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SNS인 인스타그램이 사회적 지지 매체로 기능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호작용적 기제 이용을 통한 행동적 측면과 가족, 오프라인 친구, 온라인 친구의 관계적 측면을 적용하여 사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90134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35-275(4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SNS인 인스타그램이 사회적 지지 매체로 기능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호작용적 기제 이용을 통한 행동적 측면과 가족, 오프라인 친구, 온라인 친구의 관계적 측면을 적용하여 사회...
본 연구는 SNS인 인스타그램이 사회적 지지 매체로 기능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호작용적 기제 이용을 통한 행동적 측면과 가족, 오프라인 친구, 온라인 친구의 관계적 측면을 적용하여 사회적 지지를 인지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좋아요, 댓글, 공유, 아이디태그와 같은 상호작용적 기제를 통해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고 있는 이용자가 자신도 사회적 지지를 받고 있다고 인지하는지를 측정했고, 이 두 경험의 매개변인으로 상호작용적 기제 수신 만족감을 탐구하였다. 또한 강한 연결의 가족과 오프라인 친구, 약한 연결의 온라인 친구의 관계에 따른 차별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인스타그램의 주요 이용자인 20대에서 40대까지의 767명을 표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지지적 행동을 많이 할수록 상호작용적 기제 수신 만족감을 경험하고, 수신 만족감은 사회적 지지를 인지하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지적 행동이 인지된 사회적 지지에미치는 영향은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관계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오프라인 친구에게 제공한 지지는 정서적 지지에 정(+)의 영향을, 온라인 친구에게 제공한 지지는 정보적 지지에 정(+)의 영향을, 가족에게 제공한 지지는 정서적 지지에 부(-)의 영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제공한 지지와 모든 인지된 사회적 지지 사이에 수신 만족감이 매개효과를 발휘하여 유의미한 정(+)의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지지적 행동의 단순한 수행만으로는 사회적 지지 경험을 완전히 설명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결국, 사회적 지지를 경험하기 위해서는 상호작용 대상의 피드백과 이에 대한 만족감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상호작용적 미디어 맥락에서 이용자가 상호작용적 기제를 통해 사회적 지지를 인지하는 실질적인 과정을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whether Instagram, the most popular SNS in South Korea, functions as a medium for social support by analyzing the cognitive process underlying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Specifically, it applies both behavioral aspects, bas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Instagram, the most popular SNS in South Korea, functions as a medium for social support by analyzing the cognitive process underlying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Specifically, it applies both behavioral aspects, based on the use of interactive features, and relational aspects involving family, offline friends, and online friends.
It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vided support through interactive features such as likes, comments, shares, and tag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atisfaction with receiving interactive features. Based on the media multiplexity, the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according to strong ties(family and offline friends) and weak ties(online friend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 sample of 767 users aged 20s to 40s, Instagram’s main user demographic, was utili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more supportive behaviors were performe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receiving interactive features, and this satisfaction contributed to perceiving social support. However, the effect of supportive behaviors on perceived social support varied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with Instagram users. Support provided to offline friends positively influenced emotional support, support to online friends positively influenced informational support, and support to family negatively influenced emotional support.
However, satisfaction with receiving support mediated these relationships and produced significant positive indirect effects across all types of social relationshi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erforming supportive behaviors alone does not fully explain the experience of social support; rather the feedback and satisfaction derived from interaction with others play a crucial role. These results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actual mechanisms of giving and receiving social support through interactions in an interactive media context. By discussing the patterns of social support experienced through both strong and weak ties in the SNS environment, this study extends related research beyond traditional contexts.
AI 스피커를 활용한 뉴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인구사회학, 정치 인식, 미디어 이용 정도, 언론 인식 요인을 중심으로
대면 및 비대면 소통이 고립감과 우울불안감에 미치는 영향: SNS 이용자의 연결감과 사회적 과부하의 매개효과
소비자 자민족중심주의의 구매행위에 대한 조절효과연구: 중국 라이브 커머스 소비자를 대상으로
청점(POA)에 대한 음향 요소 분석: 회이어(Høyer)의 이론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