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大學生의 性 役割 觀念에 관한 一硏究 : 自己와 他人의 知覺 不一致 및 心理的 適應을 中心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971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교육심리학과 , 1985.2

      • 발행연도

        1985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70.18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49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28-33

      • 소장기관
        •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本 硏究는 대학생의 性役割 觀念과 適應度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 아울러 각 영역간의 知覺差에 관하여 조사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叫明하고자 하는 硏究問題는 다음과 같다.
      1. 대학생의 性役割 觀念은 어떠한가?
      「실제적 나」, 「이상적 나」, 「반대성의 이상적 이성에 관한 기대」등의 각 영역에서 지각된 성역할 관념은 어떠한가? 反對性의 理想的 異性이라고 個人이 知覺한 유형과 實際로 反對性이 理想的 異性으로 知覺한 유형 사이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대학생의 適應度는 어떠한가?
      3. 知覺된 性役割 觀念과 適應度 사이에는 어떤 관련이 있는가?
      4. 知覺 不一致와 適應度 사이에는 어떤 관련이 있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 5개 대학교 남·녀 대학생 128명을 대상으로 質問紙 檢査를 하였다.
      성역할 관념 측정은 Bem (1974 )이 제작한 Bem Sex Role Inventory (BSRI)를 번안하여 사용하였고, 적응도 측정은 정 원식·김 호권이 제작한 성격진단검사(대학생·성인용)중 적응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조사결과 수집된 자료에 대한 統計的 分析으로는 차이 검증, 적률상관계수, 카이 검증 등의 통계 방법이 사용되었다.
      硏究의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性役割 觀念
      (1) 「실제적 나」의 영역에서 남자는 "약간 남성적 " 유형으로 여자는 "약간 여성적" 유형으로 지각했고, 「이상적 나」의 영역에서 남자는 "약간 남성적" 유형으로 여자는 "양성적" 유형으로 지각했으며, 「반대성의 이상적 이성에 대한 기대」 영역에서 남자는 "약간 남성적" 유형으로 여자는 "아주 여성적" 유형으로 지각했다.
      (2) 반대성의 이상적 이성이라고 개인이 지각한 유형과 실제로 반대성이 이상적 이성으로 지각한 유형 사이의 관계에서 남성의 경우 "약간 남성적 "유형으로 一致했으나, 여성의 경우는 각각 "아주 여성적" 유형과 "약간 여성적" 유형으로 知覺 不一致를 보였다 (t=7.50, p< .01).
      2. 適應度
      대학생들의 적응도는 일반적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다 (t=2.51, p< .05).
      3. 性役割 觀念과 適應度
      남자들은 자기자신을 "약간 남성적" 유형으로 지각하는 것이 "양성적" 유형으로 지각하는 것 보다 효율적인 적응도를 나타내었고 (t=2.80. p< .01), 반면 여자들은 자기자신을 "양성적" 유형으로 지각하는 것이 "약간 여성적 "유형으로 지각하는 것 보다 효율적인 적응도를 나타내었다 (t=2.02, p< .01).
      4. 知覺 不一致와 適應度
      「실제적 나」, 「이상적 나」, 「반대성의 이상적」이성에 관한 기대」의 영역에서 知覺한 性役割 觀念이 모두 一致하는 集團이 모두 다르게 효율적으로 적응함을 나타내었다(X^(2)(1)=4.11, p<.01).
      번역하기

      本 硏究는 대학생의 性役割 觀念과 適應度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 아울러 각 영역간의 知覺差에 관하여 조사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叫明하고자 하는 硏究問題는 다음과 같다. 1. 대...

      本 硏究는 대학생의 性役割 觀念과 適應度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 아울러 각 영역간의 知覺差에 관하여 조사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叫明하고자 하는 硏究問題는 다음과 같다.
      1. 대학생의 性役割 觀念은 어떠한가?
      「실제적 나」, 「이상적 나」, 「반대성의 이상적 이성에 관한 기대」등의 각 영역에서 지각된 성역할 관념은 어떠한가? 反對性의 理想的 異性이라고 個人이 知覺한 유형과 實際로 反對性이 理想的 異性으로 知覺한 유형 사이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대학생의 適應度는 어떠한가?
      3. 知覺된 性役割 觀念과 適應度 사이에는 어떤 관련이 있는가?
      4. 知覺 不一致와 適應度 사이에는 어떤 관련이 있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 5개 대학교 남·녀 대학생 128명을 대상으로 質問紙 檢査를 하였다.
      성역할 관념 측정은 Bem (1974 )이 제작한 Bem Sex Role Inventory (BSRI)를 번안하여 사용하였고, 적응도 측정은 정 원식·김 호권이 제작한 성격진단검사(대학생·성인용)중 적응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조사결과 수집된 자료에 대한 統計的 分析으로는 차이 검증, 적률상관계수, 카이 검증 등의 통계 방법이 사용되었다.
      硏究의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性役割 觀念
      (1) 「실제적 나」의 영역에서 남자는 "약간 남성적 " 유형으로 여자는 "약간 여성적" 유형으로 지각했고, 「이상적 나」의 영역에서 남자는 "약간 남성적" 유형으로 여자는 "양성적" 유형으로 지각했으며, 「반대성의 이상적 이성에 대한 기대」 영역에서 남자는 "약간 남성적" 유형으로 여자는 "아주 여성적" 유형으로 지각했다.
      (2) 반대성의 이상적 이성이라고 개인이 지각한 유형과 실제로 반대성이 이상적 이성으로 지각한 유형 사이의 관계에서 남성의 경우 "약간 남성적 "유형으로 一致했으나, 여성의 경우는 각각 "아주 여성적" 유형과 "약간 여성적" 유형으로 知覺 不一致를 보였다 (t=7.50, p< .01).
      2. 適應度
      대학생들의 적응도는 일반적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다 (t=2.51, p< .05).
      3. 性役割 觀念과 適應度
      남자들은 자기자신을 "약간 남성적" 유형으로 지각하는 것이 "양성적" 유형으로 지각하는 것 보다 효율적인 적응도를 나타내었고 (t=2.80. p< .01), 반면 여자들은 자기자신을 "양성적" 유형으로 지각하는 것이 "약간 여성적 "유형으로 지각하는 것 보다 효율적인 적응도를 나타내었다 (t=2.02, p< .01).
      4. 知覺 不一致와 適應度
      「실제적 나」, 「이상적 나」, 「반대성의 이상적」이성에 관한 기대」의 영역에서 知覺한 性役割 觀念이 모두 一致하는 集團이 모두 다르게 효율적으로 적응함을 나타내었다(X^(2)(1)=4.11, p<.01).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ex-role stereotype and adjustment of college men and women and to delineate relationships between certain sex role perceptions,
      The following are the questions to be cleared in this study.
      1. What are collegians' percept of sex-role stereotype and personal sex-role percept in the instruction of "real self, "ideal self," "ideal other sex (i.e., ideal other)" and "belief about the other sex's ideal other self (i.e., belief)'' and are their differences between the stereotype perceived belief" and the stereotype a actually perceived "ideal other" by other sex?
      2. What is their adjustment?
      3.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sex-role stereotype and adjustment?
      4. Is there any relation of concept discrepancy in the instruction of "real self ,I' "ideal self" and "belief" to adjustment?
      For this purpose, Questionaire test was administered to 128 college men and women in five university in Seoul.
      Bern's BSRI (Bem Sex Role Inventory) was adopted for sex- role stereotype test and Jeong won-sik and Kim Ho-Kweon's adjustment measurement (out of their personality diagnosis test) was used for adjustment test.
      For statistical analysis, collected data from the test went through T-test, Pearson's r and Chi-square test.
      The result are as follows:
      1. Sex-role stereotype
      (1) a. Men perceive "real self" with "slightly masculine sex-typed" and Women perceive "real self" with "slightly feminine sex typed,"
      b. Men perceive "ideal self" with "slightly masculine sex-typed" and Women perceive "ideal self with "androgynous."
      c. Men perceive "belief" with "slightly masculine sex-typed'' and Women perceive "belief" with "highly feminine sex-typed."
      (2) In the instruction of "belief" and "ideal other" actually perceived by other sex, men perceive both of them "slightly masculine sex-typed," showing congruence, but women perceive the former with "highly feminine" and the latter with " slightly feminine," showing discrepancy (t=7.50, p<.0l)
      2. Adjustment
      As a whole, men's adjustment was higher than women's (t= 2.51, p<.05).
      3. Sex-role stereotype and adjustment
      (1) In men, subjects, who perceive "real self" with "slightly masculine" showed good adjustment than subjects who perceive "real self" with "androgynous" (t= 2.80, p<.0l)
      (2) In women, subjects who perceive "real self" with "androgynous" showed good adjustment than subjects who perceive "real self" with "slightly feminine" (t= 2.62, p< .0l).
      4. Concept Discrepancy and adjustment
      Low discrepancy subjects who perceive equal sex-role stereotypes in the instructions "real self ," "ideal self" and "belief" showed good adjustment than high discrepancy subjects who were define as having the three score ( real self, ideal self and belief ) in three different BSRI Range [ x^(2)(l) = 4.11,p<.0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ex-role stereotype and adjustment of college men and women and to delineate relationships between certain sex role perceptions, The following are the questions to be cleared in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ex-role stereotype and adjustment of college men and women and to delineate relationships between certain sex role perceptions,
      The following are the questions to be cleared in this study.
      1. What are collegians' percept of sex-role stereotype and personal sex-role percept in the instruction of "real self, "ideal self," "ideal other sex (i.e., ideal other)" and "belief about the other sex's ideal other self (i.e., belief)'' and are their differences between the stereotype perceived belief" and the stereotype a actually perceived "ideal other" by other sex?
      2. What is their adjustment?
      3.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sex-role stereotype and adjustment?
      4. Is there any relation of concept discrepancy in the instruction of "real self ,I' "ideal self" and "belief" to adjustment?
      For this purpose, Questionaire test was administered to 128 college men and women in five university in Seoul.
      Bern's BSRI (Bem Sex Role Inventory) was adopted for sex- role stereotype test and Jeong won-sik and Kim Ho-Kweon's adjustment measurement (out of their personality diagnosis test) was used for adjustment test.
      For statistical analysis, collected data from the test went through T-test, Pearson's r and Chi-square test.
      The result are as follows:
      1. Sex-role stereotype
      (1) a. Men perceive "real self" with "slightly masculine sex-typed" and Women perceive "real self" with "slightly feminine sex typed,"
      b. Men perceive "ideal self" with "slightly masculine sex-typed" and Women perceive "ideal self with "androgynous."
      c. Men perceive "belief" with "slightly masculine sex-typed'' and Women perceive "belief" with "highly feminine sex-typed."
      (2) In the instruction of "belief" and "ideal other" actually perceived by other sex, men perceive both of them "slightly masculine sex-typed," showing congruence, but women perceive the former with "highly feminine" and the latter with " slightly feminine," showing discrepancy (t=7.50, p<.0l)
      2. Adjustment
      As a whole, men's adjustment was higher than women's (t= 2.51, p<.05).
      3. Sex-role stereotype and adjustment
      (1) In men, subjects, who perceive "real self" with "slightly masculine" showed good adjustment than subjects who perceive "real self" with "androgynous" (t= 2.80, p<.0l)
      (2) In women, subjects who perceive "real self" with "androgynous" showed good adjustment than subjects who perceive "real self" with "slightly feminine" (t= 2.62, p< .0l).
      4. Concept Discrepancy and adjustment
      Low discrepancy subjects who perceive equal sex-role stereotypes in the instructions "real self ," "ideal self" and "belief" showed good adjustment than high discrepancy subjects who were define as having the three score ( real self, ideal self and belief ) in three different BSRI Range [ x^(2)(l) = 4.11,p<.0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ⅲ
      • 論文槪要 = ⅴ
      • Ⅰ. 緖論 = 1
      • A. 硏究의 必要性 및 目的 = 1
      • B. 硏究問題 = 3
      • 목차 = ⅲ
      • 論文槪要 = ⅴ
      • Ⅰ. 緖論 = 1
      • A. 硏究의 必要性 및 目的 = 1
      • B. 硏究問題 = 3
      • C. 硏究의 制限點 = 3
      • Ⅱ.理論的 背景 = 5
      • A. 性役割 觀念(Sex-role Stereotype)과 心理的 適應(Psycholgical Adjustment) = 5
      • B. 知覺差와 適應 = 8
      • C. 先行 硏究 = 10
      • Ⅲ. 硏究方法 및 節次 = 14
      • A. 硏究對象 = 14
      • B. 檢査道具 = 14
      • C. 檢査節次 = 17
      • D. 統計處理 = 18
      • Ⅳ. 結果 및 解釋 = 19
      • A. 性役割 觀念 = 19
      • B. 適應度 = 22
      • C. 性役割 觀念과 適應度 = 23
      • D. 知覺 不一致와 適應度 = 24
      • Ⅴ. 論議 및 結論 = 26
      • 參考文獻 = 28
      • ABSTRACT = 34
      • 附錄 = 3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