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관습법에 대한 헌법합치적 해석 : 관습법의 효력을 부정하는 대법원 2005. 7. 21. 선고 2002다1178 판결에 대한 비판을 겸하여 = Constitution-Conforming Interpretations of Customary Law - With Criticism of the Supreme Court s Judgment 2002Da1178 denying the Effect of Customary Law on July 21, 2005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658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사법기관은 당해 사건에 적용되는 재판규범을 국가의 최고법인 헌법에 합치하도록 해석・적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헌법합치적 해석은 법률뿐만 아니라, 행정입법과 같은 하위법령의 해석에도 마찬가지로 요청된다. 그런데 헌법합치적 해석이라는 것은 단순히 해석원칙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규범통제의 실질을 가진다. 한편, 관습법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객관적 요소로서 ‘거듭된 관행’과 주관적 요소로서 ‘법적 확신’이 필요하다. 그런데 대법원은 관습법에 대해 성립요건으로서 ‘관행의 반복’과 ‘법적 확신’이라는 요건 이외에도 ‘합헌성 요건’을 요구함으로써 결국 관습법에 대한 확인과 통제를 동시에 하고 있다. 관습법에 대한 대법원과 헌법재판소 간의 헌법합치적 해석이 충돌하는 경우, 헌법합치적 해석의 결과로서 나타나는 결정유형인 한정위헌결정에 대해서는 기속력과 법규적 효력이 인정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며, 관습법에 대한 헌법합치적 해석의 최종적인 결정권은 헌법재판소에 귀속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관습법에 대한 규범통제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법규범 상호간의 효력상의 차등이 전제되어야 한다. 관습법의 경우는 그 상위법규범인 헌법에 위배되는지 여부를 심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합헌성 요건’에 대한 심사로서 관습법에 대한 위헌심사, 즉 규범통제를 의미하는 것이다. 현행 헌법은 관습법의 효력을 부정할 수 있는 권한을 법원에 부여하고 있지 않다. 종래의 종중 구성에 관한 관습법의 효력을 통틀어 부정한 다음, 관습법의 위헌적 요소가 배제된 의미의 근거를 조리에서 찾는 것은 타당할 수 없다. 관습법을 통째로 부인하지 않더라도 헌법에 합치하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위헌적 요소인 종중 구성의 자격을 성년 ‘남자’만으로 제한하고 있는 부분만 제거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관습법은 조문의 형식으로 존재하지 않는 불문법이기 때문에 규범통제를 함에 있어 그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관습법의 경우에는 사법기관이 헌법정신에 맞게 관습법의 내용을 제한하거나 보완하는 적극적인 헌법합치적 해석을 하더라도 입법권의 침해가 문제되지 않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사법기관은 당해 사건에 적용되는 재판규범을 국가의 최고법인 헌법에 합치하도록 해석・적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헌법합치적 해석은 법률뿐만 아니라, 행정입법과 같은 하위법령의 해...

      사법기관은 당해 사건에 적용되는 재판규범을 국가의 최고법인 헌법에 합치하도록 해석・적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헌법합치적 해석은 법률뿐만 아니라, 행정입법과 같은 하위법령의 해석에도 마찬가지로 요청된다. 그런데 헌법합치적 해석이라는 것은 단순히 해석원칙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규범통제의 실질을 가진다. 한편, 관습법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객관적 요소로서 ‘거듭된 관행’과 주관적 요소로서 ‘법적 확신’이 필요하다. 그런데 대법원은 관습법에 대해 성립요건으로서 ‘관행의 반복’과 ‘법적 확신’이라는 요건 이외에도 ‘합헌성 요건’을 요구함으로써 결국 관습법에 대한 확인과 통제를 동시에 하고 있다. 관습법에 대한 대법원과 헌법재판소 간의 헌법합치적 해석이 충돌하는 경우, 헌법합치적 해석의 결과로서 나타나는 결정유형인 한정위헌결정에 대해서는 기속력과 법규적 효력이 인정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며, 관습법에 대한 헌법합치적 해석의 최종적인 결정권은 헌법재판소에 귀속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관습법에 대한 규범통제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법규범 상호간의 효력상의 차등이 전제되어야 한다. 관습법의 경우는 그 상위법규범인 헌법에 위배되는지 여부를 심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합헌성 요건’에 대한 심사로서 관습법에 대한 위헌심사, 즉 규범통제를 의미하는 것이다. 현행 헌법은 관습법의 효력을 부정할 수 있는 권한을 법원에 부여하고 있지 않다. 종래의 종중 구성에 관한 관습법의 효력을 통틀어 부정한 다음, 관습법의 위헌적 요소가 배제된 의미의 근거를 조리에서 찾는 것은 타당할 수 없다. 관습법을 통째로 부인하지 않더라도 헌법에 합치하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위헌적 요소인 종중 구성의 자격을 성년 ‘남자’만으로 제한하고 있는 부분만 제거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관습법은 조문의 형식으로 존재하지 않는 불문법이기 때문에 규범통제를 함에 있어 그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관습법의 경우에는 사법기관이 헌법정신에 맞게 관습법의 내용을 제한하거나 보완하는 적극적인 헌법합치적 해석을 하더라도 입법권의 침해가 문제되지 않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judicial authorities should interpret and apply trial norms applicable to concerned cases in a way that they will conform to the supreme law, the Constitution. Such constitution-conforming interpretations are required in the interpretations of lower-level statues such as administrative legislation as well as laws. Constitution-conforming interpretations have the substance of norm control beyond a simple principle of interpretation. There should be “repeated practice” as an objective element and “opinio juris” as a subjective one to establish customary law. The Supreme Court demands a “constitutionality requirement” in addition to “repetition of practice” and “opinio juris” for the establishment of customary law, eventually checking and controlling customary law at the same time. In a case of a clash between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over constitution-conforming interpretations of customary law, it will be valid to recognize the binding force and statutory effect of a decision of limited unconstitutionality, a type of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as a consequence of constitution-conforming interpretations. The final say for constitution-confirming interpretations of customary law should be attributed to the Constitutional Court. There should be a premise of differences in effect among legal norms so that norm control will be possible for customary law. It is possible to review whether customary law violates its upper-level legal norm, the Constitution. This is a review of “constitutionality requirement,” meaning a constitutional screening for customary law. Here, the Supreme Court has no authority to deny the effect of customary law. It is not valid to deny the entire effect of old customary law on the membership of a clan and then find a ground for the exclusion of its unconstitutional elements in sound reasoning. It is possible to reach a constitutional conclusion even without denying customary law in its entirety. In other words, it will be necessary to remove only the unconstitutional element, which limits the qualification of clan membership to “male” adults. Customary law does not exist in the form of provisions, which makes it inevitable to recognize its unique nature in norm control. Even if the judicial authorities make active constitution-conforming interpretations of customary law by restricting or supplementing its content according to the spirit of Constitution, they will not raise a problem with the infringement of legislative power.
      번역하기

      The judicial authorities should interpret and apply trial norms applicable to concerned cases in a way that they will conform to the supreme law, the Constitution. Such constitution-conforming interpretations are required in the interpretations of low...

      The judicial authorities should interpret and apply trial norms applicable to concerned cases in a way that they will conform to the supreme law, the Constitution. Such constitution-conforming interpretations are required in the interpretations of lower-level statues such as administrative legislation as well as laws. Constitution-conforming interpretations have the substance of norm control beyond a simple principle of interpretation. There should be “repeated practice” as an objective element and “opinio juris” as a subjective one to establish customary law. The Supreme Court demands a “constitutionality requirement” in addition to “repetition of practice” and “opinio juris” for the establishment of customary law, eventually checking and controlling customary law at the same time. In a case of a clash between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over constitution-conforming interpretations of customary law, it will be valid to recognize the binding force and statutory effect of a decision of limited unconstitutionality, a type of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as a consequence of constitution-conforming interpretations. The final say for constitution-confirming interpretations of customary law should be attributed to the Constitutional Court. There should be a premise of differences in effect among legal norms so that norm control will be possible for customary law. It is possible to review whether customary law violates its upper-level legal norm, the Constitution. This is a review of “constitutionality requirement,” meaning a constitutional screening for customary law. Here, the Supreme Court has no authority to deny the effect of customary law. It is not valid to deny the entire effect of old customary law on the membership of a clan and then find a ground for the exclusion of its unconstitutional elements in sound reasoning. It is possible to reach a constitutional conclusion even without denying customary law in its entirety. In other words, it will be necessary to remove only the unconstitutional element, which limits the qualification of clan membership to “male” adults. Customary law does not exist in the form of provisions, which makes it inevitable to recognize its unique nature in norm control. Even if the judicial authorities make active constitution-conforming interpretations of customary law by restricting or supplementing its content according to the spirit of Constitution, they will not raise a problem with the infringement of legislative pow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헌법합치적 해석의 의의 및 한계 Ⅲ. 관습법의 확인과 그에 대한 규범통제 Ⅳ. 관습법에 대한 헌법합치적 해석과 그에 따른 효력 Ⅴ. 관습법의 효력을 부정한 대법원 논거 및 조리에 의한 재판의 타당성 Ⅵ. 결론
      • Ⅰ. 서론 Ⅱ. 헌법합치적 해석의 의의 및 한계 Ⅲ. 관습법의 확인과 그에 대한 규범통제 Ⅳ. 관습법에 대한 헌법합치적 해석과 그에 따른 효력 Ⅴ. 관습법의 효력을 부정한 대법원 논거 및 조리에 의한 재판의 타당성 Ⅵ.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계희열, "헌법학(상)" 박영사 2005

      2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9

      3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실무제요" 삼화 2015

      4 허영, "헌법이론과 헌법" 박영사 2010

      5 허영, "헌법소송법론" 박영사 2020

      6 김하열, "헌법소송법" 박영사 2018

      7 김하열, "헌법강의" 박영사 2020

      8 손상식, "행정처분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취소가능성" 한국법학원 161 : 76-122, 2017

      9 홍정선, "행정법원론(상)" 박영사 2020

      10 정하중, "행정법개론" 법문사 2015

      1 계희열, "헌법학(상)" 박영사 2005

      2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9

      3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실무제요" 삼화 2015

      4 허영, "헌법이론과 헌법" 박영사 2010

      5 허영, "헌법소송법론" 박영사 2020

      6 김하열, "헌법소송법" 박영사 2018

      7 김하열, "헌법강의" 박영사 2020

      8 손상식, "행정처분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취소가능성" 한국법학원 161 : 76-122, 2017

      9 홍정선, "행정법원론(상)" 박영사 2020

      10 정하중, "행정법개론" 법문사 2015

      11 김운용, "합헌성 추정의 법리"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창간) : 1987

      12 손상식, "한정합헌결정과 한정위헌결정에 관한 소고" 한국헌법학회 18 (18): 465-510, 2012

      13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20

      14 윤진수, "주해 민법 [총칙(1)]" 한국사법행정학회 2010

      15 김운용, "위헌심사론" 삼지원 1998

      16 손상식, "성문법체제에서 관습법의 성립과 효력" 법학연구소 31 (31): 237-273, 2020

      17 김하열, "법률해석과 헌법재판:법원의 규범통제와 헌법재판소의 법률해석" 한국법학원 108 : 5-53, 2008

      18 정태호, "법률적 효력 있는 관습법의 위헌제청적격성" 법학연구소 46 (46): 343-376, 2011

      19 최병조, "민법주해[Ⅰ]-총칙(1)" 박영사 1992

      20 황태윤, "민법 제1조와 不文民法의 法源性" 동북아법연구소 6 (6): 143-164, 2012

      21 장영수, "규범통제의 본질에 비추어 본 대법원과 헌법재판소의 역할" 법학연구원 (55) : 39-71, 2009

      22 오세혁, "관습법의 현대적 의미" 한국법철학회 9 (9): 145-176, 2006

      23 오세혁, "관습법의 본질과 성립요건에 관한 고찰 - 관련 판례에 나타난 논증에 대한 분석 및 비판 -" 법학연구소 8 (8): 119-136, 2007

      24 손상식, "관습법에 대한 위헌법률심판" 헌법재판연구원 2015

      25 金大彙, "法源論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26 Klaus Schlaich, "Das Bundesverfassungsgericht" C. H. Beck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제헌법학회한국학회 ->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영문명 : Korean Branch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stitutioanl Law ->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stitutional Law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World Constitutional Law Review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 1.6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5 1.11 1.46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