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는 다인종, 다민족, 다문화사회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로 다문화인들과의 공동체적인 삶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유아에게 반편견적 다문화 교육활동은 필연...
현대 사회는 다인종, 다민족, 다문화사회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로 다문화인들과의 공동체적인 삶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유아에게 반편견적 다문화 교육활동은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만 3세 유아들에게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활동을 실시하여 반편견 인식 및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활동이 만 3세 유아의 반편견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안양에 있는 Y어린이집의 만 3세 유아 18명을 실험집단으로, K어린이집의 만 3세 유아 15명을 비교집단으로 배정하였다. 실험집단 18명에게 9주 동안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유아용 편견 검사 도구’는 양미현(2000)의 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한 최경숙(2008)의 도구를 본 연구자가 다시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그 내용은 유아 교육 전문가 1인과 현장유아 교육 전문가 3인의 내용타당도와 예비검사를 거쳐 사용하였고, 내적일치도는 Cronbach a .866을 나타내었다. 친사회적 행동검사는 김영옥(2003)이 개발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PBSYC)’로 공인타당도 .001수준에서 .76이고, 신뢰도는 .86인 것을 사용하였다. 그 외에 전사자료, 연구자 관찰일지, 연구자 저널을 사용하였다.
다문화그림책 선정은 아이코리아에서 개발한 반편견 그림책(2007)을 선정하였고, 유아문학가 교수 1인의 추천을 받은 다문화 도서목록을 참고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그림책은 장애, 연령, 외모, 계층, 가족구성, 인종에 관련된 그림책으로 9권을 선정하였다.
연구자료 분석은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을 함께 사용하였다.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공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활동이 만 3세 유아의 반편견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전체적인 반편견 인식 차이검증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집단과는 연령을 제외한 장애, 외모, 계층, 가족구성, 인종에 대한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로 편견 인식이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활동은 만 3세 유아의 편견 감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실험집단의 교육활동 후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비교집단과의 차이검증 결과에서도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비교집단과는 특히 의사소통, 주도적 배려, 접근시도하기, 감정이입 및 조절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활동은 만 3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결과적으로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활동은 만 3세 유아의 반편견 인식의 변화와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므로 교육적인 활동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많은 선행연구들이 만 4,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만 3세 유아들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교육활동이라는 것에 의의를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