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星湖 李瀷에 있어서 退溪 禮學의 繼承과 變容 = Successions to Toegye(退溪)' Rye-hak(禮學) and Reformations in it by Lee Ik(李瀷)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257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discovering the successions to Toegye's Rye-hak and reformations in it by Lee Ik. This study is a matter of great importance to us, because it has relation with making clear the real nature of Shil-hak(實學). Rye-hak of Lee Ik has constituted upon the system of his Seongli-hak(性理學). Lee Ik considered that the nature of Rye is permanent above space-time, but the working form of Rye is restricted by it. From this point of view, he thought Chuja-Garye(朱子家禮) a sort of Rye's temporary form, and made much of the other text book of Rye. Lee Ik regarded Toegye having the most proper view-point, and tried to succeed to his Rye-hak. But Lee Ik applied his view-point thoroughly to Toegye too, and considered Toegye's thoughts of Rye not being justified permanently. Lee Ik thought building the working form of Rye in his time to be his own task. And this thought contributed much to the development of his Shil-hak.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at discovering the successions to Toegye's Rye-hak and reformations in it by Lee Ik. This study is a matter of great importance to us, because it has relation with making clear the real nature of Shil-hak(實學). Rye-hak of Lee Ik has...

      This study aims at discovering the successions to Toegye's Rye-hak and reformations in it by Lee Ik. This study is a matter of great importance to us, because it has relation with making clear the real nature of Shil-hak(實學). Rye-hak of Lee Ik has constituted upon the system of his Seongli-hak(性理學). Lee Ik considered that the nature of Rye is permanent above space-time, but the working form of Rye is restricted by it. From this point of view, he thought Chuja-Garye(朱子家禮) a sort of Rye's temporary form, and made much of the other text book of Rye. Lee Ik regarded Toegye having the most proper view-point, and tried to succeed to his Rye-hak. But Lee Ik applied his view-point thoroughly to Toegye too, and considered Toegye's thoughts of Rye not being justified permanently. Lee Ik thought building the working form of Rye in his time to be his own task. And this thought contributed much to the development of his Shil-hak.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국학진흥원, "한국유학사상대계Ⅱ 철학사상편(상)" 2005

      2 노인숙, "한강 정구의 예학에 관한 연구" 유교학회 제12집 : 1999

      3 경북대 퇴계연구소, "퇴계학맥의 지역적 전개" 보고사 2004

      4 배상현, "퇴계 이황선생의 예학사상" 퇴계학연구원 85 : 1995

      5 고영진, "조선중기 예학사상사" 한길사 1995

      6 배상현, "조선조 기호학파의 예학사상에 관한 연구" 고려대 민족문 화연구소 1996

      7 유권종, "조선시대 퇴계학파의 예학사상에 관한 철학적 고찰" 퇴계학연구원 제102집 : 1999

      8 이범직, "조선시대 예학연구" 국학자료원 2004

      9 강세구, "성호학통 연구" 혜안 1999

      10 김용걸, "성호의 자연인식과 이기론 체계변화" 1999

      1 한국국학진흥원, "한국유학사상대계Ⅱ 철학사상편(상)" 2005

      2 노인숙, "한강 정구의 예학에 관한 연구" 유교학회 제12집 : 1999

      3 경북대 퇴계연구소, "퇴계학맥의 지역적 전개" 보고사 2004

      4 배상현, "퇴계 이황선생의 예학사상" 퇴계학연구원 85 : 1995

      5 고영진, "조선중기 예학사상사" 한길사 1995

      6 배상현, "조선조 기호학파의 예학사상에 관한 연구" 고려대 민족문 화연구소 1996

      7 유권종, "조선시대 퇴계학파의 예학사상에 관한 철학적 고찰" 퇴계학연구원 제102집 : 1999

      8 이범직, "조선시대 예학연구" 국학자료원 2004

      9 강세구, "성호학통 연구" 혜안 1999

      10 김용걸, "성호의 자연인식과 이기론 체계변화" 1999

      11 김종석, "성호 이익의 설리설에 있어서 公개념의 의미와 기능" 한국국학진흥원 (창간호) : 2002

      12 노인숙, "성호 이익의 가례질서고" 중앙대 인문과학연구소 20 : 1993

      13 김종석, "근기퇴계학파 연구를 위한 예비적 고찰-성호 이익의 학문연원과 퇴계학 수용 양상" 퇴계학연구원 제111집 : 2002

      14 백도근, "근기 퇴계학파 예학관 연구 - 성호예학의 연원과 이념" 대한철학회 90 : 183-226, 2004

      15 鄭逑, "五先生禮說分類"

      16 김종석, "《퇴계선생언행록》 분석을 통해 본 급문제자의 受學 경향" 안동대퇴계학연구소 제15집 : 2005

      17 김용걸, "《성호 이익의 철학사상연구》 성균관대대동문화연구원" 1989

      18 김언종, "<학봉선생의 예학> 《학봉의 학문과 구국활동》 학봉선생기 념사업회" 1993

      19 지두환, "<조선후기 예송 연구>" -11, 1987

      20 배상현, "<예학시대에 예학제가의 사상> 《동양철학연구》 제14집 동 양철학연구회" 1994

      21 이영춘, "<예송의 당쟁적 성격에 대한 재검토> 《조선후기 당쟁의 종 합적 검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22 한기범, "<사계 김장생과 신독재 김집의 예학사상 연구>" 1991

      23 정옥자, "<17세기 사상계의 재편과 예론>"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4 0.24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4 0.507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