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에 따른 광역시도별 야간 인공조명 강도의 시공간 변화 = The Spatio-temporal Change of Nighttime Lights Intensity in Provinces, South Korea, during COVID-19 Pandemic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304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VID-19 has recently entered into global pandemic era, which impacted on the shrinkage of world economy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 movement limit and local-level lockdown. The province-level distinction of nighttime light (NTL) change, assoc...

      The COVID-19 has recently entered into global pandemic era, which impacted on the shrinkage of world economy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 movement limit and local-level lockdown. The province-level distinction of nighttime light (NTL) change, associated with COVID-19 pandemic, was reported by previous research for China and Indi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atio-temporal patterns of NTL change for provinces of South Korea. To do so, it utilized Day/Night Band (DNB) March images of 2019, 2020 and 2021, which were collected by 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 (VIIRS) sensor onboard Suomi National Polar-orbiting Partnership (SNPP) satellite. The considerable dimming of NTL was observed in Seoul Metropolitan City,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whose cumulative COVID-19 confirmed cases were higher than the others. Province-level NTL changes between pre-pandemic and pandemic periods of this communicable disease were also confirmed by Wilcoxon signed rank test. It would be required to perform time-series statistical analysis, incorporating other the other variables potentially related to NTL change, in future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는 전 세계적 대유행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국가 간 이동제한 및 지역봉쇄에 따라 세계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과 인도를 대상...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는 전 세계적 대유행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국가 간 이동제한 및 지역봉쇄에 따라 세계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과 인도를 대상으로 수행된 선행연구는 야간 인공위성 영상자료를 통해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인공조명 세기 변화의 지역별 차이가 발생함을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는 2019년, 2020년, 2021년 3월 SNPP VIIRS DNB 영상자료를 활용하여 코로나-19의 전국적 확산과 맞물린 야간 인공조명의 광역시도별 시공간 변화 패턴을 고찰하였다. 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많이 발생한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와 경기도를 포함한 수도권 지역에서 다른 지역보다 큰 폭의 야간 조도 감소가 나타났다. 통계분석 결과에 따르면 두 시기 간 광역시도별 빛합계지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야간 조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변인을 포함한 시계열 모형 기반 분석의 수행 필요성이 제기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청, "통계지리정보서비스 – 코로나19 발생 현황"

      2 김민호, "토지피복도와 야간 인공위성 영상을 활용한 남한 광역시도 인구 추정" 국토지리학회 54 (54): 243-254, 2020

      3 국가통계포털, "국내총생산 및 경제성장률 (GDP)" 통계청

      4 Cucinotta, D., "WHO declares COVID-19 a pandemic" 91 (91): 157-160, 2020

      5 NOAA(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 (VIIRS)Imagery Environmental Data Record (EDR) user’s guide (Version 1.1)"

      6 Elvidge, C. D., "VIIRS night-time lights" 38 : 5860-5879, 2017

      7 Wang, Z., "VIIRS day/night band radiometric calibration stability using the Moon" 122 : 5616-5624, 2017

      8 김민호, "VIIRS DNB 야간영상자료 복사 휘도의 시공간적 특성: 남한지역을 사례로" 국토지리학회 54 (54): 1-12, 2020

      9 Wu, Y., "The outbreak of COVID-19 : An overview" 83 (83): 217-220, 2020

      10 Ghoshi, T., "The dimming of lights in Indi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12 : 3289-, 2020

      1 통계청, "통계지리정보서비스 – 코로나19 발생 현황"

      2 김민호, "토지피복도와 야간 인공위성 영상을 활용한 남한 광역시도 인구 추정" 국토지리학회 54 (54): 243-254, 2020

      3 국가통계포털, "국내총생산 및 경제성장률 (GDP)" 통계청

      4 Cucinotta, D., "WHO declares COVID-19 a pandemic" 91 (91): 157-160, 2020

      5 NOAA(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 (VIIRS)Imagery Environmental Data Record (EDR) user’s guide (Version 1.1)"

      6 Elvidge, C. D., "VIIRS night-time lights" 38 : 5860-5879, 2017

      7 Wang, Z., "VIIRS day/night band radiometric calibration stability using the Moon" 122 : 5616-5624, 2017

      8 김민호, "VIIRS DNB 야간영상자료 복사 휘도의 시공간적 특성: 남한지역을 사례로" 국토지리학회 54 (54): 1-12, 2020

      9 Wu, Y., "The outbreak of COVID-19 : An overview" 83 (83): 217-220, 2020

      10 Ghoshi, T., "The dimming of lights in Indi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12 : 3289-, 2020

      11 Elvidge, C. D., "The dimming of lights in Chin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12 : 2851-, 2020

      12 Liu, Q., "Spatiotemporal patterns of COVID-19 impact on human activities and environment in mainland China using nighttime light and air quality data" 12 (12): 2020

      13 Lan, T., "Quantifying spatiotemporal changes in human activities induced by COVID-19 pandemic using daily nighttime light data" 14 : 2740-2753, 2021

      14 EOG (Earth Observation Group), "Nighttime light, Pyane Institute for Public Policy" Colorado Scool of Mines

      15 Beyer, R. C. M., "Examining the economic impact of COVID-19 in India through daily electricity consumption and nighttime light intensity" 140-, 2021

      16 Shi, K., "Evaluating the ability of NPP-VIIRS nighttime light to estimate the gross domestic product and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China at multiple scales : A comparison with DMSP/OLS data" 6 : 1705-1724, 2014

      17 Ciotti, M., "COVID-19outbreak : An overview" 64 : 215-223, 2019

      18 Chakraborty, I., "COVID-19 outbreak : migration, effects on society, global environment and prevention" 728-, 2020

      19 Levin, N., "A global analysis of factors controlling VIIRS nighttime light levels from densely populated area" 190 : 366-382, 2017

      20 제주특별자치도, "3월 제주입도 관광객 통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리학연구 -> 국토지리학회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리교육학회 -> 국토지리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2 1.5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