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종에 따른 배나무 열매의 항산화 활성 비교 = Comparison of Antioxidant Effects of Different Korean Pear Spec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485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ies, contents and activities of antioxidative substances in the fruits of a pear cultivar and five Korean wild pear lines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 of total phenolic compounds was highest with Pyrus pyrifolia var. culta “Shingo” (7.68 mg·g-1, D.W.) while total flavonoids was highest with P. ussuriensis var. acidula (5.66 mg·g-1, D.W.).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varied according to plant species, but in general pyrifolia lines had higher total polyphenols than total flavonoids whereas in ussuriensis lines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higher than total polyphenols. The scavenging effects of DDPH radicals was highest with highest with P. ussuriensis var. seoulensis (RC50=1.45 mg·mL-1) and that of ABTS radicals was highest with P. ussuriensis var. acidula (RC50=0.69 mg·mL-1). A pear cultivar “Shingo” showed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but scavenging activity of DDPH and ABTS radicals was lowest. The fruits of P. ussuriensis var. seoulensis contained low level of phenolic compounds, but their scavenging effects on two radicals was superior. Ferrous ion chelating effect was high in P. pyrifolia var. culta (98.93%), and in P. ussuriensis var. sinensis (68.71%), but two species had low scavenging activity.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in wild pears was not alway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Neithe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to ferrous ion chelating activity. In conclusion the fruits of P. ussuriensis var. acidula, P. ussuriensis var. seoulensis, and P. ussuriensis var. sinensis had great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new antioxidative functional food because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is higher or at least similar to P. pyrifolia var. culta. However, due to their different levels of antioxidative effects, the development of methods of using them jointly, not singly, to obtain maximum level of antioxidants is recommended.
      번역하기

      In this studies, contents and activities of antioxidative substances in the fruits of a pear cultivar and five Korean wild pear lines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 of total phenolic compounds was highest with Pyrus pyrifolia var. culta “Shingo” (...

      In this studies, contents and activities of antioxidative substances in the fruits of a pear cultivar and five Korean wild pear lines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 of total phenolic compounds was highest with Pyrus pyrifolia var. culta “Shingo” (7.68 mg·g-1, D.W.) while total flavonoids was highest with P. ussuriensis var. acidula (5.66 mg·g-1, D.W.).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varied according to plant species, but in general pyrifolia lines had higher total polyphenols than total flavonoids whereas in ussuriensis lines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higher than total polyphenols. The scavenging effects of DDPH radicals was highest with highest with P. ussuriensis var. seoulensis (RC50=1.45 mg·mL-1) and that of ABTS radicals was highest with P. ussuriensis var. acidula (RC50=0.69 mg·mL-1). A pear cultivar “Shingo” showed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but scavenging activity of DDPH and ABTS radicals was lowest. The fruits of P. ussuriensis var. seoulensis contained low level of phenolic compounds, but their scavenging effects on two radicals was superior. Ferrous ion chelating effect was high in P. pyrifolia var. culta (98.93%), and in P. ussuriensis var. sinensis (68.71%), but two species had low scavenging activity.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in wild pears was not alway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Neithe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to ferrous ion chelating activity. In conclusion the fruits of P. ussuriensis var. acidula, P. ussuriensis var. seoulensis, and P. ussuriensis var. sinensis had great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new antioxidative functional food because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is higher or at least similar to P. pyrifolia var. culta. However, due to their different levels of antioxidative effects, the development of methods of using them jointly, not singly, to obtain maximum level of antioxidants is recommen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에서 많이 재배하는 배나무속(Pyrus)의 신고배(P. pyrifolia var. culta)와 한국산 야생배 5종의 항산화 물질의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돌배나무(P. pyrifolia), 취앙네(P. ussuriensis var. acidula), 백운배나무(P. ussuriensis var. hakunensis), 문배나무(P. ussuriensis var. seoulensis), 무심이배(P. ussuriensis var. seoulensis) 등 5종류의 한국산 야생배와 신고배의 페놀성 물질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신고배(76.8 mg·g-1, D.W.),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취앙네(1.12 mg·g-1, D.W.)에서 가장 많았다. 식물의 종류에 따라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각기 달랐으나, P. pyrifiolia 계통에서는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보다 많고, P. ussuriensis 계통에서는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총 폴리페놀의 함량보다 많은 경향을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문배나무(RC50=1.45 mg·mL-1),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취앙네(RC50=0.69 mg·mL-1)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신고배는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나 DPPH와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가장 낮았으며, 문배나무의 과실은 페놀성 물질의 함량은 낮았으나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한 특징을 보였다. Fe2+ chelating은 radical 소거능이 낮았던 신고배(95.93%)와 무심이배(68.71%)에서 우수하였다. 따라서 야생배의 페놀성 물질의 함량은 radical 소거활성과 반드시 비례하지 않으며, 추출물의 radical 소거활성 또한 Fe2+ chelating 활성과 비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 한국산 야생배 중 취앙네, 문배나무, 무심이배의 과실은 신고배보다 항산화활성이 우수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항산화 기능성 천연소재로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은 각기 우수한 항산화 활성이 다르므로 단독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함께 이용하여 항산화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에서 많이 재배하는 배나무속(Pyrus)의 신고배(P. pyrifolia var. culta)와 한국산 야생배 5종의 항산화 물질의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돌배나무(P. pyrifoli...

      본 연구는 한국에서 많이 재배하는 배나무속(Pyrus)의 신고배(P. pyrifolia var. culta)와 한국산 야생배 5종의 항산화 물질의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돌배나무(P. pyrifolia), 취앙네(P. ussuriensis var. acidula), 백운배나무(P. ussuriensis var. hakunensis), 문배나무(P. ussuriensis var. seoulensis), 무심이배(P. ussuriensis var. seoulensis) 등 5종류의 한국산 야생배와 신고배의 페놀성 물질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신고배(76.8 mg·g-1, D.W.),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취앙네(1.12 mg·g-1, D.W.)에서 가장 많았다. 식물의 종류에 따라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각기 달랐으나, P. pyrifiolia 계통에서는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보다 많고, P. ussuriensis 계통에서는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총 폴리페놀의 함량보다 많은 경향을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문배나무(RC50=1.45 mg·mL-1),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취앙네(RC50=0.69 mg·mL-1)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신고배는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나 DPPH와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가장 낮았으며, 문배나무의 과실은 페놀성 물질의 함량은 낮았으나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한 특징을 보였다. Fe2+ chelating은 radical 소거능이 낮았던 신고배(95.93%)와 무심이배(68.71%)에서 우수하였다. 따라서 야생배의 페놀성 물질의 함량은 radical 소거활성과 반드시 비례하지 않으며, 추출물의 radical 소거활성 또한 Fe2+ chelating 활성과 비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 한국산 야생배 중 취앙네, 문배나무, 무심이배의 과실은 신고배보다 항산화활성이 우수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항산화 기능성 천연소재로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은 각기 우수한 항산화 활성이 다르므로 단독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함께 이용하여 항산화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영,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약용식물 소재 탐색" 한국식품과학회 36 (36): 333-338, 2004

      2 최희진, "한국산 배의 Polyphenol 화합물군이 쥐의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8 (18): 303-310, 2003

      3 최희진, "한국산 배로부터 분리한 Polyphenol 분획물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299-304, 2004

      4 안봉전, "한국산 배과피 폴리페놀 분획군의 생리활성효과"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7 (47): 92-95, 2004

      5 張云彬, "한국산 배(Pyrus pyrifolia Nakai)로부터 polyphenol 화합물의 구조결정" 한국식품과학회 35 (35): 959-967, 2003

      6 김혜숙, "참외 추출물의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 및 간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8 (18): 448-453, 2009

      7 최정환, "울산지역 생산 배의 품종 및 부위별 생리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9 (49): 43-48, 2006

      8 박영기, "복분자 딸기 열매의 품종별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 한국목재공학회 36 (36): 102-109, 2008

      9 김현영, "과채류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열처리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0 (40): 166-170, 2008

      10 허진철, "감 초미세 분말의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 및 항아토피 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7 (17): 145-150, 2010

      1 김은영,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약용식물 소재 탐색" 한국식품과학회 36 (36): 333-338, 2004

      2 최희진, "한국산 배의 Polyphenol 화합물군이 쥐의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8 (18): 303-310, 2003

      3 최희진, "한국산 배로부터 분리한 Polyphenol 분획물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299-304, 2004

      4 안봉전, "한국산 배과피 폴리페놀 분획군의 생리활성효과"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7 (47): 92-95, 2004

      5 張云彬, "한국산 배(Pyrus pyrifolia Nakai)로부터 polyphenol 화합물의 구조결정" 한국식품과학회 35 (35): 959-967, 2003

      6 김혜숙, "참외 추출물의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 및 간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8 (18): 448-453, 2009

      7 최정환, "울산지역 생산 배의 품종 및 부위별 생리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9 (49): 43-48, 2006

      8 박영기, "복분자 딸기 열매의 품종별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 한국목재공학회 36 (36): 102-109, 2008

      9 김현영, "과채류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열처리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0 (40): 166-170, 2008

      10 허진철, "감 초미세 분말의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 및 항아토피 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7 (17): 145-150, 2010

      11 Sato, M., "Varietal differences in the phenolic content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of wines from different sources" 44 : 37-41, 1996

      12 Jangaard, N.O., "Thin-layer chromatography of some plant phenolics" 50 : 146-148, 1970

      13 Yu, T.J., "The food guide" Munundang. Seoul 166-, 1989

      14 Okuda T., "Tannins of medicinal plants and drugs" 16 : 1618-1622, 1981

      15 Hasimoto, F., "Tannins and related compound from Oolong tea" 37 : 3255-3263, 1989

      16 Lee, D.S.,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major fruits in Korea" 4 : 123-139, 1975

      17 Bors, W., "Radical scavenging by flavonoid antioxidants" 2 : 289-294, 1987

      18 Šajner, D., "N. Mimica-DukićŤ, B. Lazić‘, and R. IgićŤ. 1998. Antioxidant abilities of cultivated and wild species of garlic" 12 : S13-S14, 1998

      19 NFRI, "Manuals of quality characteristic analysis for food quality evaluation (2)" National Food Research Institute, Skuba 1990

      20 Labuza, T.P., "Kinetics of lipid oxidation in foods" 2 : 335-405, 1971

      21 Hong, S.S., "Influence of picking stage storage type on the fruit respiration change and panel test in ‘onwang’ ‘wasan’ and ‘ansoo’pear" 22 : 22-62, 2004

      22 Lee,C.B.,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oonsa. Seoul 1999

      23 Ji, L.L., "Exercise,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s" 24 (24): S20-S24, 1996

      24 Fitzpatrick, D.F., "Endothelium-dependent vasorelaxing activity of wine and other grape products" 265 : H774-H778, 1993

      25 Braca, A.,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from wild and cultivated Scerocarya birrea (Anacardiaceae) leaves" 51 : 6689-6695, 2003

      26 Park, H.M.,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during fermentation of pear (Pyrus pryifolica Nakai) wine" 36 : 199-209, 2009

      27 Verpoorte, R., "Biotechnology for the production of plant secondary metabolites" 1 : 13-25, 2002

      28 Fridovich, I., "Biological effect of the superoxide radical" 247 : 1-11, 1986

      29 Halliwell, B., "Antioxidants and human disease: A general introduction" 55 : 267-277, 1997

      30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26 : 11978-1204, 1958

      31 Yen, G.C., "Antioxidant and pro-oxidant properties of ascorbic acid and gallic acid" 79 : 307-313, 2002

      32 Re, R.,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26 : 1231-1237, 1999

      33 Velioglu, Y.S.,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s,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46 : 4113-4117,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67 1.157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