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영국과 일본 사례를 통한 지역사회통합돌봄(커뮤니티케어) 활성화 방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13158

      • 저자
      • 발행사항

        대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忠南大學校 大學院 , 보건학과 보건학 전공 , 2020. 2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614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대전

      • 기타서명

        Case study of Community care : Policy Implications from UK and Japan

      • 형태사항

        47 p.; 26 cm.

      • 일반주기명

        충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이석구
        참고문헌 : p.42-45

      • UCI식별코드

        I804:25009-000000081925

      • 소장기관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령화를 먼저 경험한 여러 선진국 중에서 지역사회 보호체계의 도입이 우리보다 앞서 있는 일본과, 일본보다 빠르게 노인지역 체계를 정비한 영국 커뮤니티케어에 대해 살펴보고, 이들 국가들은 어떻게 지역사회 수준에서 노인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하는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노인서비스를 구축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커뮤니티케어와 관련한 학술저널, 학술대회자료, 각종 복지와 정책 관련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고령사회를 대비하여 다양한 정책 및 제도를 시행해온 해외사례를 살펴보며, 이미 시행되고 있는 한국의 보건·복지서비스와 연결될 수 있는 지점을 살펴보고자 했다. 영국의 커뮤니티케어, 일본의 지역포괄지원시스템을 토대로 고령자 복지정책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케어매니지먼트 체계의 구축을 토대로 한국형 커뮤니티케어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고령화를 먼저 경험한 여러 선진국 중에서 지역사회 보호체계의 도입이 우리보다 앞서 있는 일본과, 일본보다 빠르게 노인지역 체계를 정비한 영국 커뮤니티케어에 대해 살펴보...

      본 연구는 고령화를 먼저 경험한 여러 선진국 중에서 지역사회 보호체계의 도입이 우리보다 앞서 있는 일본과, 일본보다 빠르게 노인지역 체계를 정비한 영국 커뮤니티케어에 대해 살펴보고, 이들 국가들은 어떻게 지역사회 수준에서 노인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하는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노인서비스를 구축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커뮤니티케어와 관련한 학술저널, 학술대회자료, 각종 복지와 정책 관련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고령사회를 대비하여 다양한 정책 및 제도를 시행해온 해외사례를 살펴보며, 이미 시행되고 있는 한국의 보건·복지서비스와 연결될 수 있는 지점을 살펴보고자 했다. 영국의 커뮤니티케어, 일본의 지역포괄지원시스템을 토대로 고령자 복지정책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케어매니지먼트 체계의 구축을 토대로 한국형 커뮤니티케어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Korean announced plans to step up community care, which can also be called community-based care services.
      This is because the increase in welfare demand, which is due to the low birthrate, an ageing population and the financial burden on local government, seems to limit the provision of care service support to the public. Community care is a shared public and private role, aiming to eliminate blind spots, improve access to services, and strengthen social ties. This study have been established and operated by linking private resources and local communities in the region, and examines positive measures for constructing and forming sustainable community care.
      First, I will look at a case in Japan, which built a comprehensive care system through revis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Community care in the UK could also have implications for Korea, as an example of a social safety net system constructed through local communities in a welfare pluralism, mixed welfare economy. Therefore, for successful community care, public sector support is needed, as well as an understanding of th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with Japan and UK, and emphasis on the role of community and engaging citizen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management and support of local communities and volunteer activities.
      번역하기

      Recentl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Korean announced plans to step up community care, which can also be called community-based care services. This is because the increase in welfare demand, which is due to the low birthrate, an ageing po...

      Recentl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Korean announced plans to step up community care, which can also be called community-based care services.
      This is because the increase in welfare demand, which is due to the low birthrate, an ageing population and the financial burden on local government, seems to limit the provision of care service support to the public. Community care is a shared public and private role, aiming to eliminate blind spots, improve access to services, and strengthen social ties. This study have been established and operated by linking private resources and local communities in the region, and examines positive measures for constructing and forming sustainable community care.
      First, I will look at a case in Japan, which built a comprehensive care system through revis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Community care in the UK could also have implications for Korea, as an example of a social safety net system constructed through local communities in a welfare pluralism, mixed welfare economy. Therefore, for successful community care, public sector support is needed, as well as an understanding of th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with Japan and UK, and emphasis on the role of community and engaging citizen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management and support of local communities and volunteer activ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Ⅱ. 연구방법 5
      • Ⅲ. 영국과 일본의 사례 분석 8
      • 1. 영국의 커뮤니티케어 8
      • 2. 일본의 지역포괄지원시스템 19
      • Ⅰ. 서 론 1
      • Ⅱ. 연구방법 5
      • Ⅲ. 영국과 일본의 사례 분석 8
      • 1. 영국의 커뮤니티케어 8
      • 2. 일본의 지역포괄지원시스템 19
      • Ⅳ. 한국의 지역사회통합돌봄(커뮤니티케어) 30
      • Ⅴ. 결론 40
      • 참고문헌 42
      • ABSTRACT 4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