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면 소통과 비대면 소통(SNS 이용)을 구분하여 각각의 소통 방식이 고립감,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연결감과 사회적 과부하의 매개 역할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면 소통과 비대면 소통(SNS 이용)을 구분하여 각각의 소통 방식이 고립감,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연결감과 사회적 과부하의 매개 역할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
본 연구는 대면 소통과 비대면 소통(SNS 이용)을 구분하여 각각의 소통 방식이 고립감,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연결감과 사회적 과부하의 매개 역할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대면 소통은 비언어적 단서를 통해 강한 연결감을 형성하며, 이는 고립감, 우울 및 불안을 완화하는 데 긍정적인 관계로 나타났다. 비대면 소통은 물리적 거리의 한계를 극복하여 사회적 지지와 연결감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과도한 정보와 상호작용으로 인한 사회적 과부하가 고립감, 우울 및 불안을 증가시키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연결감은 두 소통 방식 모두에서 고립감, 우울 및 불안을 완화하는 핵심적인 매개 변수로 작용하였으며, 이는 소통 방식의 심리적 건강에 대한 영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면 및 비대면 소통 방식이 연결감과 사회적 과부하를 통해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시대에서 소통 방식의 긍정적·부정적 효과에 대한 학문적·실무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심리적 부담을 완화하고 연결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실질적인 전략과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face-to-face and mediated (SNS) communication on loneliness, depression, and anxiety, emphasizing the mediating roles of connectedness and social overload. The results indicate that face-to-face communication fosters...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face-to-face and mediated (SNS) communication on loneliness, depression, and anxiety, emphasizing the mediating roles of connectedness and social overload. The results indicate that face-to-face communication fosters connectedness through nonverbal cues, reducing psychological distress. While mediated communication enhances emotional support and connectedness, excessive interactions can lead to social overload, exacerbating loneliness, depression, and anxiety. Connectedness emerged as a key mediator in both communication modes, highlighting its role in mitigating negative psychological outcomes. This study offers insights into the psychological impacts of communication styles, with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reducing psychological burdens and strengthening social connections.
AI 스피커를 활용한 뉴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인구사회학, 정치 인식, 미디어 이용 정도, 언론 인식 요인을 중심으로
소비자 자민족중심주의의 구매행위에 대한 조절효과연구: 중국 라이브 커머스 소비자를 대상으로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제공한 사회적 지지와 인지된 사회적 지지의 관계: 상호작용적 기제 수신 만족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점(POA)에 대한 음향 요소 분석: 회이어(Høyer)의 이론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