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6~20세기 한글간찰에서의 기저형 음절말 /ㅅ/과 /ㄷ/에 대한 표기 변화 고찰 = A Study on the wrting changes of the Base-type Syllable-Finals /ㅅ/ and /ㄷ/ among the Hangeul Letters used during the 16th and 20th Centuri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6~20세기의 한글간찰을 대상으로, 음절말에서의 /ㅅ/과 /ㄷ/이 중화되는 과정에서 기저형 음절말 /ㅅ/과 기저형 음절말 /ㄷ/이 ‘ㅅ’형으로의 표기적 경향을 이루는 변화 과정을 ...

      본 연구는 16~20세기의 한글간찰을 대상으로, 음절말에서의 /ㅅ/과 /ㄷ/이 중화되는 과정에서 기저형 음절말 /ㅅ/과 기저형 음절말 /ㄷ/이 ‘ㅅ’형으로의 표기적 경향을 이루는 변화 과정을 고찰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하여 음절말에서의 /ㅅ/과 /ㄷ/이 15세기에는 변별되어 쓰이다가 16세기쯤에 이들이 중화되는데, 이때 중화의 초기 단계에서는, 기저형 음절말 /ㅅ/은 그 기저형을 유지하는 가운데 기저형 음절말 /ㄷ/이 ‘ㅅ’형과의 혼기를 보이기 시작한다는 것, 그리고 혼기의 초기 단계임에 따라 이 시기에는 /ㄷ/이 ‘ㅅ’으로의 표기형보다 /ㄷ/을 유지한 표기형이 많았던 것임을 알 수 있었다. 17세기 중 · 후반기에 들어서는 기저형 음절말 /ㅅ/은 여전히 기저형 /ㅅ/을 유지하는 가운데 기저형 음절말 /ㄷ/이 ‘ㅅ’형으로의 표기 변화가 확산됨으로써 이 시기에는 음절말에서의 ‘ㅅ’형이 ‘ㄷ’형보다 우세하게 나타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더 나아가 18세기 이후에는 기저형 음절말 /ㄷ/이 대부분 ‘ㅅ’형으로 표기되면서 이 시기에는 기저형 음절말 /ㅅ/과 기저형 음절말 /ㄷ/이 모두 ‘ㅅ’형으로의 표기적 경향을 보임을 살필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iew the changing procedure of the writing trend that the base-type syllable-finals /ㅅ/ and /ㄷ/ started to be written as ‘ㅅ’-type while the process that the syllable-finals /ㅅ/ and /ㄷ/ became neutralized among...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iew the changing procedure of the writing trend that the base-type syllable-finals /ㅅ/ and /ㄷ/ started to be written as ‘ㅅ’-type while the process that the syllable-finals /ㅅ/ and /ㄷ/ became neutralized among the Hangeul Letters used during the 16th and 20th Centurie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syllable-finals, /ㅅ/ and /ㄷ/ were used differently during the 15th century, but those syllable-finals became neutralized in around the 16th Century. At the beginning stage of the neutralization period, the base-type syllable-final, /ㅅ/ maintained its base-type while the other one, /ㄷ/ started to be mixed-spelled with the former. And during the initial stage of the mixed spelling, more number of the syllable-final, /ㄷ/ was used rather than the number of the one that was written as ‘ㅅ’. However, during the middle and late stages of the 17th Century, all number of the syllable-final, /ㅅ/ was written as it was whilst the number of the other one, /ㄷ/ that was written as ‘ㅅ’ became bigger while having been wide-spread. Thus,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ㅅ’ type used at that time dominated over that of ‘ㄷ’ type.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it has been in the trend after the 18th Century that both of the base-type syllables /ㅅ/ and /ㄷ/ were written as ‘ㅅ’ while most of the number of the base-type syllable-final /ㄷ/ was written as ‘ㅅ’ type after 18th Centu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한글간찰들의 서지적 특징
      • 3. 한글간찰에서의음절말/ㅅ/과/ㄷ/에대한표기변화분석
      • 4. 결론
      • 〈국문초록〉
      • 1. 서론
      • 2. 한글간찰들의 서지적 특징
      • 3. 한글간찰에서의음절말/ㅅ/과/ㄷ/에대한표기변화분석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두현, "현풍곽씨언간 주해" 태학사 2003

      2 배영환, "현존 最古의 한글편지 ‘신창맹씨묘출토언간’에 대한 국어학적인 연구" 국어사학회 (15) : 211-239, 2012

      3 백두현, "한글문헌학" 태학사 2015

      4 허재영, "한글 편지에 쓰인 어휘 변천에 대한 연구" 한글학회 (268) : 87-121, 2005

      5 이진호, "통시적 음운 변화의 공시적 기술" 삼경문화사 2008

      6 김경순, "추사 김정희의 한글편지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3

      7 박재연, "진주 유씨가 묘 출토 언간의 어휘론적 고찰" 국학연구원 (142) : 231-270, 2008

      8 조항범, "주해 순천김씨묘출토간찰" 태학사 1998

      9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한글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5 ­ 은진송씨 송규렴 가문 한글간찰" 태학사 2009

      10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한글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4 ­ 은진송씨 송준길 가문 한글간찰" 태학사 2009

      1 백두현, "현풍곽씨언간 주해" 태학사 2003

      2 배영환, "현존 最古의 한글편지 ‘신창맹씨묘출토언간’에 대한 국어학적인 연구" 국어사학회 (15) : 211-239, 2012

      3 백두현, "한글문헌학" 태학사 2015

      4 허재영, "한글 편지에 쓰인 어휘 변천에 대한 연구" 한글학회 (268) : 87-121, 2005

      5 이진호, "통시적 음운 변화의 공시적 기술" 삼경문화사 2008

      6 김경순, "추사 김정희의 한글편지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3

      7 박재연, "진주 유씨가 묘 출토 언간의 어휘론적 고찰" 국학연구원 (142) : 231-270, 2008

      8 조항범, "주해 순천김씨묘출토간찰" 태학사 1998

      9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한글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5 ­ 은진송씨 송규렴 가문 한글간찰" 태학사 2009

      10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한글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4 ­ 은진송씨 송준길 가문 한글간찰" 태학사 2009

      11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한글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3" 태학사 2005

      12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한글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2" 태학사 2005

      13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한글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1" 태학사 2005

      14 황문환, "조선시대 한글편지 판독자료집 3" 역락 2013

      15 황문환, "조선시대 한글편지 판독자료집 2" 역락 2013

      16 황문환, "조선시대 한글편지 판독자료집 1" 역락 2013

      17 김주필, "조선시대 한글 편지의 문어성과 구어성" 한국학연구소 35 : 223-257, 2011

      18 황문환,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현황과 특성" 국어사학회 (10) : 73-131, 2010

      19 황문환,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종합화와 활용 방안" 한국어학회 59 : 39-74, 2013

      20 李承子, "이광호교수 회갑기념논총 국어연구의 이론과 실제" 태학사 637-659, 2001

      21 신성철, "음절말 'ㅅ'과 'ㄷ'의 표기 변화에 대한 연구 : 16·17세기 국어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5

      22 신승용, "음운 변화의 원인과 과정에 대한 통시적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1

      23 박부자, "은진송씨 송준길 후손가 언간의 서지 ­ 정리자 및 정리 시기에 대한 검증" 돈암어문학회 20 : 128-156, 2008

      24 이기문, "신정판 국어사 개설" 태학사 2011

      25 문희순, "동춘당 송준길가 300년, 소장 한글편지의 현황과 삶의 모습" 어문연구학회 91 : 119-158, 2017

      26 김성옥, "동춘당 송준길家 한글간찰의 표기법 특징" 어문연구학회 84 : 5-30, 2015

      27 김성옥, "기저형 음절말 ‘ㅅ’ 표기에 대한 일고찰-16세기∼20세기 한글간찰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4 (14): 51-70, 2018

      28 이광호, "근대국어 표기법에 나타난 분철표기의 연구"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6 : 95-113, 1987

      29 홍윤표, "근대국어 연구 (Ⅰ)" 태학사 1994

      30 이익섭, "국어표기법연구" 서울대출판사 1992

      31 전광현,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국립국어연구원 7-54, 1997

      32 정승철,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국립국어연구원 7-59, 1999

      33 김성옥, "개화기 한글 간찰의 음운론적 고찰 - 동춘당 송 준길가 한글 간찰을 중심으로 -" 한글학회 (310) : 137-169, 2015

      34 조건상, "順天金氏墓出土簡札考" 修書院 1982

      35 김무식, "順天金氏墓 출토 언간자료의 국어학적 연구 ­ 주로 음운현상과 표기를 중심으로" 문학과언어학회 19 : 1-28, 1997

      36 金一根, "諺簡의 硏究(續): 諺簡의 諸學的 考察" 건국대학교 16­2 : 39-93, 1973

      37 김일근, "秋史 한글편지" 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 2004

      38 조건상, "淸州北一面順天金氏墓出土簡札" 충북대박물관 17-33, 1981

      39 백두현, "晋州 河氏墓 出土 <玄風 郭氏 諺簡> 判讀文" 경북어문학회 31 : 19-88, 1997

      40 건들바우박물관, "晉州河氏墓出土文獻과 服飾調査報告書" 1991

      41 박부자, "宋浚吉 후손가의 언간첩 『先世諺牘』에 대한 고찰"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7) : 157-200, 2008

      42 金一根, "『晉州河 氏墓出土文獻과 服飾調査報告書 : 건들바우박물관"

      43 전철웅, "<淸州北一面順天金氏墓出土簡札>의 判讀文" 충북대 중원문화연구소 13 : 225-281, 1995

      44 김한별, "19세기 전기 국어의 음운사 연구 ­ (의성김씨 학봉 종가 언간)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2015

      45 성인출, "18세기 후기 국어의 표기법 연구 : 윤음언해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4

      46 김성옥, "18~19세기 한글간찰의 표기법적 고찰 - 동춘당 송준길가(家)의 미주해 한글간찰을 중심으로" 어문연구학회 91 : 27-55, 2017

      47 김성옥, "16∼20세기 한글 간찰에서의 음절말 ‘ㅅ’형에 대한 일고찰"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충남대인문역량강화사업단 155-171, 2017

      48 한용운, "15세기 국어의 음절말 ‘ㅅ’과 ‘ㄷ’에 대한 일고찰" 국제언어문학회 8 : 37-53, 2003

      49 이병운, "15세기 국어 음절말 표기 「ㅅ」의 음성적 실현"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11 : 251-269,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EOMUNYEONGU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3 0.72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