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표현활동의 대부분은 교사 주도 하에 이루어지고 있어 학생의 적극적인 참여와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상당히 제한되어 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새로운 규칙과 아이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303140
2011
Korean
685
KCI등재
학술저널
109-126(18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초등학교 표현활동의 대부분은 교사 주도 하에 이루어지고 있어 학생의 적극적인 참여와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상당히 제한되어 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새로운 규칙과 아이디...
초등학교 표현활동의 대부분은 교사 주도 하에 이루어지고 있어 학생의 적극적인 참여와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상당히 제한되어 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새로운 규칙과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놀이를 활용한 신체표현 교육방법을 소개하고 이러한 놀이 활용 신체표현활동이 초등학생들의 내적 동기의 하위요인인 지각된 유능감, 흥미-즐거움, 노력-중요성, 긴장-압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피험자 총 123명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분리하였다. 그리고 각 집단별로 수업을 실시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의 경우 정규체육시간과 재량활동 시간(교육과정 운영계획에 의한 교환수업 실시)을 활용하여 14주 동안 실시된 차시별 놀이 활용 신체표현활동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은 해당반의 담임교사에게 실험집단의 연구 계획을 미리 알려주고 일반적인 신체표현활동(4학년 표현활동 교과내용 중심으로)을 14주 동안 차시별 수업을 진행하였다. 참고로 4학년 신체표현활동의 내용은 총 18차시로 구성되어 있는데 리듬에 맞추어 하나, 둘, 셋(4차시), 예술가가 되어(6차시), 기구와 하나가 되어(8차시)로 구성이 되어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 활용 신체표현활동은 지각된 유능감에 영향을 미친다. 놀이를 통해서 쉽고 재미있게 움직임의 요소를 습득하고 표현하는 수업은 학생들이 표현활동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게 했다는 점이다. 둘째, 놀이 활용 신체표현활동은 흥미와 즐거움에 영향을 미친다. 실험 초기에는 신체표현활동에 대한 이론적 지식의 부족과 경험의 부족으로 학생들은 표현활동을 부끄럽게 생각하고 쑥스러워하며 소극적인 수업태도를 보였으나 얼음·땡 놀이와 고무줄놀이 등의 다양한 놀이와 함께 걷고 뛰고 달리기를 하면서 움직임을 반복·확장시켰고, 공간을 이용하면서 다양한 움직임의 요소와 함께 표현을 하는 과정에서 흥미와 즐거움의 변화를 느끼게 되었다. 셋째, 놀이 활용 신체표현활동은 노력-중요성에 영향을 미친다. 놀이 속에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고, 새로운 규칙들을 신체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자발적이고 창의적인 동작으로 이끌게 한다. 이러한 노력들은 자아표현의 가능성과 창의성을 발달에 도움을 준다. 흥미와 즐거움의 변화를 느끼면서 구체적인 표현을 위해서 노력하는 과정은 모둠발표의 장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드러났다. 넷째, 놀이 활동 신체표현활동 참여 전과 참여 후 긴장-압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 활용 신체표현활동은 수업 계획에 따라서 자율적으로 운영되고, 준비에서 실행 및 피드백까지 구성원을 중심으로 하는 학생중심 수업이므로 교사의 도움이나 안내를 제외한 지도나 지적이 적은 편이기 때문으로 유추 할 수 있다. 놀이 활용 신체표현활동은 학생들에게 어렵게만 느껴졌던 표현활동에 의욕을 불러일으키고, 스스로 표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게하고, 움직임에 대한 정확한 이해 그리고 즐거움을 주는 내적 동기를 발현시키는 수업 방법으로 가능하다. 대다수의 교사들이 교육과정에 나온 표현활동을 제대로 가르치기를 원하지만 신체표현활동 교수학습방법의 부족, 전문 무용지식의 부족, 그리고 지도 능력부족 등의 이유로 현행 무용교육의 갖고 있는 문제점들을 보완해 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ame-based dance education is a self-directed dance learning process utilizing games. It is designed to attract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students. During the learning process, students are encouraged to set new rules of the game and to suggest...
The game-based dance education is a self-directed dance learning process utilizing games. It is designed to attract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students. During the learning process, students are encouraged to set new rules of the game and to suggest new ideas and movements to enhance the excitement of the game. This study introduces the game-based dance education which is a new method of creative dance education, and tests its effects on the inner motivation of students. The inner motivation is consisted of the four sub-factors; the perceived competence, the interest-pleasure, the effort-importance, and the tension- pressure. To test the effect of the game-based dance education on each sub-factor of students, this study divided total 123 fourth-grade students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n, the game-based dance education was taught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4 weeks. On the other hand, the general dance education, as in the fourth-grade expression-activity teaching plan, was taught to the control group.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game - based dance education affects the inner motivation of students. First, it significantly increases the perceived competence of students. The education through games makes students learn dance and movement easily and interestingly and, hence, students get new perception on dance education. Second, the game-based dance education certainly increases the interest of students and the pleasure of learning dance. Students had been somewhat passive in the class during the early stage of education, but, soon, they participated and enjoyed classes very actively. Third, it significantly affects the effort-importance of students. Students frequently suggested their own ideas during the games, and they tried to invent very creative movements during the class. However, the game-based dance education does not seem to affect the tension-pressure of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범규, "초등학생의 신체활동에 대한 유능성 지각과 내적동기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43 (43): 129-138, 2004
2 신정호, "초등학생의 신체유능성 지각이 체육수업에서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3 노미현, "초등학교 무용교육의 실태연구" 청주교육대학교 2004
4 정진이, "초등학교 무용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2006
5 교육과학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Ⅰ)"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2008
6 서예원, "초등무용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무용교육학회 14 (14): 2-32, 2003
7 양옥경, "초등무용교육의 실태와 개선방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손은정, "초등교사의 무용수업 실태와 인식에 관한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2009
9 정희자, "초등교사의 무용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초등체육학회 16 (16): 91-101, 2011
10 정희자, "놀이를 활용한 신체표현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분석" 한국무용교육학회 21 (21): 1-24, 2010
1 최범규, "초등학생의 신체활동에 대한 유능성 지각과 내적동기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43 (43): 129-138, 2004
2 신정호, "초등학생의 신체유능성 지각이 체육수업에서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3 노미현, "초등학교 무용교육의 실태연구" 청주교육대학교 2004
4 정진이, "초등학교 무용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2006
5 교육과학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Ⅰ)"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2008
6 서예원, "초등무용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무용교육학회 14 (14): 2-32, 2003
7 양옥경, "초등무용교육의 실태와 개선방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손은정, "초등교사의 무용수업 실태와 인식에 관한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2009
9 정희자, "초등교사의 무용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초등체육학회 16 (16): 91-101, 2011
10 정희자, "놀이를 활용한 신체표현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분석" 한국무용교육학회 21 (21): 1-24, 2010
11 엄성호, "교사의 지도행동에 따른 학생의 체육 내적동기"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4 (14): 17-36, 2003
12 McAuley, 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intrinsic motivation inventory in a competitive sport sett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60 : 48-58, 1989
13 Stipek, D. J., "Motivation to learn: From theory to proactive" Prentice-Hall 1988
논문 : George Balanchine 작품의 미적 연구 -아프리카 무용특성을 중심으로
논문 :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자기애적 성격과 무용정서표현성 간의 관계
논문 :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무용공연의 매체미학적 특성 연구
논문 : 피나 바우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12-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DDH -> Asian Dance journal | |
2020-04-0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 The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History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5-08-2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DSDH -> The Journal of SDDH | |
2014-04-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무용기록학회 -> 무용역사기록학회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 |
2014-04-1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무용기록학회지 -> 무용역사기록학외국어명 : The Korean Jounal of Dance Documentation -> The Journal of DSDH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5-06-1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 | 0.7 | 0.7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81 | 0.943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