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국학진흥원, "한국유학사상대계Ⅱ 철학사상편(상)" 2005
2 노인숙, "한강 정구의 예학에 관한 연구" 유교학회 제12집 : 1999
3 경북대 퇴계연구소, "퇴계학맥의 지역적 전개" 보고사 2004
4 배상현, "퇴계 이황선생의 예학사상" 퇴계학연구원 85 : 1995
5 고영진, "조선중기 예학사상사" 한길사 1995
6 배상현, "조선조 기호학파의 예학사상에 관한 연구" 고려대 민족문 화연구소 1996
7 유권종, "조선시대 퇴계학파의 예학사상에 관한 철학적 고찰" 퇴계학연구원 제102집 : 1999
8 이범직, "조선시대 예학연구" 국학자료원 2004
9 강세구, "성호학통 연구" 혜안 1999
10 김용걸, "성호의 자연인식과 이기론 체계변화" 1999
1 한국국학진흥원, "한국유학사상대계Ⅱ 철학사상편(상)" 2005
2 노인숙, "한강 정구의 예학에 관한 연구" 유교학회 제12집 : 1999
3 경북대 퇴계연구소, "퇴계학맥의 지역적 전개" 보고사 2004
4 배상현, "퇴계 이황선생의 예학사상" 퇴계학연구원 85 : 1995
5 고영진, "조선중기 예학사상사" 한길사 1995
6 배상현, "조선조 기호학파의 예학사상에 관한 연구" 고려대 민족문 화연구소 1996
7 유권종, "조선시대 퇴계학파의 예학사상에 관한 철학적 고찰" 퇴계학연구원 제102집 : 1999
8 이범직, "조선시대 예학연구" 국학자료원 2004
9 강세구, "성호학통 연구" 혜안 1999
10 김용걸, "성호의 자연인식과 이기론 체계변화" 1999
11 김종석, "성호 이익의 설리설에 있어서 公개념의 의미와 기능" 한국국학진흥원 (창간호) : 2002
12 노인숙, "성호 이익의 가례질서고" 중앙대 인문과학연구소 20 : 1993
13 김종석, "근기퇴계학파 연구를 위한 예비적 고찰-성호 이익의 학문연원과 퇴계학 수용 양상" 퇴계학연구원 제111집 : 2002
14 백도근, "근기 퇴계학파 예학관 연구 - 성호예학의 연원과 이념" 대한철학회 90 : 183-226, 2004
15 鄭逑, "五先生禮說分類"
16 김종석, "《퇴계선생언행록》 분석을 통해 본 급문제자의 受學 경향" 안동대퇴계학연구소 제15집 : 2005
17 김용걸, "《성호 이익의 철학사상연구》 성균관대대동문화연구원" 1989
18 김언종, "<학봉선생의 예학> 《학봉의 학문과 구국활동》 학봉선생기 념사업회" 1993
19 지두환, "<조선후기 예송 연구>" -11, 1987
20 배상현, "<예학시대에 예학제가의 사상> 《동양철학연구》 제14집 동 양철학연구회" 1994
21 이영춘, "<예송의 당쟁적 성격에 대한 재검토> 《조선후기 당쟁의 종 합적 검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22 한기범, "<사계 김장생과 신독재 김집의 예학사상 연구>" 1991
23 정옥자, "<17세기 사상계의 재편과 예론>"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