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통근소요시간과 우울감 간의 관련성 : 근로환경조사자료(2011-2017)를 이용하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323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ting time and depressive symptom in Koreans. The 3rd, 4th and 5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was used to analyze workers who regularly commute from their residence to work. Workers working less than 3 days of weekly work were exclud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ting time and depressive symptom.
      Among a total of 108,309 workers (53,926 men, 54,383 women), 1.35% of men and 2.14% of women had depressive symptom. After correcting for socio-statistic factors such as workplace size, weekly working hours, shift work, work-life balance, job satisfaction, education level, and income, depressive symptom was analyzed by commuting time. As a result, the group with 30-45 minutes commuting time for both men and women has the lowest risk of experiencing depressive symptom. In the case of the group of less than 30 minutes, the shorter the commuting time, the more depressed. This is presumed to be due to the lack of separation between the residential and working areas of the self-employed group. On the other hand, the group with more than 45 minutes did not show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feeling of depressive symptom even if the commute time increased.
      This study found that commuting time was directly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problems,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self-employed and waged workers had different effects on depressive symptom. In particular, it is emphasized that workers' commuting time should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variabl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it can have a close influence over a wide area of life such as the daily life of commuters.
      번역하기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ting time and depressive symptom in Koreans. The 3rd, 4th and 5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was used to analyze workers who regularly commute from their residence to work. Wor...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ting time and depressive symptom in Koreans. The 3rd, 4th and 5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was used to analyze workers who regularly commute from their residence to work. Workers working less than 3 days of weekly work were exclud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ting time and depressive symptom.
      Among a total of 108,309 workers (53,926 men, 54,383 women), 1.35% of men and 2.14% of women had depressive symptom. After correcting for socio-statistic factors such as workplace size, weekly working hours, shift work, work-life balance, job satisfaction, education level, and income, depressive symptom was analyzed by commuting time. As a result, the group with 30-45 minutes commuting time for both men and women has the lowest risk of experiencing depressive symptom. In the case of the group of less than 30 minutes, the shorter the commuting time, the more depressed. This is presumed to be due to the lack of separation between the residential and working areas of the self-employed group. On the other hand, the group with more than 45 minutes did not show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feeling of depressive symptom even if the commute time increased.
      This study found that commuting time was directly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problems,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self-employed and waged workers had different effects on depressive symptom. In particular, it is emphasized that workers' commuting time should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variabl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it can have a close influence over a wide area of life such as the daily life of commut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통근 시간과 우울감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했다. 제3,4,5차 한국인 근로환경조사자료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를 이용하여 주거지에서 근무지로 통근이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했고 주간 근무 3일 미만 일하는 근로자는 제외하였다. 통근 시간과 우울감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총 108,309명의 근로자(남자 53,926, 여자 54,383) 중 남성의 1.35%와 여성의 경우 2.14%에서 우울감을 확인하였다. 사업장 규모, 주당 근로시간, 교대근무 여부, 일과 삶의 균형, 직업만족도, 교육수준, 소득과 같은 사회 통계학적 요인을 보정한 후 통근시간 대별로 우울감을 분석해본 결과 남녀 모두 30~45분의 통근 시간을 가지는 집단이 우울감을 경험할 위험도가 가장 낮았다. 30분 미만 집단의 경우 통근시간이 짧을수록 우울감이 점점 높아졌고, 이는 자영업자 집단의 주거지와 근무지간 분리 부족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45분 이상 집단의 경우 30-45분 통근시간을 가지는 집단 대비 우울감이 높았으나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주진 않았다.
      연구 결과, 통근 시간은 정신 건강 장애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었고, 자영업자와 임금근로자간 다른 형태로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특히 근로자의 통근 시간은 통근자의 일상생활 등 삶의 넓은 영역에 걸쳐 밀접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중요한 변수로 인식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통근 시간과 우울감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했다. 제3,4,5차 한국인 근로환경조사자료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를 이용하여 주거지에서 근무지로 통근이 정...

      이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통근 시간과 우울감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했다. 제3,4,5차 한국인 근로환경조사자료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를 이용하여 주거지에서 근무지로 통근이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했고 주간 근무 3일 미만 일하는 근로자는 제외하였다. 통근 시간과 우울감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총 108,309명의 근로자(남자 53,926, 여자 54,383) 중 남성의 1.35%와 여성의 경우 2.14%에서 우울감을 확인하였다. 사업장 규모, 주당 근로시간, 교대근무 여부, 일과 삶의 균형, 직업만족도, 교육수준, 소득과 같은 사회 통계학적 요인을 보정한 후 통근시간 대별로 우울감을 분석해본 결과 남녀 모두 30~45분의 통근 시간을 가지는 집단이 우울감을 경험할 위험도가 가장 낮았다. 30분 미만 집단의 경우 통근시간이 짧을수록 우울감이 점점 높아졌고, 이는 자영업자 집단의 주거지와 근무지간 분리 부족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45분 이상 집단의 경우 30-45분 통근시간을 가지는 집단 대비 우울감이 높았으나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주진 않았다.
      연구 결과, 통근 시간은 정신 건강 장애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었고, 자영업자와 임금근로자간 다른 형태로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특히 근로자의 통근 시간은 통근자의 일상생활 등 삶의 넓은 영역에 걸쳐 밀접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중요한 변수로 인식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