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華音啓蒙諺解》(이하 《華諺》)의 漢語音 표기를 《飜譯老乞大》와 《飜譯朴通事》(이하 《飜譯老朴》)의 우측음 표기와 비교하여 《華諺》에 나타난 漢語音 표기의 성격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458278
2014
-
700
KCI등재
학술저널
149-177(2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華音啓蒙諺解》(이하 《華諺》)의 漢語音 표기를 《飜譯老乞大》와 《飜譯朴通事》(이하 《飜譯老朴》)의 우측음 표기와 비교하여 《華諺》에 나타난 漢語音 표기의 성격을 ...
본고에서는 《華音啓蒙諺解》(이하 《華諺》)의 漢語音 표기를 《飜譯老乞大》와 《飜譯朴通事》(이하 《飜譯老朴》)의 우측음 표기와 비교하여 《華諺》에 나타난 漢語音 표기의 성격을 살펴보고 표기에 반영된 漢語音의 몇 가지 특징을 논의한다. 이를 위하여 두 문헌에 나타난 漢語音의 聲母와 韻母 표기의 비교표를 제시하고, 각 표기 항목의 대응 관계를 살펴본다. 두 문헌의 각 글자의 표기에서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적지 않게 나타나고, 음운변화 등의 요인 때문에 두 문헌의 동일한 漢語音 표기가 나타내는 漢語音이 다른 경우가 나타나지만, 《飜譯老朴》 우측음 표기의 기본적인 성격인 國俗撰字之法은 《華諺》의 漢語音 표기에서도 계승되어 나타나고 있다. 또한 《華諺》의 漢語音 표기에 반영된 漢語音系의 몇 가지 특징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華諺》의 漢語音이 전반적으로는 19세기 후반 北京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 통용된 北方官話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으나, 北京語 音韻史의 측면에서는 설명하기 어려운 표기도 상당수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백거이(白居易)의 <비파행(琵琶行)>에 관한 세 가지 의문
제국의 도시, 양주(揚州)― 18세기 중국 어느 지방 도시의 문명 생태 보고서, 《양주화방록(揚州畵舫錄)》
Study on Female Consciousness of Jin Renshun`s Short St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