 패널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21 (21): 2407-2418, 2019
17 황남희, "노년기 정보 활용 현황 및 디지털 소회 해소 방안 모색"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18 신혜림 ; 주수산나, "고학력 결혼적령기 커플들의 연애와 결혼에 대한 의미 및 젠더 정체성" 한국가족관계학회 21 (21): 77-98, 2016
19 OECD, "Understanding the Digital Divide"
20 Dewan, S, "The digital divide : Current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6 (6): 298-337, 2005
21 Volkom, M. V, "Revisiting the digital divide : Generational differences in technology use in everyday life" 16 (16): 557-574, 2014
22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Sage 2007
23 OECD, "Measur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A Roadmap for the Future"
24 Fang, M. L, "Exploring privilege in the digital divide : Implications for theory, policy, and practice" 59 (59): 1-15, 2019
25 Visser, M, "Digital literacy and public policy through the library lens" 22 (22): 104-113, 2013
26 Van Dijk, J. A, "Digital divide research, achievements and shortcomings" 34 (34): 221-235, 2006
27 Etikan, I, "Comparision of snowball sampling and sequential sampling technique" 3 (3): 55-, 2016
28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0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