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유학 교육과정의 변천과 그 특징 = 朝鮮時代儒學課程的變遷及其特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033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크게 전기, 중기, 후기의 세 시기로 나누어 조선시대 유학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과 그 특징에 대하여 논의였다. 논문에서 고찰한 바에 따르면, 조선 전기에는『소학』과『가...

      본 논문에서는 크게 전기, 중기, 후기의 세 시기로 나누어 조선시대 유학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과 그 특징에 대하여 논의였다. 논문에서 고찰한 바에 따르면, 조선 전기에는『소학』과『가례』를 필수 학습 교재로 삼고, 《사서오경》을 핵심으로하는 교재 체계를 정립하는 등 신유학적 교육과정의 큰 틀이 마련되었지만 본격적인 성리학 교육과정의 수준까지는 나아가지못하였다. 조선 중기에 이르면, 성리학 관련 서적의 도입과 간행·보급, 성리학 연구의 활성화와 이해의 심화 등에 힘입어 본격적인 성리학 교육과정 단계로 진입한다. 이 시기에 『근사록』, 『심경』, 『이정전서』, 『주자대전』등의 성리서들이공식적으로 유학 교재 체계에 편입되었다. 이와 함께 조선 중기 유학 교육과정은 신유학의 일종인 양명학을 이단으로 배제으로써 ``배타적인 주자학 정통주의``라는 성격도 갖게 되었다. 조선 후기의 유학 교육과정은 기본적으로 조선 중기의 연선상에 있었지만, 이황의 『성학십도』와 『주자서절요』, 이이의 『성학집요』와 『격몽요결』, 송시열의 『절작통편』등이른바 자찬 성리서나 강학 교재들이 정식으로 유학 교육과정에 편입되는 주목할 만한 특징이 발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論文主要從朝鮮前期、中期以及后期三慨時期來論述儒學課程的變遷過程及其特征。据考察顯示,在朝鮮前期,《小學》和《家禮》成爲必備的基礎學習敎材,進而確立了以《四書五經》...

      本論文主要從朝鮮前期、中期以及后期三慨時期來論述儒學課程的變遷過程及其特征。据考察顯示,在朝鮮前期,《小學》和《家禮》成爲必備的基礎學習敎材,進而確立了以《四書五經》爲核心的新儒學敎材?系。雖然這成爲新儒學課程的大綱模式,但還沒達到眞正的性理學課程的水準。到朝鮮中期,隨着蕭于性理學方面書籍的出版和普及,以及對于性理學的理解深入,從而儒學課程正式進入性理學課程的階段。在這慨時期,《近思錄》、《心經》、《二程全書》以及《朱子大全》等性理書正式納入儒學敎材?系中。與此同時,在儒學課程中,排除陽明學或陸王心學,朝鮮中期儒學課程具有排他性朱子學中心主學的特征。朝鮮后期的儒學課程基本上是延續朝鮮中期的性理學課程。同時, 李滉的《聖學十圖》和《朱子書節要》,李珥的《聖學緝要》和《擊蒙要訣》以及宋時烈的《節酌通編》等一些朝鮮學者自撰的性理書及講學敎材,正式成爲這慨時代儒學課程的重要部分之一。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栗谷全書"

      2 김대식, "화서(華西) 문인공동체(門人共同體) 강회(講會)의 실제" 교육사학회 21 (21): 39-64, 2011

      3 황위주, "한국본 중국시선집의 편찬에 대한 연구" 동아인문학회 3 : 317-337, 2003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김경용, "조선중기 과거제도 정비과정과 그 교육적 의의" 교육사학회 20 (20): 1-26, 2010

      6 장정호, "조선시대의 아동교육론, In 한국유학사상대 Ⅴ-교육사상편" 한국국학진흥원 611-694, 2006

      7 박종배, "조선시대의 學令 및 學規" 한국교육사학회 28 (28): 213-237, 2006

      8 김학주, "조선시대 간행 중국 문학 관계서 개황"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25 : 3-28, 1987

      9 정지연, "조선 초기 문과 강경과목 연구" 교육사학회 20 (20): 83-109, 2010

      10 오항녕, "조선 초기 경연의 자치통감강목 강의" 한국사상사학회 9 : 115-149, 1997

      1 "栗谷全書"

      2 김대식, "화서(華西) 문인공동체(門人共同體) 강회(講會)의 실제" 교육사학회 21 (21): 39-64, 2011

      3 황위주, "한국본 중국시선집의 편찬에 대한 연구" 동아인문학회 3 : 317-337, 2003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김경용, "조선중기 과거제도 정비과정과 그 교육적 의의" 교육사학회 20 (20): 1-26, 2010

      6 장정호, "조선시대의 아동교육론, In 한국유학사상대 Ⅴ-교육사상편" 한국국학진흥원 611-694, 2006

      7 박종배, "조선시대의 學令 및 學規" 한국교육사학회 28 (28): 213-237, 2006

      8 김학주, "조선시대 간행 중국 문학 관계서 개황"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25 : 3-28, 1987

      9 정지연, "조선 초기 문과 강경과목 연구" 교육사학회 20 (20): 83-109, 2010

      10 오항녕, "조선 초기 경연의 자치통감강목 강의" 한국사상사학회 9 : 115-149, 1997

      11 박종배, "조선 전기 사림파의 교육사상과 실천, In 한국유학사상대계Ⅴ-교육사상편" 한국국학진흥원 279-352, 2006

      12 김건곤, "장서각본 고문백선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8 : 31-54, 2002

      13 박연호, "와타나베의 한국교육사" 문음사 2010

      14 윤국일, "역주 경국대전" 여강출판사 2000

      15 송석준, "양명학의 전래와 연구, In 한국사31-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국사편찬위원회 294-302, 1998

      16 황금중, "성리학에서의 소학․대학 교육과정론-주자․퇴계․율곡의 견해를 중심으로" 한국사상문화학회 17 : 353-391, 2002

      17 오항녕, "성리학 역사서의 형성과 구조" 한국실학학회 1-28, 2003

      18 "국역 증보문헌비고"

      19 강찬수, "국내 ≪古文眞寶≫의 연구 개황과 문제점 ― 刊行ㆍ受容ㆍ傳播와 그 硏究를 중심으로" 중국어문연구회 (39) : 333-359, 2008

      20 "雪月堂集"

      21 오종일, "陽明 傳習錄 傳來考"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5 : 67-86, 1978

      22 "退溪集"

      23 "華西集"

      24 김대식, "華西學派의 門人敎育 硏究" 서울대학교 2007

      25 이봉규, "涵養論과 교육과정으로 본 조선성리학의 개성" 퇴계학연구원 (128) : 89-128, 2010

      26 "歸鹿集"

      27 "屛溪集"

      28 "小山集"

      29 박종배, "學規에 나타난 조선시대 서원교육의 이념과 실제" 한국학연구소 33 : 43-73, 2010

      30 "南溪續集"

      31 강순애, "初鑄甲寅字本 『近思錄』과 관련 板本 硏究" 서지학회 24 : 161-190, 2002

      32 장동우, "『주자가례』의 수용과 보급 과정 ― 동전東傳 판본版本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국학진흥원 (16) : 183-206, 2010

      33 고정의, "『近思錄』의 구결 연구" 구결학회 (14) : 5-50, 2005

      34 강찬수, "≪古文眞寶≫의 編纂과 그 流轉 樣相" 한국중문학회 (33) : 125-144, 2006

      35 박종배, "4서(四書) 중심 유학(儒學) 교육과정의 성립과 그 의의" 한국교육사학회 27 (27): 23-50,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 of educ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Of History Of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istory of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57 1.215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