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도시농업공원 조성을 위한 전략 및 기본계획 연구 - 대구광역시 고산골마을을 대상으로 - = Strategy and Basic Planning for Creating an Urban Agricultural Park -Focusing on Gosangol Village in Daegu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084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도시농업의 지속가능한 실현과 도시농업과 도시공원이 융합된 도시농업공원 조성을 목적으로 대구광역시 고산골 마을을 대상으로 계획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두 가지 관...

      본 연구는 도시농업의 지속가능한 실현과 도시농업과 도시공원이 융합된 도시농업공원 조성을 목적으로 대구광역시 고산골 마을을 대상으로 계획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두 가지 관점에서 의미를 가지는데, 주제공원으로서 도시농업 공원 조성 시 고려하여야 할 개발전략을 제안하는 것과 실제 적용을 위한 공간프로그램 및 도입시설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제시가 이에 해당하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농업공원의 조성은 도시공원의 수요적 진화로부터 유도된 지역 커뮤니티 공간으로서 역할을 담당하며, 이의 실현을 위한 농업 행위가 주제로 결합하여야 한다. 따라서 조성전략으로 '지속가능성에 중점을 둔 도시농업의 장마련', '농업 경관 중심의 녹지체계 구축', 그리고 '지역소통을 위한 여가 공간 조성'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도시농업공원이 갖추어야 할 주요 기능은 '생산적 측면'의 농산물 생산과 거래, 농지임대, '환경적 측면'의 토양보존, 자원순환, 녹지제공 등, '사회문화적 측면'의 여가 및 체험, 공동체 활성화, 교육, 사회복지 등이 해당되며, 아울러 도시공원이 요구하는 위락적 기능, 생태적 기능, 보호적 기능 등이 병행되어야 한다. 셋째, 도시농업공원 조성 시 요구되는 주요 시설로는 공원관리시설을 제외한 도시농업시설, 조경시설, 휴양시설, 운동시설, 교양시설, 편익시설 등을 포함하여야 하며, 도시농업시설의 중심시설인 텃밭의 경우, 다양한 이용목적과 행태를 고려한 다양한 유형과 규모의 도입이 요구되므로, 본 계획에 반영하였다. 본 연구는 계획대상지가 특정 지역에 국한된 한계를 지니나, 공원형 도시농업 공간 조성을 위한 계획모형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를 가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a planned site located in Gosangol Village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at aims to build an urban agricultural park combining urban agriculture and urban park for the sustainable realization of urban agriculture. Accordingly, thi...

      This study focused on a planned site located in Gosangol Village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at aims to build an urban agricultural park combining urban agriculture and urban park for the sustainable realization of urban agriculture. Accordingl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wo perspectives: firstly, suggesting development strategies to be considered when building an urban agricultural park as a theme park, and secondly, presenting guidelines for spatial programs and facilities to be introduced for actual applica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building an urban agricultural park fills a role as a local community space prompted by the demand-oriented evolution of urban parks, and agricultural behaviors to be incorporated in the theme. In this context, 'building an urban agricultural space focusing on sustainability', 'constructing green space systems focusing on agricultural landscape', and 'structuring leisure spaces for communications in the community' are presented as development strategies. Secondly, key functions that an urban agricultural park should have include production and trade of agricultural products on the production side, soil preservation, resource cycling and green space provision on the environmental side, leisure and experience, community vitalization, education, and social security on the social and cultural side, and entertainment functions, ecological functions, and protective functions as urban park functionality. Thirdly, key facilities needed when building an urban agricultural park include urban agricultural facilities other than park management facilities, landscape facilities, recreational facilities, sports facilities, educational facilities, and convenient facilities, and family gardens as the key facility of the urban agricultural park should be scal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purposes and behaviors of their use.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the subject site was limited to a specific area but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ed a planning model for the spatial structuring of park-type urban agricul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동관,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도시농업 유형 선호도 분석" 한국조경학회 44 (44): 40-50, 2016

      2 여화선, "디자인 유형화에 따른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사례연구"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4) : 41-50, 2012

      3 남태호, "도시텃밭의 분포 및 이용 특성- 대구광역시 시지지역을 사례로 -" 한국조경학회 42 (42): 1-9, 2014

      4 김묘정, "도시생활권공원의 유형에 따른 이용특성 및 커뮤니티 의식의 관계" 대한건축학회 30 (30): 149-158, 2014

      5 한주형, "도시농업의 이론, 패러다임 및 유형 분석을 통한 지속가능한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15 (15): 33-46, 2014

      6 이병준,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도시농지 확보방안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25 (25): 89-122, 2012

      7 최은영,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도시농업조례 항목별중요도와 참여 만족도 및 지속가능성의 관계 분석- 서울시 도시농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5 (15): 173-188, 2014

      8 황정임, "도시농업 활동 유형화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1 (21): 619-631, 2010

      9 장동헌, "도시농업 육성의 정책적 함의" 한국산업경제학회 22 (22): 979-994, 2009

      10 김예성, "도시녹지 유형에 따른 도시민의 이용 특성 연구- 수원시를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 42 (42): 31-40, 2014

      1 이동관,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도시농업 유형 선호도 분석" 한국조경학회 44 (44): 40-50, 2016

      2 여화선, "디자인 유형화에 따른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사례연구"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4) : 41-50, 2012

      3 남태호, "도시텃밭의 분포 및 이용 특성- 대구광역시 시지지역을 사례로 -" 한국조경학회 42 (42): 1-9, 2014

      4 김묘정, "도시생활권공원의 유형에 따른 이용특성 및 커뮤니티 의식의 관계" 대한건축학회 30 (30): 149-158, 2014

      5 한주형, "도시농업의 이론, 패러다임 및 유형 분석을 통한 지속가능한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15 (15): 33-46, 2014

      6 이병준,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도시농지 확보방안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25 (25): 89-122, 2012

      7 최은영,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도시농업조례 항목별중요도와 참여 만족도 및 지속가능성의 관계 분석- 서울시 도시농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5 (15): 173-188, 2014

      8 황정임, "도시농업 활동 유형화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1 (21): 619-631, 2010

      9 장동헌, "도시농업 육성의 정책적 함의" 한국산업경제학회 22 (22): 979-994, 2009

      10 김예성, "도시녹지 유형에 따른 도시민의 이용 특성 연구- 수원시를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 42 (42): 31-40, 2014

      11 윤희정, "도시공원 진화상의 비판적 고찰을 통한 도시농업공원의 발전 가능성" 한국농촌계획학회 18 (18): 81-90, 2012

      12 남궁희, "도시공원 내 텃밭 경작 참여 여부에 따른 공원 공공성 인식 연구" 한국조경학회 43 (43): 120-131, 2015

      13 김효경, "도시공원 내 오픈스페이스 이용자 행태 분석 - 서울 숲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6 (26): 37-44, 2010

      14 김성진, "근린공원 이용특성에 따른 시설요구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 8 (8): 27-35, 2006

      15 반영운, "광역권 근린공원의 이용실태 및 만족도 분석 - 청주시의 구룡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도시행정학회 21 (21): 185-203, 2008

      16 오주석, "공동주택단지 내 도시농업 도입 및 계획방안 연구- 계획지표 도출 및 적용방안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5 (15): 47-66, 2014

      17 "https://ko.wikipedia.org/wiki/%EB%8F%84%EC%8B%9C_%EB%86%8D%EC%97%85"

      18 Kim, T. G, "Vision and Assignment for the Urban Agricultur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0

      19 Park, Y. B, "The study of living agriculture for vitalizing urban agriculture" L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8

      20 Lee, Y. J, "Revitalization planning of urban agriculture in Gyeonggi-Do"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12

      21 Hou, J., "Greening Cities Growing Communities: Learning from Seattle's Urban Com- munity Gardens" Jokyung 2013

      22 Kim, J. D., "Globalization of agriculture and the movement of alternative agriculture" 12 (12): 586-590, 2002

      23 Kim, S. B., "Environmental friendly city and city farming" 7 (7): 71-91, 2002

      24 Daegu City Namgu, "City Statistics Annual Report. Vol. 29" 2015

      25 Keum, S. K, "Busan, departure of vitalization on urban agriculture, development urban agriculture park"

      26 Lee, E. H, "An analysis of weekend farm usage in Seoul" 26 (26): 83-95, 1998

      27 오제남, "A Study on the Complex Building Planning for Urban Agriculture Including the Program and Space Characteristics to Activate the Local Community" 한국생활환경학회 22 (22): 357-368,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