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ng Seokju(洪奭周 1774∼1842) was a leading scholar in early 19th century. He was a scholar of the Noron(老論) school that was based on traditional Seungrihak(性理學) and also a most prominent literary man, who showed most great scholastic l...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076423
강석중 (인제대학교)
2011
Korean
洪奭周 ; 교유 ; 교유시 ; 沈命永 ; 鄭世翼 ; 金近淳 ; 金啓溫 ; 金紹行 ; Hong Seokju(洪奭周) ; Friendship ; Friendship Poems ; Shim Myungyoung(沈命永) ; Jeong Seik(鄭世翼) ; Kim Keunsoon(金近淳) ; Kim Gyeon(金啓溫) ; Kim Sohaeng(金紹行)
KCI등재
학술저널
5-30(26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ong Seokju(洪奭周 1774∼1842) was a leading scholar in early 19th century. He was a scholar of the Noron(老論) school that was based on traditional Seungrihak(性理學) and also a most prominent literary man, who showed most great scholastic l...
Hong Seokju(洪奭周 1774∼1842) was a leading scholar in early 19th century.
He was a scholar of the Noron(老論) school that was based on traditional Seungrihak(性理學) and also a most prominent literary man, who showed most great scholastic level.
His academic achievements derived from his own homeschooling and academic hard study. I investigated those poems that was rubbed with shoulders in the instruction and that courses.
I researched that in his childhood, he was instructed with Shim Myungyoung(沈命永 1771∼1835), who was taught by Hong Inmo(洪仁謨) and his cousin Jeong Seik(鄭世翼 1784∼1835) who was ten years younger than Hong Seokju.
In that courses, the poems showed the consistent relations recommended the diligence with pureness untied with personal gains.
Those poems were always based on the sentiment which was irrespective with time.
In his companionship with colleagues, Kim Keunsoon(金近淳 1772∼1820) who was "chogyemoonshin(抄啓文臣)" in Kyujanggak(奎章閣) under the favor of the King Jeongjo(正祖) and who studied with Hong and Kim Gyeon(金啓溫 1773∼1825).
He left the pure companionship poems in the basis of buddy affection in young days.
He outlived his friends and that resulted in the elegy with deep lamentation for his friends' demises.
It shows that Hong wrote the classical poetry of the literary theory while he had a lifelong friendship with Kim Sohaeng(金紹行1765∼1859) who had lots of literary discussions with Hong. When Kim visited from Chungju(忠州) to meet Hong at the age of 75, Hong gave three poems about their friendship.
국문 초록 (Abstract)
淵泉 洪奭周(1774∼1842)는 19세기 전반의 시기에 활동한 대표적인 학자이다. 그는 전통적인 성리학을 바탕으로 한 老論 계열의 학자이자 당대 제일의 문인으로, 당대의 일반적인 학자의 경향...
淵泉 洪奭周(1774∼1842)는 19세기 전반의 시기에 활동한 대표적인 학자이다. 그는 전통적인 성리학을 바탕으로 한 老論 계열의 학자이자 당대 제일의 문인으로, 당대의 일반적인 학자의 경향을 대표하는 동시에 최고의 학문적 수준을 보여준 인물이다. 그의 학문적 성과는 가학으로 이룬 바탕 아래 친우들과의 학문적 연찬을 통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는바, 그의 교유와 그 과정에서 이루어진 교유시들을 살펴보았다.
어린 시절 백모의 아우로 홍석주의 부친 홍인모에게 글을 배워 홍석주와 십여 년 간 함께 강학을 한 사이인 沈命永(1771∼1835)과 10세 연하의 이종사촌 동생으로 홍석주에게 학문을 배운 鄭世翼(1784∼1835)의 사이를 살펴 보았다. 이들과 이루어진 교유에서는 이익으로 맺어진 사이가 아니라 순수하게 서로 권면하는 관계를 이어간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시간의 흐름과 관계없이 늘 이어진 정감을 바탕으로 한 시를 낳고 있다.
동료들과의 교유에서는 신진의 士類로 정조의 총애를 입고 규장각의 초계문신이 되어 함께 학문을 연찬하였던 金近淳(1772∼1820)과 金啓溫(1773∼1825)의 사이를 살펴보았다. 젊은 시절을 함께 한 동료애를 바탕으로 한 순수한 교유시도 여러 수 남기고 있지만 홍석주가 동료들에 비해 비교적 장수를 누렸기에 그보다 먼저 세상을 떠난 동료의 죽음을 애도하는 만시를 통해 깊은 애도를 펴하였다.
평생 교유를 지속한 金紹行(1765∼1859)과는 문학적 논의를 서로 간에 많이 나누었기에 문학론을 담은 고시를 교유 과정에서 지어 남기고 있다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김소행과의 사이에서는 가장 오랜 기간에 걸쳐 가장 많은 교유시를 남기고 있는바, “十八歲作”이라는 주석이 붙어 있는 <答金平仲深山操>에서 75세의 나이에 충주에서 찾아온 김소행에게 준 <金平仲自忠州來訪, 時年七十五矣. 次憲仲韻以贈>에 이르기까지 모두 12題의 시를 쓰고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재경, "홍석주의 학문 경향과 문학론" 서울대 2003
2 임종욱, "홍석주의 학강산필에 나타난 문학론 연구" 동국대학교 21 : 1999
3 최신호, "홍석주의 원시에 있어서 시발어정의 문제" 한국한문학회 19 : 1996
4 정대림, "홍석주의 원시에 대하여" 단국한문학회 10 : 1992
5 정대림, "홍석주의 시론 연구" 국문학회 (22) : 7-43, 2010
6 김학목, "홍석주의 노자(기호주자학자의 노자 읽기)" 예문서원 2001
7 임종욱, "홍석주의 『학강산필』에 나타난 문학론 연구" 동국대 한국문학연구소 21 : 1999
8 강석중, "홍석주의 『학강산필』에 나타난 문학관에 대하여" 한양대 한국학연구소 37 : 2003
9 김철범, "홍석주 고문의 예술적 특징" 한국한문학회 22 : 1998
10 정민, "조선후기 고문론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9
1 박재경, "홍석주의 학문 경향과 문학론" 서울대 2003
2 임종욱, "홍석주의 학강산필에 나타난 문학론 연구" 동국대학교 21 : 1999
3 최신호, "홍석주의 원시에 있어서 시발어정의 문제" 한국한문학회 19 : 1996
4 정대림, "홍석주의 원시에 대하여" 단국한문학회 10 : 1992
5 정대림, "홍석주의 시론 연구" 국문학회 (22) : 7-43, 2010
6 김학목, "홍석주의 노자(기호주자학자의 노자 읽기)" 예문서원 2001
7 임종욱, "홍석주의 『학강산필』에 나타난 문학론 연구" 동국대 한국문학연구소 21 : 1999
8 강석중, "홍석주의 『학강산필』에 나타난 문학관에 대하여" 한양대 한국학연구소 37 : 2003
9 김철범, "홍석주 고문의 예술적 특징" 한국한문학회 22 : 1998
10 정민, "조선후기 고문론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9
11 김문식, "조선후기 경학사상 연구" 일조각 1996
12 권오순, "연천 홍석주의 한시 연구" 한국한문고전학회 6 : 2000
13 정민, "연천 홍석주의 학문 정신과 고문론" 한양대 한국학연구소 16 : 1989
14 윤기홍, "연천 홍석주의 문학사상 연구, in 윤기홍전집 2" 글밭 1992
15 최신호, "연천 홍석주의 문학관" 단국대학교 13 : 1983
16 임종욱, "연천 홍석주론, in 조선후기한시작가론 2" 이회문화사 1999
17 박종혁, "연천 홍석주, in 한국인물유학사 4" 한길사 1996
18 서신혜, "김소행의 글쓰기 방식과, in 삼한습유" 박이정 2004
19 洪奭周, "鶴岡散筆"
20 洪奭周, "淵泉集"
21 이기대, "三韓拾遺에 나타난 金紹行의 三韓認識" 22 : 2002
22 박일용, "三韓拾遺를 통해서 본 金紹行의 작가의식" 일지사 42 : 1986
23 琴東현, "19세기 전반기 散文 理論의 전개 양상과 그 의미" 동방한문학회 25 : 301-336, 2003
송강(松江) 시(詩)의 이미지 연구(硏究) -애상(哀傷)의 시(詩)를 중심으로-
이철환(李철煥)의 『섬사편(剡社篇)』에 대한 재고 -18세기 안산지역 시회(詩會)의 맥락 검토를 겸하여
해좌 정범조 한시의 상고성(尙古性)과 기신(機神)에 대하여
여와(餘窩) 목만중(睦萬中)의 시에 나타난 현실 인식과 대응 양상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4 | 0.24 | 0.2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5 | 0.27 | 0.705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