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세는 인간이 지질학적 행위자가 되어 생태를 교란하고 있는 현재를 지칭하는 개념이지만, 가시적인 환경 파괴나 기후 변화의 징후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인간의 인지 영역 바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811836
2023
Korean
티머시 모튼 ; 생태 미학 ; 생태 영화 ; 객체지향존재론 ; 오토래디오그래피 ; 정신분석 ; 박찬경 ; Timothy Morton ; Ecological Aesthetic ; Eco Cinema ; OOO ; Autoradiography ; Psychoanalysis ; Park ; Chankyong
KCI등재
학술저널
55-92(3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인류세는 인간이 지질학적 행위자가 되어 생태를 교란하고 있는 현재를 지칭하는 개념이지만, 가시적인 환경 파괴나 기후 변화의 징후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인간의 인지 영역 바깥...
인류세는 인간이 지질학적 행위자가 되어 생태를 교란하고 있는 현재를 지칭하는 개념이지만, 가시적인 환경 파괴나 기후 변화의 징후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인간의 인지 영역 바깥에서 시간과 공간에 걸쳐 광범위하게 확산된 객체들이 더 이상 배경이 아니라 우리의 삶의 전면으로 직접적으로 침투했음을 뜻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인류세는 근본적으로 인식론적 문제이자, 미학의 영역이다. 객체지향존재론을 자신의 생태철학과 결합하고 있는 티머시 모튼의 생태 미학은 이 문제를 사고하는 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인류세적 객체를 ‘초객체’로 이론화하고 오늘날 생태 위기의 근본적 원인이 ‘농업로지스틱스’의 사고형식에 있다고 주장한다. 이는 ‘대문자 자연’이 존재한다는 사고로서, 자연을 우리 인간의 밖에 있는 것으로, 하나의 통일된 객체로 상정하는 것을 말한다. 모튼은 객체지향존재론을 수용하여 초객체의 미학적 인과성을 도출하고, 예술의 경험을 통해 그러한 존재론적 사실을 인정하는 것을 해답으로 제시한다. 오토래디오그래피는 이러한 생태 미학의 표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모튼의 생태 미학은 일정한 한계를 갖는다. 이는 그가 해로 제시하는 미학적 인과성이야말로 오늘날 인간들이 생태 위기를 부인하고 기존의 질서를 유지하는 주된 동기로 작동함을 애써 무시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초객체의 출현이 주체의 발생과 동연적임을 밝히고, 정신분석의 주체와 증상의 개념을 활용해 대안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박찬경 작가의 <늦게 온 보살>(2019)을 통해 대안적 생태 미학을 예증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nthropocene refers to the current period in which humans are becoming geological agents and disturbing ecosystems. But it is not limited to visible environmental degradation or manifestation of climate change. It also refers to the fact that obje...
The Anthropocene refers to the current period in which humans are becoming geological agents and disturbing ecosystems. But it is not limited to visible environmental degradation or manifestation of climate change. It also refers to the fact that objects outside the realm of human perception, distributed over vast range of time and space, are no longer in the background, but have penetrated directly into our daily lives. The Anthropocene is therefore fundamentally an epistemological crisis and a matter of aesthetics. which combines Timothy Morton’s ecological aesthetics, object-oriented ontology with his ecological thought, is a useful way to think about this issue. Morton considers anthropocene as ”Hyperobjects” and argues that the cause of today’s ecological crisis has always been the agrilogistic mode of thinking. This is the idea that there is a ”Nature,” which means that Nature is regarded as something outside of us, as a coherent object. Morton derives the aesthetic causality of the hyperobjects from Object-Oriented Ontology, and suggests that the solution is to acknowledge this ontological fact through art. Autoradiography is an example of this ecological aesthetic. Nevertheless, Morton’s ecological aesthetic has certain limitations. Because he ignores the fact that the aesthetic causality which he presents as a solution is exactly a primary cause for people to disavow the ecological crisis and maintain the existing order. To address this, this study reveals that hyperobjects and subject is simultaneously has emerged in the wake of Scientific Revolution and proposes an alternative by utilizing the concepts of subject and symptom of psychoanalysis. Finally, an alternative ecological aesthetic is exemplified through Park, Chankyong’s <Belated Bosal>(2019)
『픽토르뒤 성』 또는 예술적 성찰의 문학적 표현과 환상의 문제
디지털 환경에서의 상업적 소비공간과 예술적 가치: 하우스 도산 사례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