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문재숙 작곡 국악찬양곡의 원곡과 편곡 분석연구 : <주님 기뻐하실 때>, <두려워 말라>, <에루화둥둥 할렐루야>, <추수감사절 노래>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97563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음악학부 , 2016. 2. 졸업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00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Analysis of the original song and the Arranged one of Gukak Hymns composed by Moon Jaesuk

      • 형태사항

        viii, 116 p.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문재숙
        참고문헌: p.59-61

      • 소장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885년 공식적인 선교사에 의해 서양식찬송가가 유입된 이래로 영어찬송가의 번역과정에서 원곡의 정확한 의미전달의 어려움과 서양식 음악구조와 한국식 음악구조가 달라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찬송가의 필요성이 나타나게 되었다.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국악적인 찬양의 필요성과 토착화를 위해 많은 학자와 음악가들이 관심을 가지고 시도해왔고, 그 결과 현재는 일부 교회 내에서 국악찬양단이 설립되고 선교를 위한 개인과 여러 단체가 창단되었다. 개인과 여러 단체가 활동하면서 국악찬양곡의 장르 또한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1990년대에 작곡된 가야금병창곡 4곡을 분석하여 전통적인 요소와 찬양의 접목방법에 대해 정리한 뒤 편곡을 통하여 가창방식과 악기편성의 변화를 주어 교회음악의 특성에 맞추면서 전통음악의 색이 짙어진 4곡의 편곡방법을 파악하고자 한다.
      각 곡에서 나타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원곡 <주님 기뻐하실 때>, <두려워 말라>, <에루화둥둥 할렐루야>, <추수감사절 노래>는 가야금병창곡으로 주로 전통음계인 5음음계를 사용하여 민요느낌으로 작곡되었다. 편성악기는 가야금과 장구를 사용하여 전통적인 색채를 드러냈으며 찬양에 관련된 가사를 주제로 작사하여 민요느낌의 찬양곡으로 접목하였다. 편곡된 곡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주님 기뻐하실 때>는 4성부체제로 편곡하였으며 가창방식은 합창 또는 제창으로 전개되었다. 합창 시 원곡의 선율을 소프라노파트에 두고 주로 주요 3화음을 사용하여 안정적인 느낌을 주었으며 제창 시 원곡의 선율이 드러나 원곡을 부각하였다. 편성악기는 대금, 피리, 해금, 대아쟁, 거문고, 12현가야금, 장구를 편성하였다. 악기의 선율은 합창과 대개의 음을 중복 연주하여 소리를 풍성하게 하는 역할을 하였고 국악기의 음색을 통하여 전통음악의 느낌을 드러냈다.
      <두려워 말라>는 독창과 4성부체제로 편곡하였다. 가창방식은 독창, 합창, 독창과 합창의 교창, 전 성부의 합창으로 전개되었다. 독창 시 원곡의 선율을 인용하였고 합창 시 4성부 중 한 파트에 원곡의 선율을 두고 주로 주요 3화음을 사용하여 원곡을 부각하며 안정적인 느낌으로 전개되었고 교창 시 독창선율이 4성부합창으로 울려 펴지는 에코의 효과를 주었다. 편성악기는 대금, 피리, 해금, 대아쟁, 거문고, 12현가야금을 편성했으며 신디사이저를 혼합 편성하였다. 악기의 선율은 합창과 대개의 음을 중복 연주하여 소리를 풍성하게 하는 역할을 하였고 독창 시 12현 가야금만 반주하여 원곡인 가야금병창곡의 특징을 부각하였다. 신디사이저는 국악기보다 넓은 음역대를 반주하며 합창과 조화를 이루었다.
      <에루화둥둥 할렐루야>는 4성부체제로 편곡하였다. 가창방식은 제창, 교창, 합창으로 전개되었다. 제창 시 원곡의 선율을 인용하였고 합창 시 유니즌형태와 어울림음정의 화음을 반진행구조로 전개하여 밝고 씩씩한 분위기를 주었다. 또한 E♭조에서 A♭조를 통하여 상승된 음악적 분위기를 나타냈다. 악곡구조는 ?-?-?’의 3악장형식으로 나누어졌고 ?, ?’부분은 새롭게 추가된 선율로 원곡의 선율이 인용된 ?부분을 돋보이게 하였다. 합창의 음계는 5음음계 솔선법을 사용하여 전통음악의 색채를 드러냈다. 편성악기는 피아노를 편성하여 합창이 전개될 때 피아노의 왼손성부는 장구의 궁편, 오른손성부는 채편에 해당하는 역할을 하여 장구장단의 리듬형태로 연주하였고 전주나 연결구부분에서는 5음음계를 상징적으로 배열하고 아르페지오주법으로 연주하여 전통음악의 색채가 짙어졌다.
      <추수감사절 노래>는 4성부체제로 편곡하였다. 가창방식은 독창, 교창, 합창의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독창과 제창 시 원곡의 선율을 인용하였고 합창 시 성부간의 간격을 어울림음정의 화음을 사용하였으며 성부간의 유니즌 진행, 반진행 등의 방법으로 전개되었다. 악곡구조는 ?-?’-?의 3악장형식으로 나누어져 다양한 음악적분위기를 나타냈다. ?’부분에서 E♭에서 G♭으로 전조하여 상승된 음악적 분위기를 나타내었고 ?부분에서 굿거리에서 휘모리로 변박하여 또 다른 음악적 분위기를 나타냈다. 합창의 음계는 5음음계 솔선법을 사용하여 전통음악의 색채를 드러냈다. 또한 편성악기는 피아노와 25현 가야금1·2, 장구를 편성하여 국악기와 양악기를 혼합 편성하였다. 25현 가야금1과 피아노는 합창선율을 화성적으로 연주하여 풍성하게 전개하였고 25현 가야금2는 민요 반주하듯 합창선율에 장식음을 추가하고 농현, 추성등의 시김새를 사용하여 전통적인 느낌을 나타내었다.
      각곡에서 나타난 편곡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김희조가 편곡한 <주님 기뻐하실 때>, <두려워 말라>의 4성부체제는 원곡의 선율을 토대로 주로 주요 3화음을 사용하였고 국악기를 편성하여 편곡하였다.
      안현정이 편곡한 <에루화둥둥 할렐루야>, <추수감사절 노래>의 4성부체제는 성부간의 유니즌형태, 반진행구조 등의 선율적인 변화를 주로 사용하였고 피아노편성에 전통적인 요소를 접목하여 편곡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곡 <주님 기뻐하실 때>, <두려워 말라>, <에루화둥둥 할렐루야>, <추수감사절 노래>는 민요느낌의 가야금병창 찬양곡으로 작곡되었다. 편곡된 4곡은 공통적으로 합창방식과 악기편성에 변화를 주어 편곡하였다. 합창은 4성부의 서양합창체제를 사용하여 교회 내 성가대의 실질적인 참여도를 높이고 교회음악의 특성에 맞게 편곡하였다. 반주악기는 신디사이저 또는 피아노를 편성하여 합창과 조화를 이루었고 국악기의 편성이 더해져서 악기의 음색과 시김새를 통하여 전통적인 색채가 짙어졌다.
      본 작품과 같이 전통적인 요소에 기반을 두고 교회에서 연주 될 수 있는 국악찬양곡이 많이 발표되기를 바라며, 본 논문을 읽는 연주자와 국악찬양곡을 편·작곡하려는 이들의 이해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번역하기

      1885년 공식적인 선교사에 의해 서양식찬송가가 유입된 이래로 영어찬송가의 번역과정에서 원곡의 정확한 의미전달의 어려움과 서양식 음악구조와 한국식 음악구조가 달라 한국인의 정서에...

      1885년 공식적인 선교사에 의해 서양식찬송가가 유입된 이래로 영어찬송가의 번역과정에서 원곡의 정확한 의미전달의 어려움과 서양식 음악구조와 한국식 음악구조가 달라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찬송가의 필요성이 나타나게 되었다.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국악적인 찬양의 필요성과 토착화를 위해 많은 학자와 음악가들이 관심을 가지고 시도해왔고, 그 결과 현재는 일부 교회 내에서 국악찬양단이 설립되고 선교를 위한 개인과 여러 단체가 창단되었다. 개인과 여러 단체가 활동하면서 국악찬양곡의 장르 또한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1990년대에 작곡된 가야금병창곡 4곡을 분석하여 전통적인 요소와 찬양의 접목방법에 대해 정리한 뒤 편곡을 통하여 가창방식과 악기편성의 변화를 주어 교회음악의 특성에 맞추면서 전통음악의 색이 짙어진 4곡의 편곡방법을 파악하고자 한다.
      각 곡에서 나타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원곡 <주님 기뻐하실 때>, <두려워 말라>, <에루화둥둥 할렐루야>, <추수감사절 노래>는 가야금병창곡으로 주로 전통음계인 5음음계를 사용하여 민요느낌으로 작곡되었다. 편성악기는 가야금과 장구를 사용하여 전통적인 색채를 드러냈으며 찬양에 관련된 가사를 주제로 작사하여 민요느낌의 찬양곡으로 접목하였다. 편곡된 곡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주님 기뻐하실 때>는 4성부체제로 편곡하였으며 가창방식은 합창 또는 제창으로 전개되었다. 합창 시 원곡의 선율을 소프라노파트에 두고 주로 주요 3화음을 사용하여 안정적인 느낌을 주었으며 제창 시 원곡의 선율이 드러나 원곡을 부각하였다. 편성악기는 대금, 피리, 해금, 대아쟁, 거문고, 12현가야금, 장구를 편성하였다. 악기의 선율은 합창과 대개의 음을 중복 연주하여 소리를 풍성하게 하는 역할을 하였고 국악기의 음색을 통하여 전통음악의 느낌을 드러냈다.
      <두려워 말라>는 독창과 4성부체제로 편곡하였다. 가창방식은 독창, 합창, 독창과 합창의 교창, 전 성부의 합창으로 전개되었다. 독창 시 원곡의 선율을 인용하였고 합창 시 4성부 중 한 파트에 원곡의 선율을 두고 주로 주요 3화음을 사용하여 원곡을 부각하며 안정적인 느낌으로 전개되었고 교창 시 독창선율이 4성부합창으로 울려 펴지는 에코의 효과를 주었다. 편성악기는 대금, 피리, 해금, 대아쟁, 거문고, 12현가야금을 편성했으며 신디사이저를 혼합 편성하였다. 악기의 선율은 합창과 대개의 음을 중복 연주하여 소리를 풍성하게 하는 역할을 하였고 독창 시 12현 가야금만 반주하여 원곡인 가야금병창곡의 특징을 부각하였다. 신디사이저는 국악기보다 넓은 음역대를 반주하며 합창과 조화를 이루었다.
      <에루화둥둥 할렐루야>는 4성부체제로 편곡하였다. 가창방식은 제창, 교창, 합창으로 전개되었다. 제창 시 원곡의 선율을 인용하였고 합창 시 유니즌형태와 어울림음정의 화음을 반진행구조로 전개하여 밝고 씩씩한 분위기를 주었다. 또한 E♭조에서 A♭조를 통하여 상승된 음악적 분위기를 나타냈다. 악곡구조는 ?-?-?’의 3악장형식으로 나누어졌고 ?, ?’부분은 새롭게 추가된 선율로 원곡의 선율이 인용된 ?부분을 돋보이게 하였다. 합창의 음계는 5음음계 솔선법을 사용하여 전통음악의 색채를 드러냈다. 편성악기는 피아노를 편성하여 합창이 전개될 때 피아노의 왼손성부는 장구의 궁편, 오른손성부는 채편에 해당하는 역할을 하여 장구장단의 리듬형태로 연주하였고 전주나 연결구부분에서는 5음음계를 상징적으로 배열하고 아르페지오주법으로 연주하여 전통음악의 색채가 짙어졌다.
      <추수감사절 노래>는 4성부체제로 편곡하였다. 가창방식은 독창, 교창, 합창의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독창과 제창 시 원곡의 선율을 인용하였고 합창 시 성부간의 간격을 어울림음정의 화음을 사용하였으며 성부간의 유니즌 진행, 반진행 등의 방법으로 전개되었다. 악곡구조는 ?-?’-?의 3악장형식으로 나누어져 다양한 음악적분위기를 나타냈다. ?’부분에서 E♭에서 G♭으로 전조하여 상승된 음악적 분위기를 나타내었고 ?부분에서 굿거리에서 휘모리로 변박하여 또 다른 음악적 분위기를 나타냈다. 합창의 음계는 5음음계 솔선법을 사용하여 전통음악의 색채를 드러냈다. 또한 편성악기는 피아노와 25현 가야금1·2, 장구를 편성하여 국악기와 양악기를 혼합 편성하였다. 25현 가야금1과 피아노는 합창선율을 화성적으로 연주하여 풍성하게 전개하였고 25현 가야금2는 민요 반주하듯 합창선율에 장식음을 추가하고 농현, 추성등의 시김새를 사용하여 전통적인 느낌을 나타내었다.
      각곡에서 나타난 편곡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김희조가 편곡한 <주님 기뻐하실 때>, <두려워 말라>의 4성부체제는 원곡의 선율을 토대로 주로 주요 3화음을 사용하였고 국악기를 편성하여 편곡하였다.
      안현정이 편곡한 <에루화둥둥 할렐루야>, <추수감사절 노래>의 4성부체제는 성부간의 유니즌형태, 반진행구조 등의 선율적인 변화를 주로 사용하였고 피아노편성에 전통적인 요소를 접목하여 편곡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곡 <주님 기뻐하실 때>, <두려워 말라>, <에루화둥둥 할렐루야>, <추수감사절 노래>는 민요느낌의 가야금병창 찬양곡으로 작곡되었다. 편곡된 4곡은 공통적으로 합창방식과 악기편성에 변화를 주어 편곡하였다. 합창은 4성부의 서양합창체제를 사용하여 교회 내 성가대의 실질적인 참여도를 높이고 교회음악의 특성에 맞게 편곡하였다. 반주악기는 신디사이저 또는 피아노를 편성하여 합창과 조화를 이루었고 국악기의 편성이 더해져서 악기의 음색과 시김새를 통하여 전통적인 색채가 짙어졌다.
      본 작품과 같이 전통적인 요소에 기반을 두고 교회에서 연주 될 수 있는 국악찬양곡이 많이 발표되기를 바라며, 본 논문을 읽는 연주자와 국악찬양곡을 편·작곡하려는 이들의 이해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hymns in Western style were introduced by official missionaries in1885, there has emerged the difficulty to deliver correct meanings of original song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English hymns and the necessity of hymns which match Korean emotions due to the difference of musical structure between Western style and Korean one.
      For the sake of the necessity and indigenization of Gukak hymns matching Korean emotions, many scholars and musicians have made attempts with great interests. As a result, Gukak church choirs were founded in some churches at the present moment, and various organizations for missionary as well as individuals were established. Since their activities, genres of Gukak hymns took a new turn of diversification.
      Consequently,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4 kinds of Gayageum Byeongchanggok composed in the 1980’s, conclude integrating method of traditional elements and hymns, and investigate the arrangement methods of 4 hymns with deep timbre of traditional music by changing performing method and instrument organization through arrangement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church music.
      The characteristics of each hymn are as follows.
      Since the original 4 hymns of <Joy to the Lord>, <Don’t be Afraid>, <Aeruhwa DoongDoong Hallelujah>, and <Thanksgiving Song> are Gayageum Byeongchanggok, traditional pentatonic scale is mainly used to give folk feeling. As Gayageum and Janggu are used for instrument organization, traditional timbre is revealed. As the lyrics were composed with the theme related with praise, folk feeling was integrated with the hymns. The characteristics of arranged hymns are as follows.
      The choral way of <Joy to the Lord> was arranged as 4-part chorus and the performing style is chorus or singing in unison. In case of chorus, stability is provided by depending original melodies on soprano part and using fundamental chords. In case of singing in unison, the emergence of original melodies highlights original songs. Musical instruments is organized as a chamber orchestra scale with Daegeum, Piri, Haegeum, Daeahjaeng, Geomungo, 12-string Gayageum, and Janggu. As for melodies of accompaniment, chorus and most sounds repetitively played perform a role to enrich the sounds and expose the feeling of traditional music through the timbre of Gukak musical instruments.
      Choral way of <Don’t be Afraid> was arranged as solo and 4-part chorus. The performing style is in ways of solo, chorus, solo-chorus rotation, and chorus in unison of all parts. In case of solo, melodies of the original songs are quoted. In case of chorus, stability is provided by putting the original melodies on one of 4 parts and highlighting the original songs through common use of fundamental chords. In case of solo-chorus rotation, melodies of solo give the effect of echo resonating to 4-part chorus. Musical instruments is organized as a chamber orchestra scale with Daegeum, Piri, Haegeum, Daeahjaeng, Geomungo, and 12-string Gayageum and synthesizer is added. As for melodies of accompaniment, chorus and most sounds repetitively played perform a role to enrich the sounds. In case of solo, accompaniment of the only 12-string Gayageum highligh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song of Gayageum Byeongchanggok. Synthesizer with wider register than Gukak musical instruments is accompanied to form harmony with chorus.
      The choral way of <Aeruhwa DoongDoong Hallelujah> way is arranged as 4-part chorus. The performing style is in ways of chorus in unison of all parts, solo-chorus rotation, and chorus. In case of chorus in unison of all parts, melodies of the original song are quoted. In case of chorus, intervals among 4 parts of using consonant interval harmony give a bright and ebullient mood. In addition, the key of A♭at the key of E♭ shows an uprising musical mood. Musical structure of this song can be divided into 3 movements of ?-?-?’. The part of ?, ?’ as a newly added melody highlights the part of ? quoted from melodies of the original song. Pentachord initiative method is used for scale of chorus. To expose the timbre of traditional music, Instrumental accompaniment is arranged with a piano. In case of chorus, as the left hand part of piano is for Gungpyeon of Janggu and the right hand part is for the beating side, rhythm patterns of Janggu beat are performed. The pentachord is symbolically arranged for prelude or connection part and arpeggio is performed to reveal the timber of traditional music.
      The choral way of <Thanksgiving Song> way is arranged as 4-part chorus. The performing style is in ways of solo, solo-chorus rotation, and chorus. In case of solo and chorus in unison of all parts, melodies of the original song are quoted. In case of chorus, intervals among 4 parts are used for consonant interval harmony. They are arranged in ways of progress, semi-progress, and scale sequence of unison among 4 parts. Musical structure of This song can be divided into 3 movements of ?-?-?’ with various musical moods revealed. In addition, as G♭ in E♭at the part of ?’ is preluded, an uprising musical mood is revealed. At the part of ?, Gutgury rhythm is changed into Whimori to expose another musical mood. Pentachord initiative method is used for scale of chorus. To expose the timbre of traditional music. Musical instruments are organized with a piano, 25-string Gayageum 1·2, and Janggu with Gukak instruments and Western ones mixed. 25-string Gayageum 1 and the piano are harmonically played for abundant choral melodies. 25-string Gayageum 2 is played to add agrements to choral melodies just like accompanying folk songs and reveal traditional feelings by using Sigimsae, such as vibrato, chuseong, etc.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ranges shown from each hymn are as follows.
      Based on the melody of the original song, 4-part chorus of <Joy to the Lord>, <Don’t be Afraid> composed by Kim Huijo mainly used primary chords and Gukak instruments were arranged. 4-part chorus of <Aeruhwa DoongDoong Hallelujah>, and <Thanksgiving Song> composed by Ah Hyungjeong mainly used the change of melodies, such as unison type among parts and anti-progress structure, and traditional elements were integrated with the piano arrangement.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bove, original 4 songs of <Joy to the Lord>, <Don’t be Afraid>, <Aeruhwa DoongDoong Hallelujah>, and <Thanksgiving Song> are folk feeling was integrated with the Gayageum Byeongchang hymns. Arranged 4 song are arranged in common by changing choral ways and musical instrument organization. As for chorus, Western choral system of 4 parts is used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church choir and involve characteristics of church music. Instrument accompanying with a synthesizer and a piano is arranged for harmony with chorus. Additional organization of Gukak instruments increases traditional color through the timbre of the instruments and Sigimsae.
      It is expected that more Gukak hymns like those above will be composed by integrating church music based on traditional elements and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players, composers, and arrangers of Gukak hymns to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f those songs.
      번역하기

      Since hymns in Western style were introduced by official missionaries in1885, there has emerged the difficulty to deliver correct meanings of original song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English hymns and the necessity of hymns which match Korean emot...

      Since hymns in Western style were introduced by official missionaries in1885, there has emerged the difficulty to deliver correct meanings of original song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English hymns and the necessity of hymns which match Korean emotions due to the difference of musical structure between Western style and Korean one.
      For the sake of the necessity and indigenization of Gukak hymns matching Korean emotions, many scholars and musicians have made attempts with great interests. As a result, Gukak church choirs were founded in some churches at the present moment, and various organizations for missionary as well as individuals were established. Since their activities, genres of Gukak hymns took a new turn of diversification.
      Consequently,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4 kinds of Gayageum Byeongchanggok composed in the 1980’s, conclude integrating method of traditional elements and hymns, and investigate the arrangement methods of 4 hymns with deep timbre of traditional music by changing performing method and instrument organization through arrangement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church music.
      The characteristics of each hymn are as follows.
      Since the original 4 hymns of <Joy to the Lord>, <Don’t be Afraid>, <Aeruhwa DoongDoong Hallelujah>, and <Thanksgiving Song> are Gayageum Byeongchanggok, traditional pentatonic scale is mainly used to give folk feeling. As Gayageum and Janggu are used for instrument organization, traditional timbre is revealed. As the lyrics were composed with the theme related with praise, folk feeling was integrated with the hymns. The characteristics of arranged hymns are as follows.
      The choral way of <Joy to the Lord> was arranged as 4-part chorus and the performing style is chorus or singing in unison. In case of chorus, stability is provided by depending original melodies on soprano part and using fundamental chords. In case of singing in unison, the emergence of original melodies highlights original songs. Musical instruments is organized as a chamber orchestra scale with Daegeum, Piri, Haegeum, Daeahjaeng, Geomungo, 12-string Gayageum, and Janggu. As for melodies of accompaniment, chorus and most sounds repetitively played perform a role to enrich the sounds and expose the feeling of traditional music through the timbre of Gukak musical instruments.
      Choral way of <Don’t be Afraid> was arranged as solo and 4-part chorus. The performing style is in ways of solo, chorus, solo-chorus rotation, and chorus in unison of all parts. In case of solo, melodies of the original songs are quoted. In case of chorus, stability is provided by putting the original melodies on one of 4 parts and highlighting the original songs through common use of fundamental chords. In case of solo-chorus rotation, melodies of solo give the effect of echo resonating to 4-part chorus. Musical instruments is organized as a chamber orchestra scale with Daegeum, Piri, Haegeum, Daeahjaeng, Geomungo, and 12-string Gayageum and synthesizer is added. As for melodies of accompaniment, chorus and most sounds repetitively played perform a role to enrich the sounds. In case of solo, accompaniment of the only 12-string Gayageum highligh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song of Gayageum Byeongchanggok. Synthesizer with wider register than Gukak musical instruments is accompanied to form harmony with chorus.
      The choral way of <Aeruhwa DoongDoong Hallelujah> way is arranged as 4-part chorus. The performing style is in ways of chorus in unison of all parts, solo-chorus rotation, and chorus. In case of chorus in unison of all parts, melodies of the original song are quoted. In case of chorus, intervals among 4 parts of using consonant interval harmony give a bright and ebullient mood. In addition, the key of A♭at the key of E♭ shows an uprising musical mood. Musical structure of this song can be divided into 3 movements of ?-?-?’. The part of ?, ?’ as a newly added melody highlights the part of ? quoted from melodies of the original song. Pentachord initiative method is used for scale of chorus. To expose the timbre of traditional music, Instrumental accompaniment is arranged with a piano. In case of chorus, as the left hand part of piano is for Gungpyeon of Janggu and the right hand part is for the beating side, rhythm patterns of Janggu beat are performed. The pentachord is symbolically arranged for prelude or connection part and arpeggio is performed to reveal the timber of traditional music.
      The choral way of <Thanksgiving Song> way is arranged as 4-part chorus. The performing style is in ways of solo, solo-chorus rotation, and chorus. In case of solo and chorus in unison of all parts, melodies of the original song are quoted. In case of chorus, intervals among 4 parts are used for consonant interval harmony. They are arranged in ways of progress, semi-progress, and scale sequence of unison among 4 parts. Musical structure of This song can be divided into 3 movements of ?-?-?’ with various musical moods revealed. In addition, as G♭ in E♭at the part of ?’ is preluded, an uprising musical mood is revealed. At the part of ?, Gutgury rhythm is changed into Whimori to expose another musical mood. Pentachord initiative method is used for scale of chorus. To expose the timbre of traditional music. Musical instruments are organized with a piano, 25-string Gayageum 1·2, and Janggu with Gukak instruments and Western ones mixed. 25-string Gayageum 1 and the piano are harmonically played for abundant choral melodies. 25-string Gayageum 2 is played to add agrements to choral melodies just like accompanying folk songs and reveal traditional feelings by using Sigimsae, such as vibrato, chuseong, etc.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ranges shown from each hymn are as follows.
      Based on the melody of the original song, 4-part chorus of <Joy to the Lord>, <Don’t be Afraid> composed by Kim Huijo mainly used primary chords and Gukak instruments were arranged. 4-part chorus of <Aeruhwa DoongDoong Hallelujah>, and <Thanksgiving Song> composed by Ah Hyungjeong mainly used the change of melodies, such as unison type among parts and anti-progress structure, and traditional elements were integrated with the piano arrangement.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bove, original 4 songs of <Joy to the Lord>, <Don’t be Afraid>, <Aeruhwa DoongDoong Hallelujah>, and <Thanksgiving Song> are folk feeling was integrated with the Gayageum Byeongchang hymns. Arranged 4 song are arranged in common by changing choral ways and musical instrument organization. As for chorus, Western choral system of 4 parts is used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church choir and involve characteristics of church music. Instrument accompanying with a synthesizer and a piano is arranged for harmony with chorus. Additional organization of Gukak instruments increases traditional color through the timbre of the instruments and Sigimsae.
      It is expected that more Gukak hymns like those above will be composed by integrating church music based on traditional elements and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players, composers, and arrangers of Gukak hymns to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f those song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B. 연구범위 및 방법 8
      • Ⅱ. 작곡자의 음악세계 10
      • A. 문재숙의 음악적 배경과 작품경향 10
      • Ⅰ.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B. 연구범위 및 방법 8
      • Ⅱ. 작곡자의 음악세계 10
      • A. 문재숙의 음악적 배경과 작품경향 10
      • Ⅲ. <주님 기뻐하실 때> 분석연구 15
      • A. 작품해설 15
      • B. 악곡구조 16
      • C. 악곡분석 18
      • Ⅳ. <두려워 말라> 분석연구 25
      • A. 작품해설 25
      • B. 악곡구조 25
      • C. 악곡분석 27
      • Ⅴ. <에루화둥둥 할렐루야> 분석연구 34
      • A. 작품해설 34
      • B. 악곡구조 34
      • C. 악곡분석 37
      • Ⅵ. <추수감사절 노래> 분석연구 45
      • A. 작품해설 45
      • B. 악곡구조 45
      • C. 악곡분석 48
      • Ⅶ. 결론 56
      • 참고문헌 59
      • 부록1. 악보 62
      • ABSTRACT 1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