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호스피스ㆍ완화의료와 의사조력자살 간 경계에 관한 규범적 고찰 = Legal approach of medical assistance at the End of life ― Border line between Hospice Palliative care and Physician-Assisted-Suicide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의사조력자살이란 의사조력사망, 조력사망, 조력자살이라는 용어와 혼용되는 죽음의 한 형태이다. 미국과 유럽 등 여러 나라에서 의사조력자살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거나 이미 법원 판례를...

      의사조력자살이란 의사조력사망, 조력사망, 조력자살이라는 용어와 혼용되는 죽음의 한 형태이다. 미국과 유럽 등 여러 나라에서 의사조력자살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거나 이미 법원 판례를 통해 그 정당성에 관해서 다루어지고 있다. 권리의식이 높아지고 자율성을 삶의 전 시기에 걸쳐 모든 영역에서 확대하려는 움직임은 사망과 근접한 시기인 임종기에 말기 진정요법을 포함한 완화의료의 이중효과의 정당성을 인정하는 판례와 의사조력자살의 법제화로 이어져왔다. 우리나라에서는 2018년부터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이 발효 중인데, 이 법에는 호스피스ㆍ완화의료도 함께 규율되어 있다. 호스피스ㆍ완화의료, 특히 말기 완화요법은 그 실행에 있어서 의료의 간접효과에 의해 죽음을 앞당길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고, 그 의료의 방법이 의사조력자살과 유사한 부분이 있다. 이 때문에 외국의 경우 의사조력자살에 관한 판례와 법제화 과정에서 있어서, 호스피스ㆍ완화의료, 특히 말기 진정요법의 이중효과 원칙 등 정당성 논리를 빗대어 의사조력자살의 정당성이 주장되고, 그에 대한 찬반논쟁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는 점에 주목하고 말기 진정요법과 의사조력자살의 경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로써 한국의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법제에도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hysician-Assisted-Suicide is a form of death that can be classified as a same category with Assisted Suicide, Assisted Dying and Aid in dying. Worldwide, such as US, Canada, Europe, Australia, laws on Physician-Assisted-Suicide have been enacted, or ...

      Physician-Assisted-Suicide is a form of death that can be classified as a same category with Assisted Suicide, Assisted Dying and Aid in dying. Worldwide, such as US, Canada, Europe, Australia, laws on Physician-Assisted-Suicide have been enacted, or the justification of that has already been addressed through court precedents. Increasing awareness of rights and a movement to expand autonomy in all areas have led to claims and legalization of Physician-Assisted-Suicide in the last few decades. In Korea, the law on decision-making at the end of life about forgoing life sustaining treatment has been in force since 2018 as a single law with Hospice palliative care.
      In the implementa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especially, palliative sedation, there is controversy that the indirect effect of medical care can lead to hastening death, and in part, the appearance and method of sedation is similar to Physician-assisted-Suicide. Therefo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has been controversy in claiming the legitimacy of Physician-Assisted-Suicide with the legitimacy logic of hospice palliative care in the case of foreign cases and legislation.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palliative sedation and Physician-Assisted-Suicide and the reason of legal justification, implications will be derived that can be applied to Korean legislation which made the first step on the legal medical decision-making system at the end of lif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영호, "호스피스ㆍ완화의료 현황과 발전방안" 10 (10): 2012

      2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8

      3 이지은, "존엄사의 법제화와 완화의료 - 프랑스 레오네티법 개정 논의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34 : 367-388, 2015

      4 손명세, "연명치료 관련 의사결정의 정당한 절차와 기준에 대한 지침개발" 보건복지부 2005

      5 이안 다우비긴, "안락사의 역사" 섬돌출판사 2007

      6 최화숙, "아름다운 죽음을 위한 안내서" 월간조선사 2004

      7 김재윤, "생명의 형법적 보호" 전남대학교출판부 2014

      8 엄주희,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와 연명치료중단에서의 생명권의 보호범위" 한국헌법학회 19 (19): 269-300, 2013

      9 야마자키 후미오, "병원에서 죽는다는 것" 도서출판 잇북 2011

      10 매기 캘러넌, "마지막 여행" 프리뷰 2009

      1 윤영호, "호스피스ㆍ완화의료 현황과 발전방안" 10 (10): 2012

      2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8

      3 이지은, "존엄사의 법제화와 완화의료 - 프랑스 레오네티법 개정 논의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34 : 367-388, 2015

      4 손명세, "연명치료 관련 의사결정의 정당한 절차와 기준에 대한 지침개발" 보건복지부 2005

      5 이안 다우비긴, "안락사의 역사" 섬돌출판사 2007

      6 최화숙, "아름다운 죽음을 위한 안내서" 월간조선사 2004

      7 김재윤, "생명의 형법적 보호" 전남대학교출판부 2014

      8 엄주희,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와 연명치료중단에서의 생명권의 보호범위" 한국헌법학회 19 (19): 269-300, 2013

      9 야마자키 후미오, "병원에서 죽는다는 것" 도서출판 잇북 2011

      10 매기 캘러넌, "마지막 여행" 프리뷰 2009

      11 Roger S. Magnusson, "The traditional account of ethics and law at the end of life - and its discontents" Sydney law School 2009

      12 David Orentlicher, "The Supreme Court and Terminal Sedation : Rejecting Assisted Suicide, Embracing Euthanasia" 24 : 947-, 1997

      13 Margaret A. Crowley, "The Hospice Movement: A Renewed View of the Death Process" 4 : 295-,

      14 Rebecca Dresser, "The Conscious Incompetent Patient" 32 : 2002

      15 Lowey, E, "Terminal sedation, self-starvation, and orchestrating the end of life" 161 : 2001

      16 J.M.K. Gevers, "Terminal Sedations : Between Pain Relief, Withholding treatment and Euthanasia" 25 : 747-, 2006

      17 Sjef Gevers, "Terminal Sedation: a Legal Approach" 10 : 359-, 2003

      18 Rob McStay, "Terminal Sedation: Palliative Care for Intractable Pain, Post Glucksberg and Quill" 29 : 2003

      19 Sheila A.M. Mclean, "Terminal Sedation- Good Medicine, Good Ethics, Good Law" 16 : 113-, 2016

      20 Ruth C. Stern, "Terminal Ambiguity : Law, Ethics and Policy in the Assisted Dying Debate" 17 : 99-, 2007

      21 Cherny NI, "Sedation in the management of refractory symptoms:guidelines for evaluation and treatment" 10 : 31-, 1994

      22 Patrick T. Smith, "Pulling the Sheet Back Down : A Response to Battin on the Practice of Terminal Sedation" 25 : 69-, 2009

      23 Timothy E. Quill, "Physician-assisted dying : the case for palliative care and patient choic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9

      24 Keith M, "Nursing and The Law" Aspen Publshers 1997

      25 Robert Young, "Medically assisted deat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26 Kaldjian, L., "Internists' attitudes towards terminal sedation in end of life care" 30 : 2004

      27 Roger. S. Magnusson, "Euthanasia: above ground, below ground" 2004

      28 Carrie L. Snyder, "Euthanasia" Thomson/Gale 2006

      29 Loreta M. Medina, "Euthanasia" Thomson Gale 2005

      30 Robert J Kastenbaum, "Death, Society and Human Experience" Allyn & Bacon 2001

      31 Penney Lewis, "Assisted dying and legal chang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32 Matthew P. Previn, "Assisted Suicide and Religion : Conflicting Conceptions of the Sanctity of Human Life" 84 : 1995

      33 Marilyn J, "Approaching Death in America: Improving Care at the End of Life" Institute of Medicine 1997

      34 Rodney Syme, "A Good Death : An Argument for Voluntary Euthanasia" Melbourne University Publishing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6-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학연구소 -> 법학연구원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0.89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